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리스크에 움츠러든 중국···“‘만만디식’ 위험관리로 당분간 저성장 국면”

권정혁 기자 2023. 8. 21. 14:4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기 서프라이즈 지수는 시티그룹이 만든 지표로, 실제 발표된 경제지표가 시장 전망치와 얼마나 부합했는지 정도를 지수로 나타내 최근 경제지표의 흐름을 알려준다. 블룸버그,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제공

중국 정부가 당분간 경기 부양보다 금융권 리스크 관리에 집중하는 ‘만만디(慢慢的·천천히)’ 방식의 위험 관리에 나설 것으로 보이면서 중국경제에 대한 투자심리 개선에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21일 증권가에 따르면 중국이 이어오던 대규모 경기부양 정책을 축소할 경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문남중 대신증권 연구원은 “중국 정부는 과거와 달리 부동산 기업 지원을 위한 대규모 경기부양 정책을 배제하고 부동산 개발업체의 부도 위기가 금융기관으로 확산하는 것을 차단하는 선에서 정책적 노력을 쏟아부을 것”이라면서 “마오쩌둥 시대 이후 처음으로 3년 연속 5% 미만의 경제 성장률을 기록할 가능성이 커져 중국 경제를 바라보는 투자심리가 호전되는 데 상당한 시간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중국 정부가 경제와 민생에 미치는 영향이 큰 ‘충격요법’을 통해 단기에 부채 리스크를 해소하기보다는, 경제에 미치는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장기적으로 부채 리스크를 관리하는 정책 수단을 쓸 것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이 경우 중국 경제는 지난 2010년대 중반과 같은 저성장 국면에 진입할 수도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박상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금융시장은 단기간에 중국 부채 리스크가 어느 정도 해소되는 방안을 원하고 있지만, 중국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할 때 충격요법보다는 ‘만만디’ 방식의 부채 위험 관리 방안을 선택할 것”이라면서 “2010년대 중반과 같은 만만디 부채 리스크 해소정책을 추진할 경우 중국 성장률은 5% 이하, 즉 3∼4%대 성장률 수준으로 하향될 공산이 있다”고 말했다.

박 연구원은 다만 2010년대 중반 대비 최근 국내 기업들의 대중국 수출 비중이 감소해 악재를 상쇄시켜줄 수 있고, 글로벌 자금의 탈중국 현상에 따라 수혜를 받을 수도 있는 점 등은 긍정적이라고 덧붙였다.

시장에서는 중국의 부동산 디폴트(지급불능) 위기가 국내에 미칠 여파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지난 18일 중국의 2위 부동산 개발업체였던 헝다(에버그란데)가 미국 뉴욕 법원에 파산보호법 15조(챕터15)에 따른 파산보호를 신청하면서 국내외 금융시장에는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권정혁 기자 kjh0516@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