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연 3.5% 그대로…5회 연속 유지 배경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이창용 한은 총재의 기자간담회와 질의응답은 여기까지 보겠습니다.
오늘(24일) 결정 관련해서 안지혜 기자와 조금 더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브리핑 주요 내용 정리해보죠.
[기자]
이변 없이 지난 2월, 4월, 5월, 7월에 이어 이번달에도 금리가 그대로 유지됐습니다.
총재가 언급한 배경을 살펴보면, 우선 물가지표 때문입니다.
물가상승률이 둔화흐름을 이어가고 있지만, 8월 이후 다시 3% 내외로 높아지는 등 상당기간 목표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현재의 긴축 기조를 유지하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했고요.
또 "국내 경제는 성장세가 점차 개선되는 가운데 대외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물가 안정에 중점을 두고 추가 인상 필요성을 판단해 나갈 것이다. 이 과정에서 인플레이션 둔화흐름과 금융안정 측면의 리스크와 성장 하방위험, 그간의 금리인상 파급효과, 주요국의 통화정책 변화, 가계부채 증가 추이 등이 판단 잣대가 될 수 있다" 라고 예고했습니다.
[앵커]
실제로 그런 이유 때문에 전문가들도 이번에 또 동결을 전망했던 거고요.
[기자]
그렇습니다.
한미간 금리격차나 원달러 환율 상승세, 다시 불어나는 가계대출, 이런 요소들을 고려하면 사실 이번에 기준금리를 올려도 이상할 게 없었죠.
하지만 당장 중국의 경기 침체 가능성이 복병입니다.
정부가 공언했던 우리나라의 하반기 경기회복, 즉 '상저하고'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금리를 올려 소비나 투자 위축을 감수하진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더 큰 문제는 지금 말씀드린 어려움들이 단기간 해결될 문제가 아니거든요.
때문에 한은이 금리를 올리지도, 내리지도 못하는 딜레마 상황이 당분간 계속되고, 결과적으로 기준금리도 상당기간 더 동결될 거란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말씀하신 한미 간 기준금리 격차는 이미 역대 최대 수준인데, 이 부분은 괜찮은가요?
[기자]
네, 자금유출 우려에 올 들어 기준금리를 정하는 금통위가 열릴 때마다 늘 나오는 질문이죠.
지난달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했지만, 이번에 우리는 동결하면서 한미 간 기준금리 격차는 이미 2%포인트 사상 최대치를 이어가고 있기 때문인데요.
하지만 당장의 금리 격차보다는 미국 금리의 방향성이 더 중요하다는 게 이 총재의 진단입니다.
그제(22일) 국회에서도 같은 질문이 나왔는데, 총재는 "다음달 미연준이 정할 앞으로의 금리 방향성과 그에 대한 국제 금융시장의 반응이 중요하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앵커]
그런가하면 중국 경기 리스크 때문에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보다 낮추지 않을까 했는데, 그대로 유지했네요?
[기자]
그렇습니다.
당초 상당수 전문가들이 성장률 눈높이를 지난 5월 전망한 1.4%에서 최대 0.2%p 낮추지 않을까 예상했습니다.
중국 부동산 불안에 더해 내수시장 악화로 우리의 수출 회복세도 생각만큼 빠르게 개선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올해는 그대로 유지했고요.
다만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2.3%에서 2.2%로 0.1%p 조정했습니다.
중국발 리스크를 당장 성장률에 반영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물가상승률 전망치의 경우 올해 3.5%, 내년 2.4%로 기존 전망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앵커]
관건은 앞으로입니다.
연내 10월, 11월 두 번 더 기준금리 결정 이벤트가 있는데.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은 어떨까요?
[기자]
인플레이션이나 가계부채 등의 불씨가 살아있기 때문에 아무리 경기가 좋지 않더라도 연내 인하를 기대하기는 어렵지 않을까하는 전망이 다소 더 우세한데요.
미국의 금리방향성을 콕집은 앞서 이 총재 말처럼 한은이 미 연준보다 먼저 금리를 낮추기는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내년 중반께나 미국을 따라 인하 전환이 가능할 거란 전망에 무게가 실립니다.
다만 중국발 경제 위기가 더 빨리, 더 강하게 온다면 인하 시점이 연내로 앞당겨질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우리 금리인하의 키를 쥐고 있는 곳, 미국과 중국입니다.
[앵커]
안지혜 기자, 잘 들었습니다.
짧고 유익한 Biz 숏폼 바로가기
저작권자 SBS미디어넷 & SBSi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SBS Biz.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경남은행 직원 잡았더니..."오피스텔에 100억원대 골드바"
- "아차, 잘못 보냈네"…금융사고 대응방법은? [콕콕 법률상식]
- 예상 빗나간 금의 배신…종로 귀금속 거리 가보니? [머니줍줍]
- 대기업 흙수저 맞벌이 공공분양 특공 확대했지만...
- 인도, 세계 첫 ‘달의 남극’ 갔다
- "다 못 쓴 데이터 다음달로"…과기부, 데이터 이월제 검토
- 프리고진 전용기 추락 사고로 사망…탑승자 전원 숨져
- "오늘 KTX·무궁화 열차 시간 꼭 확인하고 가세요"
- 후쿠시마 오염수 오늘 방류 시작…日 언론 "오후 1시부터"
- 신길15구역·사가정역 인근 등 공공 개발…3900호 공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