지역산업 특화 ‘협약형 특성화고’ 도입··· 직업계고 100곳 2027년까지 집중 육성
정부가 2027년까지 지역산업에 특화된 인재를 양성할 ‘협약형 특성화고’ 35곳을 새로 지정한다. 반도체 등 첨단산업에 특화된 마이스터고도 추가 지정하는 등 직업계고 100곳을 집중적으로 육성한다.
교육부는 24일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런 내용을 담은 ‘중등 직업교육 발전 방안’을 발표했다. 최근 직업계고 입학자와 비중, 취업률은 감소하는데 학업중단율과 진로 미결정자 비율 등은 커지고 있어 직업계고 경쟁력을 기를 방법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직업계고 학생 비율은 2018년 18.5%에서 2022년 16.4%로, 대학 진학 등을 제외한 순취업률은 2017년 52.4%에서 2021년 29.2%로 감소했다.
교육부는 먼저 지자체와 기업, 특성화고 등이 협약을 맺고 지역 특화 인재를 양성하는 ‘협약형 특성화고’를 2027년까지 35개교 지정하기로 했다. 협약형 특성화고는 실버(노인)사업이나 전통주·전통가옥, 건축(타일·미장), 용접 등 지역 특화산업에 종사할 인재를 소수정예로 길러내는 모델이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예를 들어 거제도에서 조선산업에 종사할 용접 전문인력을 길러내고 싶다면 지자체와 지역 교육청 등이 함께 논의해 협약형 특성화고를 설립하는 체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내년부터 소규모 특성화고 중심으로 협약형 특성화고 선발을 시작해 선정된 학교 1개교당 3년간 20억원씩 지원하기로 했다. 협약형 특성화고는 자율학교로 지정돼 수요에 맞는 자율적 교육과정을 운영할 수 있다.
교육부는 협약형 특성화고에서 지역 맞춤형 인재를 길러내고, 마이스터고에서는 국가 단위에서 산업에 필요한 인재를 육성할 방침이다. 지난해 기준 전국 54곳인 마이스터고는 10곳 이상을 추가 지정해 2027년까지 총 65곳으로 확대한다. 새로 지정될 마이스터고는 반도체·디지털 등 첨단분야 중심으로 뽑는다. 기존 마이스터고에는 인공지능(AI) 기반으로 교육과정을 고도화하고 맞춤 교육을 강화할 수 있도록 재정지원을 확대하고, 5년 주기 성과평가도 강화하기로 했다. 이런 방안을 통해 직업계고 취업희망자 중 취업률을 70%로, 학생 수 비율을 20%로 끌어올리는 게 정부의 목표다.
교육부는 또 직업계고 학생들이 학교 내에서 취·창업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기업을 자체 운영하거나 외부 기업을 유치한 학교를 2027년까지 100개교로 확대한다. 안전한 산업체에서 실습을 할 수 있도록 현장실습 대상 기업 기준을 강화하고, 학교전담 공인노무사를 올해 800명에서 내년 1000명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현장 실습생들의 실습일지에 부정어 필터링 기능을 도입해 학생들이 실습을 힘들어하는 등 문제 상황을 감지하면 즉시 교사에게 알리는 AI 활용 모니터링 시스템도 구축한다.
직업계고 졸업생 중 진로를 결정하지 못한 학생들을 위해 졸업 후 1년간 취업·진로설계를 제공하는 ‘브리지 학년’ 제도를 내년 도입하고, 군무원 지역인재 채용과 국가·지방직 공무원, 공공기관 고졸채용 등을 적극적으로 권고하기로 했다.
남지원 기자 somnia@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무료 공영주차장 알박기 차량에 ‘이것’ 했더니 사라졌다
- ‘블랙리스트’ 조윤선 서울시향 이사 위촉에 문화예술계 등 반발
- [전문] 아이유, 악플러 180명 고소…“중학 동문도 있다”
- 미납 과태료 전국 1위는 ‘속도위반 2만번’…16억원 안 내고 ‘씽씽’
- 고작 10만원 때문에…운전자 살해 후 차량 불태우고 달아난 40대
- 평화의 소녀상 모욕한 미국 유튜버, 편의점 난동 부려 검찰 송치
- “내가 죽으면 보험금을 XX에게”···보험금청구권 신탁 내일부터 시행
- 경북 구미서 전 여친 살해한 30대…경찰 “신상공개 검토”
- 가톨릭대 교수들 “윤 대통령, 직 수행할 자격 없어” 시국선언
- 김종인 “윤 대통령, 국정감각 전혀 없어” 혹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