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미보다 더 큰 떡전어로 자라서 돌아와...진해만에 어린 떡전어 방류

강원식 2023. 8. 22. 15: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남도수산자원연구소는 진해만 일대에서 잡히는 덩치 큰 떡전어 자원 관리를 위해 올해부터 어린 떡전어 방류를 시작했다고 22일 밝혔다.

이소광 경남도수산자원연구소 연구사는 "진해만 떡전어가 다른 해역 전어와 분류상으로는 같은 종이지만 형태나 수정란 크기 등에서 지역적 특성이 있어 진해만 고유 품종으로 보존할 가치가 있다"며 "어업인 소득증대를 위해 전어축제 등과 연계해 어린 전어 방류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남해안에서 처음으로 어린 전어 10만마리 진해만에 방류.
경남도수산자원연구소 3년간 연구 끝에 전어 종자생산 성공.

경남도수산자원연구소는 진해만 일대에서 잡히는 덩치 큰 떡전어 자원 관리를 위해 올해부터 어린 떡전어 방류를 시작했다고 22일 밝혔다.

22일 경남 창원시 진해구 수도동 인근 해역에서 경남도수산자원연구소와 진해구청·진해수협 관계자, 어민 등이 어린 전어를 바다로 내보내고 있다. 경남도 제공

수산자원연구소는 이날 창원시 진해구 수도동 인근 해역에서 진해구청·진해수협 관계자, 인근 어업인 등 30여명과 함께 크기 5cm 안팎 어린 전어(Konosirus punctatus) 10만마리를 바다로 내보냈다. 진해만에 어린 전어 방류는 진해구가 진해만 일대 전어 자원 유지와 관리를 위해 수산자원연구소에 전어 종자 생산·방류를 요청함에 따라 올해 처음 실시됐다. 수산자원연구소는 2021년부터 3년간 연구를 통해 크기 5cm 안팎 어린 전어 10만 마리를 생산하는데 성공해 이를 진해만에 방류했다고 밝혔다.

자연산 전어는 비늘 탈락이 심해 어획된 뒤 3일쯤 지나면 대부분 폐사하는 등 10일을 넘기기 어렵다. 이 때문에 전어는 어미를 포획해 수정란을 생산하는 것이 매우 까다로운 어종으로 알려져 있다. 경남수산자원연구소에서도 2021년 포획한 어미 전어가 모두 폐사하는 등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이번에 방류한 어린 전어 종자를 생산하는데 사용된 어미 전어는 2022년 5~6월 진해구 웅동에서 포획한 뒤 연구소 육상수조에서 1년간 먹이를 주며 관리하고 키웠다. 수산자원연구소는 올해 생산된 어린 전어 일부는 연구소에서 키워 어미로 활용할 수 있어 앞으로 전어 종자를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전어는 우리나라 연근해와 일본 중부 이남, 발해만, 동중국해 등에 주로 분포한다. 연안표층에서 중층사이에 서식하는 연안성 어종이다. 일반적으로 6~9월에는 먼바다에 있다가 10월부터 다음해 5월사이에 연안 내만으로 이동해 생활한다. 산란기는 3~6월이다. 산란기가 되면 연안 내만으로 떼를 지어 몰려 내만 입구 저층에서 알을 낳는다. 소형 동물성 및 식물성 플랑크톤과 바닥 유기물을 펄과 함께 먹는다. 가을에 맛이 있어 가을 생선으로 알려져 있다. 부화한 뒤 1년이면 몸 길이가 11cm, 2년이면 16cm, 3년이면 18cm, 4년 뒤에는 20cm쯤 자라고 최대 몸 길이는 26cm이다. 수명은 평균 7년이다.

경남도수산자원연구소가 바다에서 포획한 어미 전어에서 생산해 진해만에 방류한 어린 전어. 경남도 제공

진해만 주면에서 어획되는 전어는 덩치가 커 옛날부터 ‘떡전어’라고 불렀지만 ‘전어’와 ‘떡전어’는 다른 종이 아니다. 특히 진해만 떡전어는 3년 이상 성장한 큰 전어가 많고, 살이 통통하며 속살이 붉은 것이 특징이다. 진해만 인근 바다는 무기물질이 다량 함유된 개펄이 많고 동물성 플랑크톤이 풍부한데다 조류가 거세 이곳에서 자란 전어는 체형이 크고 근육질이 발달해 비싼 가격에 거래된다.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어획된 전어는 모두 6649t(285억 300만원)으로 이 가운데 68.7%인 4570t(98억 9600만원)이 경남에서 생산됐다. 2021년에는 전국에서 1만 1204t(296억 100만원), 이 가운데 경남에서 6666t(96억 2000만원)이 어획됐다.

이소광 경남도수산자원연구소 연구사는 “진해만 떡전어가 다른 해역 전어와 분류상으로는 같은 종이지만 형태나 수정란 크기 등에서 지역적 특성이 있어 진해만 고유 품종으로 보존할 가치가 있다”며 “어업인 소득증대를 위해 전어축제 등과 연계해 어린 전어 방류를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창원 강원식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