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땅 속에 봉인했더니 '수천억원' 나온다…뉴노멀, 뉴비즈니스

최경민 기자 2023. 8. 22. 06:3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기후변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땅속에 저장하는 것을 통해 막대한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이 현실화되고 있다.

21일 에너지 업계에 따르면 SK E&S가 호주의 산토스 등과 함께 추진하고 있는 바유운단(Bayu Undan) 탄소 저장소의 경우 1톤당 50달러 수준의 가격을 기대하고 있다.

바유운단 탄소 저장소의 경우 잠재 수요처를 모두 확보해놓은 상황으로 알려졌다.

산토스의 리차드 힝클리 호주 북부 및 동티모르 부사장은 "향후 25년 동안 바유운단 저장소를 꽉 채울 이산화탄소 소스가 충분하다"고 언급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CS 플랜트로 전환될 예정인 SK E&S 바유운단(Bayu-Undan) 천연가스 생산설비 /사진=SK E&S

기후변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를 땅속에 저장하는 것을 통해 막대한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이 현실화되고 있다.

21일 에너지 업계에 따르면 SK E&S가 호주의 산토스 등과 함께 추진하고 있는 바유운단(Bayu Undan) 탄소 저장소의 경우 1톤당 50달러 수준의 가격을 기대하고 있다. 2005년부터 가스전으로 활용했던 이곳은 올 연말 고갈을 앞두고 있고, 향후 연 1000만톤에 달하는 탄소를 저장하는 장소로 쓰일 예정이다.

바유운단을 둘러싼 프로젝트는 △인근 바로사(Barossa)에서 천연가스를 뽑고 △이를 호주 북부 다윈의 LNG(액화천연가스) 터미널로 이동시킨 후 △터미널에서 탄소포집을 통해 저탄소 LNG를 생산하고(연 130만톤 한국 도입) △포집한 탄소를 바유운단 폐가스전에 저장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저탄소 LNG 생산'이라는 핵심 캐시카우 외에도 '탄소 저장소 운영'을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구조여서 업계의 관심을 모으는 중이다.

단순 계산을 했을 때 바유운단 탄소 저장소를 통해 연 5억 달러(6704억원)에 달하는 돈을 벌 수 있다. SK E&S는 다윈 LNG 터미널과 바유운단 폐가스전 시설에 대한 2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탄소 저장 분야에서만 연 1600억원 이상의 매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셈이다.

바유운단 탄소 저장소의 경우 잠재 수요처를 모두 확보해놓은 상황으로 알려졌다. 바로사 가스전에서 발생하는 탄소는 연 200만톤 수준으로, 나머지 연 800만톤은 선박 등을 통해 수입할 예정이다. 다윈 LNG 터미널의 경우 선박 접안시설까지 모두 갖춘 상태다. 산토스의 리차드 힝클리 호주 북부 및 동티모르 부사장은 "향후 25년 동안 바유운단 저장소를 꽉 채울 이산화탄소 소스가 충분하다"고 언급했다.

다윈 LNG 터미널 전경 /사진=SK E&S

SK E&S의 경우 호주 북부 해상 보나파르트 지구에 위치한 대염수층인 'G-11-AP 광구'도 낙찰 받았다.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대염수층에 주입하면, 긴 시간에 걸쳐 용해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잠재 탄소 저장용량 평가 등을 진행한 후 본격 사업을 시작할 계획이다. 이 경우 SK E&S가 탄소 저장소 운영을 통해 얻는 수익이 더욱 증가할 수밖에 없다.

수요는 충분하다는 평가다. 탄소포집 프로젝트가 넷제로(탄소순배출 0)의 필수과제로 여겨지며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글로벌 탄소포집 용량은 현재 4000만톤 수준에서 2035년 40억톤, 2050년 76억톤에 달할 전망이다. 발전부터 산업까지, 필수 화석연료 사용 분야의 경우 탄소포집을 거치는 게 뉴노멀이 될 것이란 예측이 힘을 얻고 있다.

무엇보다 '국경통과 CCS'가 가시권에 들어왔다. 포집한 탄소를 국제적으로 거래하는 게 가능해졌다는 의미다. 글로벌 탄소 거래를 위해서는 각 국별로 런던의정서 개정안 비준이 필요한데 한국은 노르웨이, 네덜란드, 덴마크, 영국, 벨기에, 스웨덴 등과 함께 이미 비준을 완료했다. 호주 역시 상원에서의 절차를 조만간 마무리할 예정이다.

유럽연합 탄소배출권거래제(ETS) 가격이 최근 3~4년 사이 4~5배 급등하면서 1톤당 100유로에 육박한 게 결정적이다. 박용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은 "탄소 크레딧 가격이 오른 결과, 이제는 탄소를 다른 나라로 수송해서라도 CCS를 해야 하는 시대가 열렸다"고 설명했다.

에너지 업계 관계자는 "한국의 경우 2030년 1120만톤 규모의 탄소포집 목표를 잡았지만 지리적 여건상 대규모 저장소를 마련하기 쉽지 않다"며 "해외 폐가스전 등을 선제적으로 확보하며 탄소 저장 영토를 확대해나가는 게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경민 기자 brown@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