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has crossed the Styx? (KOR)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영화 '오펜하이머'를 보며 떠오른 사진 한 장.
2016년 3월 9일 북한 노동신문이 공개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현지지도 사진이다.
'오펜하이머'에서 맨해튼 프로젝트의 물리학자들이 오각형과 육각형의 고폭렌즈를 끼워 구(球) 모양으로 조립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김정은 위원장이 자랑한 내폭장치의 선배 격이다.
"나는 이제 죽음이요, 세상의 파괴자가 됐다." 21세기의 파괴자를 꿈꾸며 독재 정권의 수명 연장을 꿈꾸는 김정은 위원장에게 오펜하이머가 했다는 다음 말을 전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HUN SU-JINThe author is the head of the Today-People News team at the JoongAng Ilbo. An image came to mind while watching the movie “Oppenheimer.” It is a photo of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s field guidance, released by the Rodong Sinmun on March 9, 2016. Kim is confidently pointing at a ball-shaped object. If North Korea’s claim is correct, it is a miniaturized nuclear implosion detonator that can be loaded on ICBMs and can reach the continental United States.
In “Oppenheimer,” there is a scene in which physicists of the Manhattan Project put pentagonal and hexagonal high explosive lenses together into a spherical shape. It is the predecessor of the implosive device the North Korean leader proudly presented.
The nuclear bomb was named Fat Man, a result of assembling 32 high explosive lenses. It destroyed Nagasaki, Japan. Assuming that North Korea’s claim is true, the implosive device it unveiled in 2016 is estimated to have been made of about 72 high explosive lenses. Kim might have seen the movie with more excitement than anyone else.
“Oppenheimer” cannot be just a blockbuster movie for us, who were born and live south of the 38th parallel on the Korean Peninsula. America’s nuclear bombs brought liberation to Korea in 1945, but we in the South in 2023 are living with the North’s nuclear weapons over our heads. The fact that we are not aware of the scary reality is even scarier.
North Korea’s nuclear materials and nuclear capabilities have only increased since 2016. South Korea has only repeated its pendulum movement and political strife whenever the administration changes — without a consistent North Korea policy. The contaminated wastewater from the crippled Fukushima nuclear power plants is serious, but many people become mum on the North Korean nuclear threat and human rights issues. In the meantime, Kim Jong-un appeared on the site of a missile test, holding the hand of his 10-year-old daughter and pretending to be the head of a normal country. He likes to call a ballistic missile a “military reconnaissance satellite.”
Robert Oppenheimer (1904-1967) is said to have blamed himself after the successful atomic bomb test, reciting a verse from the Hindu scripture Bhagavad Gita. “Now I Am Become Death, the Destroyer of Worlds.” I want to tell Kim Jong-un — who dreams of being a destroyer of the 21st century and extending the life of the dictatorship — what Oppenheimer said. In the book “American Prometheus,” he confessed that it was a very dangerous idea to believe that having a nuclear bomb can save the country and win peac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s in the realm of despair that seems to have already crossed the Styx, but I won’t let go of the strand of hope that he will not become Pyongyang’s Prometheus.
김정은과 오펜하이머전수진 투데이·피플팀장
영화 '오펜하이머'를 보며 떠오른 사진 한 장. 2016년 3월 9일 북한 노동신문이 공개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현지지도 사진이다. 자신만만한 표정의 김정은 위원장이 손으로 가리키고 있는 건 동그란 공 모양 물체. 북한의 주장이 맞는다면,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에 탑재해 미국 본토까지 타격 가능한 작고 가벼운 내폭형 핵 기폭장치다. '오펜하이머'에서 맨해튼 프로젝트의 물리학자들이 오각형과 육각형의 고폭렌즈를 끼워 구(球) 모양으로 조립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김정은 위원장이 자랑한 내폭장치의 선배 격이다.
'오펜하이머'의 과학자들이 고폭렌즈 32개를 조립해 만든 핵폭탄의 이름은 '팻맨(fat man)'. 일본 나가사키(長崎)를 초토화했다. 2016년 북한이 공개한 내폭장치는, 그 주장이 사실이라고 가정하면, 약 72개의 고폭렌즈로 만든 것으로 추정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김정은 위원장은 '오펜하이머'를 누구보다도 달뜬 마음으로 보지 않았을까.
'오펜하이머'는 적어도 한반도 38선 이남에 태어나 살아가는 우리에겐 단순한 블록버스터 영화일 수 없다. 미국의 핵으로 1945년의 광복은 앞당겨졌지만, 북한의 핵을 머리에 이고 살아가고 있는 게 2023년 현재 우리의 현실이다. 현실이 무섭다는 걸 자각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 더 무섭다.
2016년 이후, 분명히 늘어난 건 북한의 핵물질과 핵능력밖엔 없지 않을까. 한국은 일관된 대북 정책 없이 정권에 따라 진자 운동과 정쟁만을 되풀이해왔다. 후쿠시마 오염수 문제도 심각하지만, 정작 북핵 위협과 북한 인권 문제엔 꿀 먹은 벙어리가 되는 이들이 상당수다. 그사이 김정은은 열 살로 추정되는 딸 주애의 손을 잡고 미사일 시험발사 현장에 나타나고, 사실상 미사일을 '군사정찰 위성'이라며 정상국가 코스프레 중이다.
로버트 오펜하이머(1904~1967)는 원폭 실험에 성공한 뒤, 힌두교 경전 『바가바드 기타』의 다음 구절을 되뇌며 자책했다고 한다. "나는 이제 죽음이요, 세상의 파괴자가 됐다." 21세기의 파괴자를 꿈꾸며 독재 정권의 수명 연장을 꿈꾸는 김정은 위원장에게 오펜하이머가 했다는 다음 말을 전한다. "(핵폭탄을) 갖게 되면 이 나라를 구할 수 있고 평화를 얻을 수 있으리라고 믿는 것은 대단히 위험한 생각이다"(『아메리칸 프로메테우스』 635쪽). 북핵 문제는 이미 요단강과 삼천도를 건넌 듯한 절망의 영역이지만, 그럼에도 그가 평양의 프로메테우스가 되지 않기를 바라는 희망의 끈은 놓지 말아야 할 터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lackpink to drop music video for song for band's video game
- Action to be taken against fan who entered NCT's U.S. hotel room
- Yoon warns North in visit to USFK wartime bunker
- [FACTCHECK] Fifty Fifty, Omega X, and the reason idols turn their backs on agencies
- Police ID suspect in sexual assault, murder on hiking trail
- Police identify suspect in Sillim-dong rape and murder case
- Bomb threats traced to IP address in Japan
- 'Street Woman Fighter 2' aims to exceed first season's success
- CNN, Yale and Cesco are not just household names, they're fashion darling
- Bullied 10-year old prodigy denies going back to science high schoo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