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 ‘샤넬’과 피부 노화 지연 기술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대학병원이 글로벌기업 '샤넬'과 함께 '당대사 조절을 통한 피부 멜라닌세포 노화 지연 기술'을 개발했다.
공동 연구팀은 피부 색소세포인 멜라닌세포가 노화되는 과정에서 세포 내 당대사 변화가 발생하고, 멜라닌소체의 전달 기능 장애로 세포 내 멜라닌 색소 축적 현상이 나타난다는 점을 최초로 규명했다.
연구팀은 '2-디옥시-D-글루코스' 기반 당대사 과정 재프로그래밍을 통해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세포 노화를 지연하는 기술도 처음으로 개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대학병원이 글로벌기업 ‘샤넬’과 함께 ‘당대사 조절을 통한 피부 멜라닌세포 노화 지연 기술’을 개발했다.
아주대의료원은 22일 강희영 피부과 교수팀(박영준·김진철 교수), 박태준 생화학교실 교수팀, 샤넬 연구팀이 노화 지연 기술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테라노스틱스’ 온라인판에 최근 발표했다고 밝혔다.
공동 연구팀은 피부 색소세포인 멜라닌세포가 노화되는 과정에서 세포 내 당대사 변화가 발생하고, 멜라닌소체의 전달 기능 장애로 세포 내 멜라닌 색소 축적 현상이 나타난다는 점을 최초로 규명했다.
연구팀은 정상 멜라닌세포 대비 노화된 멜라닌세포에서 멜라닌 색소와 멜라닌소체 함량이 높고, 노화 표현형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며, 멜라닌소체 전달 기능 관련 유전자와 단백질이 감소한다는 점을 확인했다.
특히 단일 세포 전사체 분석에서 정상 멜라닌세포가 노화 상태로 전환되는 지점을 처음으로 규명했다. 이 전환점을 기준으로 당대사 및 멜라닌소체의 기능적 변화가 발생했다.
연구팀은 ‘2-디옥시-D-글루코스’ 기반 당대사 과정 재프로그래밍을 통해 자외선에 의한 멜라닌세포 노화를 지연하는 기술도 처음으로 개발했다. 대사과정 재프로그래밍을 통해 멜라닌세포 노화가 느려지고, 멜라닌소체의 전달 기능과 멜라닌 색소·소체 함량이 정상화되는 것을 확인했다.
강 교수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지속적인 관심 대상인 피부 노화와 관련해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멜라닌세포의 노화 메커니즘 및 노화 멜라닌세포의 새로운 특징을 처음으로 밝혔다”며 연구의 의의를 전달했다.
[문세영 기자 moon09@donga.com]
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