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추경 공식 깨져"···'경제허리' 30대 60%가 반대[서울경제·한국갤럽 여론조사]

이진석 기자 2023. 8. 23. 17:2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민의 절반은 추가경정예산 편성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스위스에서 2016년 기본소득 도입 안건을 국민투표에 부친 결과 77%가 반대해 부결된 것처럼 정치권에 일종의 공식처럼 자리 잡은 '선거=추경'이 깨지기 시작했다는 시그널"이라며 "선거에 유리하기 위해 추경을 한다는 식의 접근은 대한민국의 민도를 낮춰 잡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한국갤럽 정기 여론조사]
◆ 국민 절반 추경 편성 반대
선거용 포퓰리즘에 반감 커진듯
국회의사당 전경. 사진제공=국회출처
[서울경제]

국민의 절반은 추가경정예산 편성에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거 시즌마다 정치권이 추경을 남발하면서 포퓰리즘 정책에 대한 유권자의 반감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경제신문이 여론조사 기관인 한국갤럽에 의뢰해 21~22일 전국의 만 18세 이상 남녀 100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추경 편성에 대한 견해를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49.3%가 ‘국가채무가 많아 재정 건전성을 위해 추경 편성을 하면 안 된다’고 밝혔다. ‘경제 활성화’와 ‘가계부채 경감’을 위한 추경 편성에 찬성하는 답변은 39.8%에 머물렀다.

지지 정당별로 양극화 현상이 뚜렷했다. 추경 편성과 관련해 국민의힘 지지자 중 59.2%는 반대 의사를 보인 반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자의 52.1%는 찬성을 나타냈다. 지역별로는 서울(53.7%), 대구·경북(53%), 인천·경기(51.6%) 순으로 반대 응답이 높았고 광주·전라(52.8%)만 유일하게 찬성 답변이 절반을 넘었다. 세대별로는 경제의 허리 격인 30대(60.5%)에서 추경에 대한 반감이 가장 컸다.

선거 국면에서 추경은 늘 여야의 표심 경쟁 카드로 쓰여왔다. 16대부터 21대 국회 가운데 19대를 제외하고는 모두 개원을 하자마자 추경을 처리했다. 특히 문재인 정부의 경우 선거 전 추경 집행이 단골메뉴였다. 이에 따른 피로감이 추경에 대한 거부반응으로 이어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성태윤 연세대 교수는 “코로나19라는 불가피한 상황을 전제하더라도 문재인 정부에서 추경이 지나치게 빈번했고 이에 확장재정이 위기를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 것”이라며 “나랏빚을 늘려 당장의 위기를 모면하기보다 미래 부담을 줄이기 위한 재정 건전성 확보가 더 중요하다는 인식이 점차 자리를 잡는 현상”이라고 해석했다. 김우철 서울시립대 교수도 “재정의 역할이 확대될수록 금리가 올라 서민 부담을 키울 수 있다는 경제 인식이 추경에 대한 경계감을 높인 원인”이라고 설명했다.

신율 명지대 교수는 “스위스에서 2016년 기본소득 도입 안건을 국민투표에 부친 결과 77%가 반대해 부결된 것처럼 정치권에 일종의 공식처럼 자리 잡은 ‘선거=추경’이 깨지기 시작했다는 시그널”이라며 “선거에 유리하기 위해 추경을 한다는 식의 접근은 대한민국의 민도를 낮춰 잡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기재부의 한 고위 관계자도 “선거를 앞두고 건전재정 기조를 유지하는 게 어렵다고들 하지만 건전재정에 대한 지지가 높다는 것이 확인됐다”며 “추경보다 재정준칙 도입에 앞장서는 것이 오히려 2030세대 중심으로 표심을 잡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번 설문조사의 오차범위는 95% 신뢰 수준에 ±3.1%포인트다. 조사는 국내 통신 3사가 제공한 휴대폰 가상(안심)번호 100%를 이용한 전화 면접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11.3%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

이진석 기자 ljs@sedaily.com세종=송종호 기자 joist1894@sedaily.com

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