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사람으로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 없을까

유용하 2023. 8. 23. 11: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현대는 좋은 사람으로 행복하게 살기 어려운 시대다.

현대인의 궁극적 목표가 행복이고 타인에게 좋은 사람이 되고자 하지만 수렵채집인의 뇌는 생존과 나 이외의 존재에 대해 경계를 목표로 한다.

'자연이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 수 있다면'(프런트페이지)은 좋은 사람이 되게 하기 위한 일종의 방법론이다.

저자는 현대인의 불안, 우울, 피로를 해소하고 행복감을 높여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손바닥만 하더라도 매일 만날 수 있는 자연만 있으면 충분하다고 강조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면 접촉보다 비대면 접촉, SNS 사용이 늘어나면서 좋은 사람으로 행복하게 살 수 있는 기회는 점점 줄어들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픽사베이 제공

현대는 좋은 사람으로 행복하게 살기 어려운 시대다. 소셜미디어(SNS) 활용이 더 많아지면서 사람과 직접 만나는 기회는 줄어들고 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로 이런 경향은 더 심화했다. 타인과 교류가 줄어들고 부정적 감정이 늘어날수록 착하게 행동하기 힘들어진다. 그렇지만 원인을 알면 해결책을 찾기도 쉬워진다.

‘좋다’, ‘선하다’는 것이 주로 철학의 주제였다. 최근에는 뇌과학의 발전으로 과학계에서도 ‘좋다’, ‘착하다’ 같은 감정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에 대해 활발히 연구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좋은 사람이 되는 것, 나와 타인이 모두 행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과학적으로 접근하는 책들이 나와 독자들의 눈길을 끌고 있다.

좋은 사람이 되는 것은 왜 어려운가(김영사)

‘좋은 사람이 되는 것은 왜 어려운가’(김영사)는 많은 사람이 스스로는 꽤 착한 사람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 행동을 보면 그렇지 않은 경우가 많은 이유를 진화경제학으로 분석했다.

사람들이 착하게 살지 못하는 이유는 손해를 회피하는 본능, 강한 인정욕구로 인한 회피 본능, 이성에 앞선 감정, 받은 만큼 되돌려주는 행동 원리, 책임 분산 때문이다.

사람들이 몰라서 착한 일을 하지 못한다고 변명한다면 적절한 정보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저자는 조언한다. 실제로 스위스의 가정에서 물과 에너지양을 표시하는 샤워기를 제공했더니 온수 사용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이 22% 감소했다고 한다. 그렇지만 행위와 책임이 분리된 현대사회에서는 ‘결과에 상관없이 선한 일을 하라’는 칸트의 의무론적 도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저자는 강조한다.

마음을 돌보는 뇌과학(한국경제신문)

‘마음을 돌보는 뇌과학’(한국경제신문)은 인류학과 뇌과학을 바탕으로 진화적 관점에서 부정적 감정을 어떻게 해석하고 다뤄야 할지를 제시한다. 현대인은 행복하다가도 갑자기 공허함을 느끼고 관계에서 외로움에 맞닥뜨리고 일상에서 빈번하게 스트레스를 받는다.

사람의 몸은 디지털 기기에 둘러싸여 생활하고 있지만 뇌는 여전히 1만 년 전 수렵채집 시대에 머물러 있다. 현대인의 궁극적 목표가 행복이고 타인에게 좋은 사람이 되고자 하지만 수렵채집인의 뇌는 생존과 나 이외의 존재에 대해 경계를 목표로 한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이 겪는 감정들 대부분은 생존이라는 목표로 결정된다고 저자는 지적한다.

또 뇌는 완성된 도자기가 아니라 말랑한 점토와 같아서 어떻게 생활하는가에 따라 뇌 작동 방식이 달라진다. 부정적 감정과 행복감을 느끼지 못한다면 적절한 수면과 신체 활동을 하고 있는지, 친구들을 얼마나 자주 만나고 있는지 되돌아봐야 한다는 설명이다.

자연이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 수 있다면(프런트페이지)

‘자연이 우리를 행복하게 만들 수 있다면’(프런트페이지)은 좋은 사람이 되게 하기 위한 일종의 방법론이다. 프랑스 국립 보건 의학연구소장인 저자가 사람이 자연 속에 머물 때 활성화되는 행복 메커니즘을 뇌과학적으로 해석했다. 인간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진화한 만큼 자연을 향한 이끌림이 유전자에 내재해 있기 때문에 자연이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전방위적으로 도움을 준다.

실제로 2015년 전 세계에서 직장인 7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근무 환경 실태 조사 ‘휴먼 스페이스’에서는 자연 친화적 환경에서 일하는 직장인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생산성과 창의성이 훨씬 높게 나왔다.

저자는 현대인의 불안, 우울, 피로를 해소하고 행복감을 높여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손바닥만 하더라도 매일 만날 수 있는 자연만 있으면 충분하다고 강조한다.

유용하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