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광운 전북대 교수팀, 암호화 가능한 스마트 윈도 소재 개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북대는 정광운 공대 고분자나노공학과(나노융합공학과 대학원) 교수팀이 전기변색과 광학을 접목해 간단한 코팅공정으로 제작하고 암호화까지 가능한 스마트 윈도 소재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임민우 박사과정생은 "액정을 이용한 전기변색 스마트 윈도는 나노구조의 제어가 가능하고 5볼트(V )이내의 작은 에너지로 색변화가 가능한 매력적인 소재"라며 "빛의 편광과 흡수파장 제어가 동시에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 윈도가 현대 광학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기변색 소재를 액정형태로 합성해 간단한 코팅공정 제작
빛의 편광과 흡수파장 동시 제어, 현대 광학 디바이스 적용
전북대는 정광운 공대 고분자나노공학과(나노융합공학과 대학원) 교수팀이 전기변색과 광학을 접목해 간단한 코팅공정으로 제작하고 암호화까지 가능한 스마트 윈도 소재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전기변색 소재는 전기 자극에 따라서 산화·환원 반응을 일으켜 색상을 가역적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단순히 색상의 변화 즉, 빛의 흡수파장의 변화는 최신 스마트 윈도 시장에서 요구되는 복잡성 측면에서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 같은 한계를 극북하기 위해 정 교수팀은 전기변색 소재를 액정형태로 합성하고 간단한 코팅공정으로 분자를 나노 수준에서 한쪽 방향으로 제어했다. 이를 통해 제작된 스마트 윈도가 빛의 흡수파장과 편광도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데 성공했다.
이번 연구 성과를 통해 나노구조와 전기변색 특성을 철저히 규명했으며, 전기적 자극이나 빛의 편광 방향에 따라서 정보를 암호화할 수 있는 고급 광학 장치를 성공적으로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정 교수 연구실에 임민우 박사과정생이 제1저자로 연구를 주도했다. 임민우 박사과정생은 지금까지 제1저자로 5편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 총 14건의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 논문에 참여했고, 국내외 학회에서 2번의 우수논문발표상을 수상하는 등 차세대 연구자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임민우 박사과정생은 “액정을 이용한 전기변색 스마트 윈도는 나노구조의 제어가 가능하고 5볼트(V )이내의 작은 에너지로 색변화가 가능한 매력적인 소재”라며 “빛의 편광과 흡수파장 제어가 동시에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 윈도가 현대 광학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의 기초연구실지원사업, 중견연구자지원사업, 미래소재디스커버리사업과 함께 교육부의 4단계 두뇌한국21 사업(BK21-FOUR)의 지원을 받아 수행했다. 재료화학분야 국제학술지 '에이시에스 나노' 8월호에 게재됐다.
전주=김한식 기자 hskim@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韓 vs 日 "4680 배터리 주도권 잡아라"
- 마이크로 LED 뒷짐 진 한국 中 · 대만에도 인프라 뒤처져
- [한미일 정상회의] 한미일 관계 역사적 분기점…산업경제 구도 뒤흔든다
- 가전제품 70분이면 손안에...배민, 쇼핑 슈퍼앱 부상
- “톰 크루즈도 못할 中 바퀴벌레 생존력”…비행기 창문에 매달려 비행
- LG전자, 세탁기·건조기 한 몸에...IFA서 첫 선
- [사설]부가통신사 자발적 참여 유도해야
- 6기 방통위, 미디어 거버넌스 변화 예고…통신 이슈는 신중
- 김근식 코위버 연구소장 “토종 양자내성암호(PQC)로 양자컴퓨팅 시대 대응한다”
- [KISTI 과학향기]먼 옛날, 여성은 채집만 했다? 사냥하고 권력도 잡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