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정율성 역사공원 조성 둘러싸고 논란 가열

김태훈 2023. 8. 23. 10:2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계 중국인 정율성이란 사람을 둘러싼 논란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김오복씨는 23일 정율성 공원 조성 철회를 요구하며 광주시에 항의했다.

광주시는 정율성이란 사람을 한·중 우호를 상징하는 인물로 보는 듯하다.

앞서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도 22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글을 올려 광주시의 정율성 공원 조성 계획을 비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연평도 포격 전사자 어머니 "이해가 안 돼"
보훈장관 "자유 대한 무너뜨리려 한 사람"
광주시장은 "中 관광객들 광주 많이 찾아"

한국계 중국인 정율성이란 사람을 둘러싼 논란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광주광역시가 조성 중인 일명 ‘정율성 역사공원’ 때문이다. 광주 출신인 정율성은 1939년 중국공산당에 가입해 인민해방군 행진곡을 작곡한 인물이다. 6·25전쟁 당시 북괴를 도와 국군 그리고 미군 등 유엔군과 싸운 중공군의 일원으로 전선 위문활동을 했다. 한때 북한 정권에 참여하기도 했으나 결국에는 중국으로 귀화해 중국인으로 살다가 1976년 심장병으로 사망했다.

김오복씨는 23일 정율성 공원 조성 철회를 요구하며 광주시에 항의했다. 2010년 11월 연평도 포격전 당시 전사한 고(故) 서정우 하사의 모친인 김씨는 광주 한 고등학교에서 40년 가까이 교사로 일하고 올해 2월 정년퇴임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지난 3월24일 국립대전현충원의 연평도 포격전 전사자 묘소를 찾아 고(故) 서정우 하사 어머니 김오복씨(오른쪽 두 번째)와 나란히 묘비를 바라보고 있다. 맨 오른쪽은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 뉴스1
그는 강기정 광주시장한테 보낸 카카오톡(카톡) 메시지에서 “호국 유공자는 무관심하면서 북한·중국 공산 세력을 도운 인물을 기념한다는 것은 도저히 이해가 안 된다”며 “보훈 가족에게 피눈물 나게 하고 분노가 치밀어 오르는 사업”이라고 주장했다. 정율성이란 사람은 1948년 김일성한테 상장을 받았고, 2009년에는 중국 정부가 선정한 ‘신(新)중국 창건 영웅 100인’에 포함된 바 있다.

김씨는 “(정율성이) 대한민국 국민을 위해 중국공산당에 가입하고, 인민군 행진곡을 작곡하고, 6·25전쟁 위문단을 조직해 중공군을 위로하고, 중국으로 귀화한 것은 아니지 않느냐”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 국민 수백만 명이 희생되고 국토가 폐허가 된 전쟁을 부추긴 사람, 김일성에게 상장까지 받은 그런 사람을 위해 기념공원을 만드는 것은 아니다”라고 꼬집었다.

이에 강 시장은 “이미 진행 중인 사업이라 중단하기 어려운 점을 이해해달라”는 취지의 답변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광주시는 정율성이란 사람을 한·중 우호를 상징하는 인물로 보는 듯하다. 2020년 5월 동구 불로동 일대에 정율성 공원 조성 계획을 발표했는데 연말까지 사업을 완료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총 48억원의 예산이 투입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이 22일 페이스북에 올린 게시물. 광주시의 ‘정율성 역사공원’ 조성 계획을 비판하며 1948년 정율성이 김일성한테 받은 상장 사진을 올렸다. 페이스북 캡처
앞서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도 22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글을 올려 광주시의 정율성 공원 조성 계획을 비판했다. 박 장관은 “정율성은 공산군 응원대장이었던 사람”이라며 “김일성도 항일운동을 했으니 기념공원을 짓겠다는 것과 무엇이 다른 것인가”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자유 대한민국을 무너뜨리기 위해 앞장섰던 사람을 국민 세금으로 기념하려 하는 광주시의 계획에 강한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그러자 강 시장은 “정율성 선생의 삶은 시대의 아픔이자, 그의 업적 덕분에 광주에는 수많은 중국인 관광객이 찾아온다”고 반박했다. 6·25전쟁 당시 중공군과 북괴군을 위한 위문단에서 활동한 사람을 ‘선생’이라고 부른 것이다. 이에 박 장관이 “돈이 되는 일이면 국가정체성도 필요없나”라고 재반박하는 등 설전이 벌어졌다.

김태훈 기자 af103@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