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구 여성안심귀갓길 폐지 논란…“소모적 논쟁보다 대책 마련 시급” 주장도

이학준 기자 2023. 8. 23. 15:2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태어날 때부터 서울 관악구에서 살았지만, 여성안심귀갓길이나 안심골목은 들어보지도 못했다.

당장 칼부림에 성폭행 사건까지 벌어졌는데 여성안심귀갓길 폐지를 두고 논쟁을 벌이는 것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 같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인호 구의원 ‘여성안심귀갓길 폐지’ 발언 논란
구민들 “논쟁이 아닌 실질적 대책 필요”
전문가들도 “치안 시스템 연계 등 보완책 내놔야”
태어날 때부터 서울 관악구에서 살았지만, 여성안심귀갓길이나 안심골목은 들어보지도 못했다. 당장 칼부림에 성폭행 사건까지 벌어졌는데 여성안심귀갓길 폐지를 두고 논쟁을 벌이는 것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것 같다. 순찰 인력을 늘리거나 여성안심스카우트 등을 추가로 배치해 실질적인 치안 강화를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 같다.
-관악구 난곡동에 거주 중인 김모(18)

서울 관악구에서 성폭행과 묻지마 흉기난동 등 흉악범죄가 연달아 발생하면서 주민들 불안이 커지고 있다. 여기에 여성안심귀갓길 폐지를 놓고 정치적 논쟁까지 벌어지자 주민들은 정쟁을 멈추고 치안을 강화할 수 있는 근본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호소하고 있다.

관악구 여성안심귀갓길 폐지 논란은 최인호 관악구 구의원이 작년 12월 22일 자신이 운영하는 유튜브 채널을 통해 관악구 여성안심귀갓길 예산 전액 삭감에 성공했다고 밝혔던 사실이 재조명되면서 불거졌다. 그는 도로에 ‘여성안심귀갓길’이라는 문구를 적어놓는다고 해서 치안이 실질적으로 강화되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지적하며 “여성안심귀갓길에서 남성들은 어떤 보호도 받지 못하고 있다. 여성안심귀갓길을 폐지하고 안심골목길 사업으로 대체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올해 관악구 예산서를 보면 안심골목길조성 디자인 사업 예산은 작년보다 7400만원 증액된 2억7400만원으로 편성됐다. 반면 여성안심귀갓길 조명 필름 교체와 유지보수, 쏠라 표지병 설치, 로고 젝터 구매 예산은 사라졌다. 노면 보수 비용도 작년 5830만원에서 올해 480만원으로 대규모 삭감됐다.

온라인에 관련 영상이 퍼지자 최인호 구의원에 대한 비판이 빗발치고 있다. 성폭행·칼부림 등 흉악범죄가 여전한데 섣부르게 여성안심귀갓길 등을 폐지했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최인호 의원은 지난 20일에도 “도로에 글자 쓰는 사업 때문에 치안을 강화하는 예산을 쓰지 못한다”고 말하는 등 자신의 뜻을 꺾지 않았다.

서울 중랑구 망우동 여성안심귀갓길에 그려진 노면 표식./조선DB

지역 주민들은 정치인 발언으로 갑론을박을 벌이기보단 치안을 강화할 수 있는 실질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관악구 신사동에서 자취하는 강모(27)씨는 “안심골목길이라고 해도 지금 같은 흉악범죄가 벌어지는 때에 보호받을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상대적으로 불빛도 환하고 귀가를 도와주는 스카우트분들도 계셔서 심리적으로 안심이 되지만, 흉기를 든 범죄자가 덤비면 무용지물이다. 논쟁이 아니라 지혜를 모아 해결책을 찾을 때”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여성안심귀갓길과 같은 범죄예방환경 설계 외에도 적극적인 치안시스템이 도입돼야 한다고 봤다. 배상훈 우석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단순히 범죄 예방 환경만 설계할 것이 아니라 이같은 설계법이 치안시스템과 실시간으로 연계돼 있다는 심리적 안정감을 구민들에게 줄 수 있어야 한다”며 “CCTV를 설치하더라도 24시간 관제요원을 배치해 위험 상황이 예상될 시 곧바로 방송을 통해 알리거나, 자율방범대 구성, 순찰 인력과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 등 실효성 있는 대책이 나와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윤호 동국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안심골목길이든 여성안심귀갓길이든, 조명을 설치하거나 CCTV를 늘리는 등의 인공 감시환경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자율방범대, 여성안심네트워크처럼 사람의 눈으로 감시해 취약지구나 우범지대에서도 자연감시가 이뤄질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