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40 유자녀 가구, 집 선택 시 '학군'이 1순위

이예슬 기자 2023. 8. 21. 11:3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자녀가 있는 가정은 주택을 선택할 때 주거비나 직장과의 거리보다 자녀 교육 여건이 우수한 지역을 가장 우선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박미선 주거정책연구센터장, 조윤지 전문연구원은 국토이슈리포트 '3040 유자녀가구의 내 집 마련과 출산, 선택기준과 방해요인'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소득 300만원 미만일 경우 주거비(주택가격 및 임차료)가 36.0%로 주택 선택 요인 1순위를, 자녀교육이 27.2%로 2순위를 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토연구원, 3040 유자녀가구 대상 연구
소득 낮으면 주거비, 높을수록 교육 우선
서울은 도심공급, 지방은 품질제고 중요시
[서울=뉴시스] 3040 유자녀 가구의 1순위 주택선택요인. (표=국토연구원 제공)

[서울=뉴시스] 이예슬 기자 = 자녀가 있는 가정은 주택을 선택할 때 주거비나 직장과의 거리보다 자녀 교육 여건이 우수한 지역을 가장 우선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높을수록 그 중요성은 더 강조됐다.

21일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박미선 주거정책연구센터장, 조윤지 전문연구원은 국토이슈리포트 '3040 유자녀가구의 내 집 마련과 출산, 선택기준과 방해요인'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3040 연령대 자녀 양육가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고 자녀 출산·양육과 주거인식을 파악하고 향후 필요한 주거정책을 제안한 연구다.

3040 유자녀가구는 주로 자가(62.6%)에 거주하고 있었지만 서울은 자가 거주 비율이 44.5%로 낮은 편이었다. 주택 유형은 주로 아파트(77.8%)였다. 서울(63.3%)에 비해 도지역(71.3%), 광역시(68.6%), 인천·경기(60.2)의 아파트 거주비율이 높았다.

현재 살고 있는 집을 선택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 요인은 학교, 학원 등 자녀교육 여건이 32.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주택가격 및 임차료(24.4%), 직장 거리(17.1%), 주거 환경(12.7%), 양육 도움(9.1%), 자산 가치(3.9%)가 그 뒤를 이었다.

소득이 많을수록 자녀 교육을 중요하게 여겼고, 낮을수록 주택가격의 영향력이 커졌다. 소득 300만원 미만일 경우 주거비(주택가격 및 임차료)가 36.0%로 주택 선택 요인 1순위를, 자녀교육이 27.2%로 2순위를 점했다. 300~500만원 구간부터는 자녀교육이 29.8%, 주거비 27.8%로 순위가 바뀌었다. 500~700만원은 교육과 주거비가 각각 34.3%와 22.4%였고, 700만원 이상이면 교육이 34.9%까지 올라왔고 2순위는 직장 거리(17.5%)가 차지했다. 주거비는 17.4%로 3순위였다.

내 집을 가져야 한다는 생각은 결혼할 당시(51.2%)보다 자녀 출산 이후(71.1%) 크게 높아졌다. 자가 거주 가구의 생애최초주택 마련 시점은 결혼 전이 34.3%로 가장 많았고, 첫째 자녀 출산 이후 29.3%, 둘째 자녀 출산 이후 28.7% 순이었다.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으로는 무주택자 내 집 마련(34.6%), 우수한 입지에 주택공급(27.7%), 도심 내 주택공급 확대(20.0%) 등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과 같이 전반적으로 입지가 양호한 곳에서는 도심 내 주택공급 확대(28.6%)를, 인천·경기에서는 입지가 좋은 곳에 주택을 공급(30.5%)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했다. 집값이 안정돼 있고 자가 주택구입이 높은 도지역에서는 주택품질을 제고(16.0%)하는 것이 도심 내 주택공급(15.7%)보다 더 중요한 정책으로 받아들여졌다.

박 센터장은 "지역에 따라 중요하고 효과가 높을 것으로 인식하는 정책의 차이가 선명한 만큼 전국적 정책의 기본 틀에서 지역별 차이를 고려한 차별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ashley85@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