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염수 방류 “30년”→“최소 30년”…일본도 언제 끝날지 모른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7.5년→30년→적어도 30년.'
일본 언론들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하루 앞둔 23일, '오염수 방류가 언제 끝날지 예측하기 어렵다'며 쓴 표현이다.
오염수 방류 종료 시점조차 제대로 예측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일본의 방류 계획이 그대로 지켜질 수 있겠느냐는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7.5년→30년→적어도 30년.’
일본 언론들이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하루 앞둔 23일, ‘오염수 방류가 언제 끝날지 예측하기 어렵다’며 쓴 표현이다. 오염수 방류 종료 시점조차 제대로 예측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일본의 방류 계획이 그대로 지켜질 수 있겠느냐는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 연료봉 잔해물 속수무책…오염수 무한정 늘어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한국 정부는 ‘일본이 밝힌 계획대로’ 방류가 이뤄질 경우 ‘환경과 건강에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다. 일본의 오염수 방류 계획은 ‘후쿠시마 원전을 폐로(해체)하기 위해 원전에 저장돼 있는 134만톤의 오염수를 다핵종제거설비(ALPS·알프스)를 활용해 삼중수소를 제외한 모든 방사성 핵종을 기준치 이내로 제거한 뒤 희석해 바다로 내보내는 것을 큰 틀로 하고 있다.
문제는 후쿠시마 원전에 빗물과 지하수가 유입되며, 노심용융을 일으킨 연료봉의 잔해물(데브리)과 만나 매일 90~140톤에 이르는 새로운 오염수가 발생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본 쪽은 오염수를 담은 저장탱크를 치워야 데브리를 보관할 장소를 확보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런데 오염수의 양이 늘면서 데브리 제거엔 손도 못 대고, 이로 인해 배출해야 할 오염수의 양이 늘어 방류 기간만 무한정 늘어나는 악순환에 봉착했다.
한병섭 원자력안전연구소장은 “오염수 방류량이 늘고 기간이 길어진다는 것은 방사선환경영향에 대한 기존 평가의 전제가 바뀌는 것”이라고 말했다. 후쿠시마대 연구자들이 모인 협의체 ‘후쿠시마 원탁회의’가 지난 21일 ‘지하수 유입 문제부터 해결해야 한다’는 성명을 내어 오염수 방류를 막판까지 만류한 이유도 이 때문이다.
■ 134만톤 중 배출 기준 맞춘 양 30% 불과
오염수 속에 함유돼 있는 방사성 핵종들을 제거해줄 알프스 설비의 성능도 문제다. 도쿄전력의 발표에 따르면, 알프스 처리를 거친 오염수 134만톤 가운데 일본이 설정한 배출 기준을 맞춘 것은 30% 정도에 불과하다. 알프스의 성능은 물론 필터 점검 등 운영에도 문제가 있음을 드러내는 결과다. 정부는 현지 점검에서 이런 문제를 파악해 일본에 알프스 필터 점검주기 단축을 권고했지만, 일본은 ‘설비 개선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겠다’며 권고 수용을 유보했다.
과학계에선 오염수 방류의 안전성을 담보할 충분한 근거가 없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한 예로, ‘영국의학저널’에 발표된 방사선 영향에 대한 역학조사 결과는 오염수 속의 방사성 핵종이 바다로 흘러들어가도 추가 피폭량이 미미해 아무 영향이 없을 것이란 일본 쪽 설명에도 의문을 제기한다.
국제암연구소(IARC)와 미국 국립산업안전보건연구소(NIOSH) 등이 최근 미국·프랑스·영국의 원자력산업 종사 경력자 중 사망자 10만3553명의 사망 원인을 역학조사한 결과를 보면, 흡수선량 0~20밀리그레이(m㏉)의 저선량 피폭에도 혈액을 제외한 장기에 발생하는 고형암 추가 사망 위험이 그레이당 130%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사선량 20밀리그레이는 방사선 작업 종사자들에게 허용되는 연간 누적 선량한도(50밀리시버트)의 절반도 안 되는 양이다.
알프스로도 걸러지지 않는 ‘삼중수소’의 유해성 논란도 여전하다. 일본 정부는 해수로 희석해 1리터당 1500베크렐(㏃) 이하로 맞추면 큰 문제가 없다고 하지만, 삼중수소가 해양 생태계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상황이 이렇지만, 정부가 오염수 방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주도적으로 확인하는 것도 사실상 불가능하다.
정부는 일본 쪽으로부터 희석 뒤 삼중수소 농도 등 방류 관련 자료를 매 시간 제공(누리집 내 한국어로 공개)받고, 오염수 방류 현장의 국제원자력기구 사무소에 우리 쪽 전문가를 ‘정기 방문’시켜 방류 현황을 모니터링하겠다고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 상주가 아닌 방문 점검으로 얼마나 실효성 있는 점검이 가능할지 의문이란 지적이 나온다.
김정수 선임기자 jsk21@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속보] 오염수 낮 1시부터 방류 강행…매일 460t씩 바다로
- 푸틴 ‘피의 숙청’ 나섰나…프리고진 숨진 날 우주군 사령관 해임
- “한국 완전히 망했네요…” 미국 교수가 머리 부여잡은 ‘0.78’
- 푸바오 동생 이름 지어바오~ 장난꾸러기 첫째, 순둥이 둘째
- [영상] 인류가 처음 본 ‘달의 남극’…인도 찬드라얀 3호 첫 촬영
- 법원 연수 뒤 성매매 판사 정직 3개월…“위신 떨어뜨려”
- 원희룡, 총선 겨냥 “교통·인프라…여당 분들 ‘밑바탕 작업’ 최선”
- 오염수 방류 “30년”→“최소 30년”…일본도 언제 끝날지 모른다
- 국힘, “윤 대통령 추석 선물 30만원에 판다”고 한 직원 ‘대기발령’
- ‘53년 물질’ 제주 해녀 “오염수 방류되면 끝난 거나 마찬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