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사일언] 먹방의 민족

이진혁 출판편집자 2023. 8. 23. 03:0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는 일을 하면서, 처음 봤을 때 가장 이해가 되지 않았던 것은 ‘먹방’이다. ‘남이 먹는 걸 본다고?’ 그런데 한때의 유행이겠거니 생각했던 먹는 콘텐츠는 이제 어엿한 주류 문화가 되었다. 심지어 먹방은 한국 발음 그대로 ‘mukbang’으로 전 세계에 유통되며 K콘텐츠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았다. 게다가 ‘도전형 먹방’ ‘미식형 먹방’ ‘소통형 먹방’ 등으로 세분되며 문화 소비자의 취향에 맞춰 진화하는 중이다.

이러한 데 문화적 배경이 아예 없지는 않다. 한국어에 유난히 많은 ‘밥’과 관련된 표현이 단적인 예시겠지만, 한국인들은 먹는 것에 늘 큰 가치를 부여해왔다. 조선시대 화가 김홍도가 그린 단원풍속도첩에도 먹는 장면이 많이 나오는데 어쩌면 예부터 우리는 먹방 민족이었는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먹방 유행을 한국인의 DNA에서만 찾는 것은 논리적 비약이다. 먹을 게 부족하지도 않은 이 땅에서 먹는 콘텐츠가 열풍인 데는 그보다 사회적인 이유가 있다. 먹방 유행은 1인 가구가 늘고 ‘혼밥 문화’가 급속도로 퍼지는 시기와 그 궤를 같이한다. 사람들이 먹방을 보는 까닭에는 누군가와 함께 먹는 기분과 거기서 오는 위로와 공감도 있다는 뜻이겠다.

먹방은 모방 행위로 이어진다. 어느 날 길을 걷다 어마하게 줄이 긴 순댓국 집을 봤다. 유명 먹방 유튜버가 다녀간 이후로 인기를 끈 곳이란다. 그 줄에 합류하며 깨달은 것은 이 기다림이 무척 공평하다는 것이었다. 입는 옷, 사는 집, 타는 차는 따라 할 수 없을지언정 먹는 것만큼은 우리가 미디어에서 보는 누군가와 똑같을 수 있다는 느낌과 안도감. 혼자 살수록, 나이가 어릴수록, 소득이 낮을수록 먹방을 많이 본다는 어느 연구 결과는 그래서 더 씁쓸하게 느껴진다.

먹방의 유행은 당분간 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먹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람이 늘어났다는 단순한 사실을 넘어, 그 이면에 널려 있는 사회적 함의에 대해서도 이제 생각해볼 때가 됐다. 어쩌다 사람들은 말하는 입보다 먹는 입에 관심을 갖게 되었을까. 이런 생각은 너무 지나친 걸까.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