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둔형 청년 늘자… 디시인사이드 등 온라인 커뮤니티 사용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취업 실패 등의 요인으로 사회적 고립(은둔)을 자처하는 청년들이 늘면서, 온라인 커뮤니티 사용자도 증가하고 있다.
21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국내 최대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인 디시인사이드 앱의 지난달 월 실사용자 수는 64만명으로, 3년 전인 2020년 7월(28만명)과 비교해 2배 넘게 증가했다.
온라인 커뮤니티 사용자가 늘어난 것은 그만큼 은둔 청년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디시 외 주요 커뮤니티 사용도 늘어
범죄 모방범 증가 등 부작용 속출
윤리규정, 법적 의무화로 모니터링 강화해야
취업 실패 등의 요인으로 사회적 고립(은둔)을 자처하는 청년들이 늘면서, 온라인 커뮤니티 사용자도 증가하고 있다. 은둔 청년들이 현실에서 사회적 교류를 끊고 인터넷 공간에서 소통을 택한 것이다. 하지만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살인 예고 게시글은 물론 미성년자 성착취, 마약 오남용, 자살 조장 등의 부작용이 잇따르면서 일탈이 도를 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21일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국내 최대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인 디시인사이드 앱의 지난달 월 실사용자 수는 64만명으로, 3년 전인 2020년 7월(28만명)과 비교해 2배 넘게 증가했다. 2021년에는 33만명, 지난해 7월에는 50만명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단순히 일회성 웹 접속이 아닌 앱 설치를 통한 방문자가 증가했다는 건 디시인사이드를 주기적으로 사용하는 하드 유저가 늘었다는 의미다. 지난달 디시인사이드의 1인당 평균 사용시간은 1222분으로 3년 전 1086분과 비교해 136분 증가했다.
앱 접속이 아닌 웹 접속자까지 포함한다면 디시인사이드를 사용하는 사용자 숫자는 훨씬 많다. 시밀러웹에 따르면 디시인사이드는 지난달 국내 사이트 트래픽 순위에서 네이버, 구글, 유튜브, 다음에 이어 5위를 기록했다. 전체 사용자 중 약 80%가 10~30대로, 남성 사용자가 79%, 여성 사용자가 21%를 차지하고 있다.
디시인사이드 뿐만이 아니다. 국내 커뮤니티 중 디시인사이드에 이어 사용자 수가 많은 에펨코리아의 경우 지난달 앱 월 실사용자 수는 4만5000명으로 3년 전(1만1000명)과 비교해 4배 넘게 증가했다. 국내 대표 여초 커뮤니티인 더쿠도 지난달 앱 월 실사용자 수는 9739명으로 3년 전인 6795명과 비교해 증가했다. 같은 기간 1인당 평균 사용시간도 461분에서 583분으로 늘었다.
온라인 커뮤니티 사용자가 늘어난 것은 그만큼 은둔 청년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서울시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시 거주 청년 중 은둔 비율은 약 4.5%다. 전국 청년을 대상으로 범위를 넓히면 국내 은둔 청년은 약 61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5월 발표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조사에서도 팬데믹 이전인 2019년 3.1%로 집계됐던 고립 청년의 비율은 2021년 5.0%로 증가했다.
특히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이른바 ‘살인 예고’ 게시 등 범죄를 과시하거나 부추기는 글들이 쏟아지고 있다. 지난 1일 디시인사이드에 ‘신림 살인 예고글’이란 제목으로 살인을 예고하는 게시글이 올라왔는데 신림동 흉기난동 사건 피의자 조선(33)의 범행 동기를 모방한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도 수많은 범죄 예고 글이 올라왔다. 경찰에 따르면 지난달 21일 신림역 흉기난동 사건 이후 작성자를 검거했거나 추적 중인 인터넷 커뮤니티의 살인예고 글은 최소 25건이다.
범죄심리 전문가들은 은둔형 청년과 ‘묻지마 범죄’ 증가의 관계가 깊다고 분석한다. 최근 서울 관악구 신림동 공원 인근 등산로에서 여성을 무차별적으로 폭행하고 성폭행한 피의자 최모씨(30)도 별다른 직업 없이 PC방과 자택을 오가는 게 전부인 은둔형 외톨이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혐오 발언 등이 일반화되고, 이러한 글들이 관리가 안 되는 것 또한 객관적 사실”이라며 “커뮤니티 서비스 기업의 자발적인 모니터링 등만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윤리적 규정을 법적인 테두리로 의무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무비자에 급 높인 주한대사, 정상회담까지… 한국에 공들이는 中, 속내는
- 역대급 모금에도 수백억 원 빚… 선거 후폭풍 직면한 해리스
- 금투세 폐지시킨 개미들... “이번엔 민주당 지지해야겠다”는 이유는
- ‘머스크 시대’ 올 것 알았나… 스페이스X에 4000억 베팅한 박현주 선구안
- 4만전자 코 앞인데... “지금이라도 트럼프 리스크 있는 종목 피하라”
- 국산 배터리 심은 벤츠 전기차, 아파트 주차장서 불에 타
- [단독] 신세계, 95年 역사 본점 손본다... 식당가 대대적 리뉴얼
- [그린벨트 해제後]② 베드타운 넘어 자족기능 갖출 수 있을까... 기업유치·교통 등 난제 수두룩
- 홍콩 부동산 침체 가속화?… 호화 주택 내던지는 부자들
- 계열사가 “불매 운동하자”… 성과급에 분열된 현대차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