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체포동의안 표결 보이콧? "대국민 약속 뒤집기"

2023. 8. 21. 11:5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어리 기자(naeori@pressian.com)]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에 대한 검찰의 두 번째 구속영장 청구가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친(親)이재명계가 '체포동의안 표결 거부'로 돌파구를 찾는 모양새다.

친명계는 체포동의안 투표 거부가 부결 투표로 '방탄' 논란의 빌미를 제공하지 않으면서도 이 대표에 대한 구속을 막을 수 있는 묘수로 판단하는 분위기지만, 비명계의 반발이 되레 커지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계파 갈등 속 이재명 "국폭 정권부터 폭력 벗어나라"

[서어리 기자(naeori@pressian.com)]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에 대한 검찰의 두 번째 구속영장 청구가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친(親)이재명계가 '체포동의안 표결 거부'로 돌파구를 찾는 모양새다. 비(非)이재명계는 체포동의안 표결 거부가 '불체포특권 포기' 선언을 피해가기 위한 꼼수로 판단하고 있어 계파 갈등이 커지고 있다.

친명계인 민형배 의원은 지난 19일 원외 모임인 '더민주혁신회의' 축사에서 "(체포동의안) 투표 거부로 이 대표를 지키고 민주당도 지키겠다"고 밝혔다. 민 의원은 "며칠 간 열심히 생각했는데 간단히 물리치는 방법이 있다"며 "본회의장에 들어갔다가 투표가 시작하면 민주당 의원들이 일제히 빠져나오면 된다"고 말했다.

정청래 최고위원도 "당 대표를 무도한 검찰이 잡아가려 한다면 '왜 잡아가느냐, 무슨 죄가 있다고 잡아가느냐, 잡아가지 말아라'라고 얘기해야 할 의원들이 '잡아가라'고 도장 찍는 것이 이해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친명계는 체포동의안 투표 거부가 부결 투표로 '방탄' 논란의 빌미를 제공하지 않으면서도 이 대표에 대한 구속을 막을 수 있는 묘수로 판단하는 분위기지만, 비명계의 반발이 되레 커지고 있다.

고민정 최고위원은 21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친명계의 이같은 움직임에 대해 "대국민 약속을 뒤집는 일"이라며 강하게 비판했다.

고 최고위원은 "'김은경 혁신위'에서 제안했었던 체포동의안에 대한 민주당의 스탠스, 거기에 대한 지도부의 답변이 있었다"며 "그 말을 번복하자는 말인지 확인해 보고 싶다"고 지적했다. 불체포 특권 포기 서약 및 당론 가결을 요구한 혁신안을 수용키로 한 결정을 뒤집는 효과를 낸다는 것이다.

이어 "일단 한 번 내뱉은 말에 대해서는 당연히 약속을 지키는 게 정치"라며 "김은경 혁신위에서 내놓은 안들을 더 강하게 추진해야 된다라고 말하는 의원들도 많기 때문에 번복하려는 의도는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당내 논란이 거세지는 가운데 이재명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윤석열 정부를 '국폭 정권'으로 규정하며 "국가 폭력 행사는 절대로 역사가 용서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자신에 대한 검찰의 2차 구속영장 청구가 임박하자 강한 표현으로 정부를 비판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표는 "사회적으로 여러 곳에서 폭력이 문제가 되고 있다"며 "한 때 조직 폭력, 조폭이 문제였고. 학교 폭력, 학폭이 문제가 됐다. 그렇다 보니 정부에서 '건폭(건설 폭력)'이란 희한한 말을 만들어서 문제를 내세웠다"면서 "그런데 진짜 심각한 폭력은 국가 폭력"이라며 "지금 이 정권은 국민이 맡긴 권력으로 폭력을 행사한다. 국폭 정권"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국민이 맡긴 권력으로 국민을 위협하고 억압한다"면서 "'국폭 정권'부터 폭력 문제에서 벗어나라"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와 박광온 원내대표가 21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연합뉴스

[서어리 기자(naeori@pressian.com)]

Copyright © 프레시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