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채권 5.3조 정리에도 … 은행 연체율 늘어

서정원 기자(jungwon.seo@mk.co.kr), 문재용 기자(moon.jaeyong@mk.co.kr) 2023. 8. 22. 17:4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분기 0.35%로 소폭 상승
실질연체율은 코로나때 수준
신규연체 5.9조 가파르게 증가

올해 2분기 말 은행 연체율이 0.35%를 기록하며 전 분기 대비 증가했다. 연체 채권 정리 규모를 전 분기보다 40% 늘렸지만 연체가 빠르게 증가했다. 특히 연체 채권 상각·매각을 통한 '착시 효과'를 걷어낸 실질 연체율을 보면 더 빠른 속도로 오르고 있다. 금융당국과 민간 전문가들은 공히 미래 손실에 대비해 충당금 확대를 권고했다.

22일 금융감독원은 올해 6월 말 국내 은행 원화 대출 연체율이 0.35%로 전 분기 대비 0.02%포인트 늘었다고 밝혔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33%로 전 분기 대비 0.02%포인트 증가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22%로 0.02%포인트 증가했고,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 연체율은 0.62%로 0.03%포인트 늘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0.37%로 0.02%포인트 증가했다.

2분기 중 연체 채권 정리 규모는 5조3000억원으로 1분기(3조8000억원)보다 40% 증가했지만 연체액이 더 많아 연체율이 올라갔다. 2분기 중 신규 연체 채권 규모는 5조9000억원으로 1분기에 비해 7% 증가했다.

상각·매각 이전의 자산건전성 지표인 실질 연체율은 더 가파르게 상승했다. 높은 위험에는 대개 높은 수익이 따르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통상 수익 조정 위험률인 명목 연체율을 보지만, 자산건전성 자체를 살필 때에는 실질 연체율이 더 유용하다.

올해 2분기 말 4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평균 실질 연체율은 0.341%로 전 분기 대비 0.042%포인트 상승했다. 4대 은행의 실질 연체율이 0.3%를 넘은 건 코로나19 시기인 2020년 2분기 이후 3년 만이다. 한 시중은행 행장은 "은행에서는 연체율이 0.5%를 넘으면 위험하다고 보고 그 이하로 관리한다"고 말했다.

4대 은행 중 실질 연체율이 0.3% 미만인 곳은 국민은행(0.29%)뿐이었다. 우리은행이 0.37%로 가장 높았고 신한은행(0.36%), 하나은행(0.35%)이 뒤를 이었다. 중저신용자, 소상공인, 개인사업자들에게 많이 대출해주는 NH농협은행과 지방은행들 가운데서는 실질 연체율이 0.5%를 넘는 곳이 나왔다. 전북은행의 2분기 실질 연체율이 1.33%로 가장 높았다.

[서정원 기자 / 문재용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