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turn of an independence fighter (KOR)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노병의 손은 따뜻했다.
한국에서 한번 찾아뵙겠단 말에 주름이 활짝 펴졌다.
"여생을 한국에서 보내고 싶다"는 아버지의 바람.
"참 이상해요. 어르신들이 일본어는 다 잊어도 한국말은 안 잊고요, 일본 음식은 못 넘겨도 김치는 드세요." 아리랑을 부르고, 김치를 담그는 이곳 운영은 쉽지 않은 상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IM HYUN-YE
The author is a Tokyo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The old soldier’s hands were warm. He smiled when I said I would visit him in Korea. Patriot Oh Sung-kyu, who joined the Liberation Army at age 16, lived in Japan all his life since the liberation and chose to return to Korea at age 100. What did his son think when his father expressed his wish to spend his remaining days in Korea?
At a rental house in Nerima Ward, Tokyo on August 11, Oh’s son listened in on the conversation with the Minister of Patriots and Veterans Affairs who came to take his father back to Korea. As the son does not speak Korean, he did not understand the conversation.
But he remained motionless on his knees for about 30 minutes. He was also the head of the household, and it was difficult to take care of his father because he was busy making a living. Now that he could only see his father in Korea, there was some sadness involved. But he hid his complicated feelings and said it was what his father wanted.
“It was a miracle. A grandfather jumped out of his wheelchair!” The excited voice came over the phone. Ko Kyung-il is the head of Sanboram (literally “Worthwhile life”), a nursing facility for the Korean elderly in Osaka, Japan. A first-generation Korean Japanese man who could not move without a wheelchair stood up when he heard a Korean folk song with traditional drums. “I thought this must be the blood of the Korean people,” Ko said.
It was in the 1990s that he established a nursing facility for elderly ethnic Koreans called “Zainichi.” At the time, the Japanese government introduced the equivalent of Korea’s nursing insurance system, but there was no place for poor Zainichi seniors to go.
Ko was moved by the story of a first-generation Korean Japanese who came to Japan under various circumstances during colonial rule, lived through discrimination and poverty, and died alone. He named the facility “Sanboram,” as he wanted to care for them so that they felt the last moment was rewarding.
Forty-five senior citizens are staying here. Half of them are first generation Zainichi, who are very old. “It’s very strange. Even if the elderly Zainichi forgot all their Japanese, they didn’t forget their Korean, and even if they can’t swallow Japanese food, they can eat kimchi.” They sing arirang and make kimchi, but the operation of the facility is not easy due to their financial difficulties.
While we discuss the rapid aging of Japan, we don’t notice the sad stories of the elderly Zainichi, the non-mainstream in Japan who were brought over to Japan during colonial rule and wish to speak Korean and eat Kimchi in their last days.
According to the Korean Embassy in Tokyo, there are around 480,000 Koreans living in Japan. Among them, 42 are aged 100 or older this year. Has the time come to listen to what kind of ending they might want to have?
100세에 돌아온 재일 광복군, 오사카 요양시설 ‘산보람' 김현예 도쿄 특파원
노병의 손은 따뜻했다. 한국에서 한번 찾아뵙겠단 말에 주름이 활짝 펴졌다. 열여섯살 어린 나이에 광복군에 합류했던 오성규 애국지사는 평생 일본에 머물다 백세가 되어서야 한국행을 택했다. “여생을 한국에서 보내고 싶다”는 아버지의 바람. 머리가 희끗희끗한 아들은 어떤 생각이 들었을까.
지난 11일 도쿄 네리마구 한 임대주택. 오 지사의 아들은 푹 고개를 숙인 채 아버지를 한국으로 모시러 온 보훈부 장관의 대화를 들었다. 한국어를 하지 못하는 그가 알아듣진 못했겠지만, 그는 무릎을 꿇은 채 30여분을 꼼짝하지 않았다. 그 역시 가장으로, 밥벌이의 굴레를 벗지 못해 부친을 보살피는 일은 어려웠다고 한다. 이젠 한국에 가서야 만날 수 있는 아버지. 자식으로, 애달픈 일일 수 있었지만, 그는 “아버지가 원하는 일”이라며 애써 복잡한 감정을 감췄다.
“기적 같은 일이었다니까요? 세상에, 휠체어를 탄 할아버지가 벌떡 일어선 거예요!” 수화기 너머로 흥분한 목소리가 쩌렁쩌렁 울렸다. 일본 오사카에 있는 재일동포 어르신을 위한 요양시설 ‘산보람’ 고경일 대표 얘기다. 휠체어가 없으면 거동이 어려운 재일동포 1세 어르신이 장구 반주에 나오는 우리 민요를 듣자 그만, 벌떡 일어났단 얘기다. 그는 “이게 민족의 피인가란 생각을 했다”고 했다.
고 대표가 소위 ‘자이니치’로 불리는 동포 어르신을 위해 요양시설을 만든 건 1990년대의 일. 일본 정부가 우리로 치면 요양보험제도를 도입했지만, 정작 가난한 자이니치 어르신들이 갈 곳은 없었다. 일제강점기 때 여러 사연을 안고 일본으로 넘어와, 차별과 가난을 딛고 살다 고독사한 1세 이야기가 그를 움직였다. 마지막 순간만큼 살아온 보람이 있도록 모시고 싶은 마음에 ‘산보람’이란 이름을 붙였다.
이곳에 머무는 자이니치 어르신들은 45명. 이 중 절반이 자이니치 1세대로 초고령이다. “참 이상해요. 어르신들이 일본어는 다 잊어도 한국말은 안 잊고요, 일본 음식은 못 넘겨도 김치는 드세요.” 아리랑을 부르고, 김치를 담그는 이곳 운영은 쉽지 않은 상태다. 코로나19 여파에다 이용자들의 형편이 좋지 않아서다.
일본의 빠른 고령화를 이야기하면서도 우리는 일본 사회 속 비주류로, 일제강점기 때 끌려오듯 넘어와 한국어와 김치로 마지막을 맞고 싶어하는 자이니치 고령자들의 이야기는 쉽게 눈치채지 못한다. 주일 한국대사관에 따르면 일본에 있는 재외국민은 약 48만 명. 이 중 100세 이상의 초고령자는 올해 기준 42명이다. 이들이 어떤 마지막을 보낼 수 있도록 할 것인지, 또 이들의 바람은 무엇인지 이젠 귀 기울여야 하지 않을까.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NCT's Mark forgives teenager who posted malicious comments on internet
- 'Street Woman Fighter 2' aims to exceed first season's success
- Seoul Metro moves to boost tourism with unlimited ride passes
- Park Jin-young, KBS to launch project group through new show
- Full-scale civil defense drill planned for Wednesday
- Action to be taken against fan who entered NCT's U.S. hotel room
- Infinite exceeds fans' hopes in 'Comeback Again' concert
- Korean Air faces backlash over move to weigh passengers
- Korea granted regular visits to IAEA office in Fukushima
- Singer Taeyeon wraps up Asia tour with two concerts in Singap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