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400억원 규모 6G 통신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6G 이동통신 기술 개발 사업이 4천407억원 규모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서울 중앙우체국에서 열린 2023년 제10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서 '6G 산업 기술개발 사업'이 총 4천407억3천만원(국비 3천731억7천만원) 규모로 예타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박수형 기자)6G 이동통신 기술 개발 사업이 4천407억원 규모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서울 중앙우체국에서 열린 2023년 제10회 국가연구개발사업평가 총괄위원회에서 '6G 산업 기술개발 사업'이 총 4천407억3천만원(국비 3천731억7천만원) 규모로 예타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경쟁력 확보를 위해 ▲주파수 7~24GHz의 어퍼미드(Upper-mid) 대역 기술 ▲커버리지 확대 기술 ▲소프트웨어(SW) 중심 네트워크 ▲에너지 절감 ▲공급망 안보 강화 등 5대 분야에 대해 기술개발을 추진한다.
6G 주파수 대역의 경우 5G에서 3.5GHz 용량 한계와 28GHz의 커버리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7~24GHz 대역 기술 개발에 집중한다.
특히 5G 핵심부품으로 꼽히는 대용량 다출입 안테나 기술 대비 4배 이상 성능을 향상시킨 '초대용량 다출입 안테나 기술(E-MIMO)'과 안테나 부품을 제어하는 IC칩을 개발할 계획이다.
고대역 주파수 활용으로 발생하는 커버리지 한계 극복을 위해 능동형 중계 기술을 활용하는 방안의 연구도 추진된다.
또 SW로 일부 가상화한 코어 기능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발전시키고 기지국 장비도 클라우드를 활용할 예정이다. 전력 사용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기지국(약 73%)의 핵심부품의 저전력 설계와 저전력 신호처리 기술 등을 개발하고, 코어망 네트워크 관리 기술도 고도화해 전체 통신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대부분 외산에 의존하고 있는 기지국, 단말, 광통신 등의 핵심부품의 국산화를 추진, 통신장비 부품의 공급망을 강화한다.
홍진배 과기정통부 네트워크정책실장은 "예타 통과를 계기로 올해 2월 'K-네트워크 2030 전략'에서 발표한 6G 연구개발 투자 확대와 프리-6G 기술 시연 등을 차질없이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됐다"며 "치열한 글로벌 네트워크 기술패권 경쟁을 민첩하게 대응해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 디지털 인프라 강국으로서 한발 더 앞서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수형 기자(psooh@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남-경남-대전 우주산업 클러스터 구축 사업 예타 면제···6G 기술 개발은 예타 통과
- SKT, ‘6G 백서’ 공개...미래 네트워크 청사진 제시
- 韓 주도 '6G 통신 청사진' 나왔다
- SKT, 6G 통신 글로벌 표준화 선도
- 네이버 "6년간 1조 투입해 AI 생태계 키운다"
- 비싸지는 스마트폰 두뇌...깊어지는 삼성의 고민
- 비트코인 '트럼프 효과' 세네…8만2천 달러도 돌파
- BMW가 수입차 1위 유지한 비결…"10년 전부터 고객 생각"
- 벤틀리, 전동화 계획 5년 늦어졌다…2035년 완전자동화 선포
- [인터뷰] "IoT와 생성 AI 융합 시작... 취약점 대비 시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