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한경협으로 새출발… 류진 회장 “엄격한 윤리 실천”
전경련은 22일 서울 영등포구 전경련회관에서 임시총회를 열고 기관명을 한경협으로 바꾸는 한편 신임 회장으로 류진 풍산그룹 회장(사진)을 선임했다. 4대 그룹 계열사들을 포함한 430여 회원사를 대표하는 재계 단체로 새 출발을 하게 된 것이다.
류 회장은 취임사에서 “윤리위원회를 신설하고 누구나 수긍할 수 있는 분을 위원장과 위원으로 모시겠다”며 “단순한 준법 감시의 차원을 넘어 높아진 국격과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는 엄격한 윤리 기준을 세우고 실천할 것”이라고 말했다.
류진 “정경유착 반복 안돼… 한경협, 美CSIS 같은 싱크탱크 될것”
‘55년 전경련’ 후신, 한경협 새 출발
“국정농단 사건 보며 부끄러웠다… 윤리위 신설, 수긍할 인물 모실것”
삼성-SK 등 4대그룹 진통끝 복귀… “혁신안 실행 면밀히 지켜볼 것”
한경협 신임 회장에 선임된 류진 풍산그룹 회장은 “55년 전경련 역사를 뒤로하고 ‘한경협 시대’로 나아간다”고 선언했다. 이어 “저는 선친의 기업보국 정신을 이어받고자 노력해 왔다”며 “기업의 이익이 국민에게 돌아가고, 또 국가와 사회의 이익이 되어야 한다고 저는 믿는다”고 강조했다.
류 회장은 ‘정경유착을 근절할 수 있겠느냐’는 재계 안팎의 우려를 의식한 듯 지난 과오를 반복하지 않겠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 총회 이후 이어진 기자간담회에서 류 회장은 “(국정농단) 사건이 터졌다는 점을 부끄럽고 아쉽게 생각한다”며 “그런 과정을 직접 봤기 때문에 다시는 반복되지 않도록 하는 장치를 만들겠다는 자신감이 있다. 윤리위를 통해 그런 사태가 다시는 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경협이 지향점으로 삼는 CSIS는 1962년 설립됐다. 대체로 보수적인 성향이지만, 미국 공화당·민주당을 비롯해 다양한 정치적 배경을 지닌 관료와 연구자들이 소속된 초당적인 조직에 가깝다. 류 회장은 2020년 말부터 CSIS 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그는 “(보수적인) 헤리티지재단보다는 중립적이고 많은 분야를 다루는 CSIS가 한경협의 방향에 맞지 않나 생각한다”면서 “특히 북한 관계 등 우리에게 필요한 정보를 많이 줄 수 있는 파트너”라고 했다.
4대 그룹은 한경협 회원사로 복귀하면서도 회비 납부나 이사회 참여 등 본격적인 활동에는 여전히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이고 있다.
삼성 계열사들은 정경 유착 시 즉각 탈퇴, 회비 납부 시 사용 목적과 사용처에 대한 준감위 검토, 연간 활동 내역 준감위 보고 등 한경협 복귀 조건을 무겁게 받아들인다고 밝혔다. 이찬희 삼성 준감위원장은 이날 서울 서초구 삼성생명 본사 사옥에서 기자들과 만나 한경협의 윤리위원회 설치에 대해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와 독립성을 보장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LG는 “내년 2월 정기총회까지 전경련이 글로벌 싱크탱크로의 전환이라는 혁신안을 제대로 실행하는지 지속적으로 면밀하게 살펴보고, 필요한 부분은 회사 측에서 제안 또는 요청해야 하며, ESG 위원회에서 주기적으로 논의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SK도 회원 자격 유지엔 동의했지만 향후 혁신안 실행 여부를 면밀히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현대차는 이달 중 각 계열사 이사회 지속가능경영위원회의 관련 검토가 예정돼 있다.
한편 이날 총회에는 류 회장을 비롯해 이장한 종근당 회장, 김윤 삼양홀딩스 회장, 이웅열 코오롱 명예회장, 구자은 LS 회장, 조현준 효성 회장 등이 참석했다.
곽도영 기자 now@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균용 “법원이 조롱거리로 전락”… ‘김명수 사법부’ 정면비판
- [송평인 칼럼]김명수 대법원을 만든 건 8할이 尹이다
- 日, 내일부터 오염수 방류… 韓 “계획과 다를땐 중단 요청”
- 北 이르면 내일 정찰위성 재발사
- 전경련, 한경협으로 새출발… 류진 회장 “엄격한 윤리 실천”
- 주담대 14조 늘어 1031조 ‘역대 최대’… 가계 빚 3개 분기만에 다시 증가세로
- 美 국채금리 16년만에 최고치… 고금리 장기화 우려
- [횡설수설/장택동]광화문광장 2.5배 넓이에 CCTV 1대… ‘치안 사각’ 도시공원
- 애벌레 배설물로 비료 만들어 年매출 25억
- 감사원 “2031년부터 매년 6억t 물부족”… 댐건설 탄력받을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