압력이 가해지면 피부가 부풀어 오르는 ‘피부묘기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덥고 습한 여름이면 야외활동의 천적인 모기들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단순히 압력을 가한 부위에 부종을 동반한 발적이 일어나는 단순 피부묘기증(Simple dermographism)은 치료를 권장하지 않지만, 해당 부위에 가려움을 느끼며 심한 경우 통증을 함께 유발하는 증상성 피부묘기증(Symptomatic dermographism)은 일상생활에서 큰 불편함을 느끼기 때문에 치료를 권장하고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덥고 습한 여름이면 야외활동의 천적인 모기들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한 번 물리면 물린 부위의 피부가 부풀며 가려움을 느낀다. 하지만 모기가 아니더라도 피부가 부풀어 오르는 사람들이 있다. 바로 ‘피부묘기증’을 겪고 있는 사람들이다.
피부묘기증은 알레르기 질환과 비슷한 양상을 띠고 있어 알레르기의 질환으로 여기며, 대체적으로 만성적이다. 피부에 압력을 주거나 긁게 되면 해당 부위에 두드러기처럼 소양감을 느끼며 붉게 부풀어 오르는 현상을 가지고 있다. 이는 피부 모세혈관이 과장되게 반응하며 확장되어 발생한다.
단순히 압력을 가한 부위에 부종을 동반한 발적이 일어나는 단순 피부묘기증(Simple dermographism)은 치료를 권장하지 않지만, 해당 부위에 가려움을 느끼며 심한 경우 통증을 함께 유발하는 증상성 피부묘기증(Symptomatic dermographism)은 일상생활에서 큰 불편함을 느끼기 때문에 치료를 권장하고 있다. 가벼운 옷깃 스침이나 하물며 바람에도 소양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피부묘기증의 원인은 무엇일까? 아직까지 의학적으로 피부묘기증의 원인은 확실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다만 당뇨병이나 임신, 폐경기, 스트레스, 갑상선 질환 등으로 인해 질환이 악화된다. 따라서 면역력 저하와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른 질환들과 달리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일반 피부과에서는 피부 질환으로 중점을 두고 항히스타민제나 스테로이드를 통한 치료를 시행한다.
하지만 만성 질환인데다가 완치 확률이 높지 않기 때문에 처방이나 치료받은 당시에만 효과를 보고, 같은 증세를 반복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한의학적 관점에서는 체내에 쌓인 독소들이 배출되지 못하고 소화기관의 기능이 저하되어 발생한다고 보고 있다. 소화기관이 올바른 기능을 하지 못하고 혈액순환을 방해해 면역력이 떨어지고 피부에 신호가 나타나는 것으로, 환자에게 맞는 약침, 침, 한약 복용을 통해 소화기관을 회복하고, 혈액 순환을 증진하여 면역력을 높이는 것에 중점을 두고 치료를 시행한다.
피부 묘기증은 소양감을 느낀다고 해서 계속 긁거나 압력을 가하면 증상이 더욱 악화되고 피부 장벽이 손상되어 2차 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니 일상생활 속에서 불편함을 느낀다면 전문의에게 상담 및 진료받는 것을 권장한다.
글 = 하이닥 의학기자 장혁 원장 (한의사)
장혁 하이닥 건강의학기자 hidoceditor@mcircle.biz (전문가 대표메일)
건강을 위한 첫걸음 - 하이닥 ⓒ ㈜엠서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하이닥.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나타났다 사라지기 반복하는 '두드러기'...원인 따라 증상도 달라져 [건강톡톡]
- “탈모 관리하는 LED, 두피에 어떤 도움을 줄까?” [인터뷰]
- ‘전신 타투 지우는 중’이라는 나나...타투 완전 제거 가능할까?
- 우리 아이 아토피가 천식, 비염으로?...‘알레르기 행진’이란? [건강톡톡]
- 여름철 온열질환엔 생맥산, 냉방병엔 곽향정기산…각 효능은?
- 냉 상태에 따른 ‘질염’의 원인균…진단이 우선
- 매운 음식 먹고 커피까지?…'식도 건강' 망치는 지름길
- 혈관 울퉁불퉁 튀어나와야 하지정맥류? 검사 제대로 받아야 하는 이유
- 혈압 갑자기 높아지면 ‘여기’부터 체크해 봐야
- 전 세계 3억 명이 앓고 있다는 '이 질환', 암 발생 위험 높이는 주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