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짱' 출신 박태준의 웹툰 회사…영업이익률 30% [그래서 투자했다]

김종우 2023. 8. 21. 09:2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투자했다 (12)
이승연 이노폴리스파트너스 책임심사역
이 기사는 프리미엄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한경 긱스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한경 긱스(Geeks)의 [그래서 투자했다]는 벤처캐피털(VC)이나 액셀러레이터의 투자심사역이 발굴한 스타트업과 투자 비하인드 스토리를 소개합니다. 오늘은 이승연 이노폴리스파트너스 책임심사역이 웹툰 스튜디오 '박태준만화회사'를 만든 더그림엔터테인먼트에 투자한 뒷이야기를 전합니다.
웹툰 산업은 K팝이나 K드라마와는 달리 'K'가 붙지 않는 한국의 고유한 디지털 만화 장르다. 코로나 시국은 전통적인 출판 만화 시장의 점유율을 넘어서는 계기가 됐다.

더그림엔터테인먼트는 네이버웹툰의 1위 CP사다. 브랜드 이름인 ‘박태준만화회사’로 더욱 잘 알려져 있다.

'성덕'이 될 기회 잡은 심사역

필자는 고교 시절 야간자율학습을 하면서 PMP(그 당시엔 태블릿PC 대신이었다)로 영화, 드라마, 무협소설 그리고 출판만화의 스캔본을 보곤 했다. 김성모 작가의 '럭키짱'이나 무협 만화의 거두였던 황성 작가의 작품을 즐겨봤던 기억이 있다.

대학교에 진학할 즈음엔 다음과 네이버에서 웹툰이라는 서비스를 시작했다. 네이버의 '노블레스' '신의 탑' '갓오브하이스쿨'이나 다음의 '무빙' '미생' 같은 작품을 매주 챙겨봤다. 2014년 박태준 작가의 '외모지상주의'가 나오면서 신선한 소재와 탁월한 그림체에 반했는데, 1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매주 결제해서 보고 있다.

그렇게 팬으로 10년이 지나 VC 심사역이 된 지난해, '성덕'이 될 수 있는 기회가 왔다.

한국 스타트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1위를 할 수 있는 섹터 중 단연 손꼽히는 것은 콘텐츠 분야라는 판단을 했다. 그 시발점이 방탄소년단, 싸이, 블랙핑크 등 K팝 스타들과 '스위트홈' '킹덤'과 같은 넷플릭스 오리지널 드라마들이고, 웹툰 역시 새로운 콘텐츠 '강자'로 자리잡고 있다. 

국내 웹툰 시장 규모가 1조원을 넘어서는 단계고, 글로벌 만화 시장은 더욱 큰 규모로 이제 막 개화하고 있다. 세계 최대 만화 시장인 일본은 카카오의 픽코마와 네이버의 라인망가가 과점·양분하고 있는데, 올해 기준 5조원 규모가 넘는 시장이다. 네이버와 카카오의 시스템이 주도해 글로벌 표준을 만들어 나가는 이 시장은, CAGR 40.8%씩 성장해 2030년이면 약 80조원에 육박할 전망이다.

일본의 최대 출판 만화사인 슈에이샤는 세로스크롤(다테요미망가) 만화 전문 플랫폼인 ‘점프툰’을, 프랑스의 디즈니 공식 매거진 발간사인 픽소 매거진은 ‘덕툰’을 내놨다. 자국의 출판 만화에 자부심이 강한 나라에서도 웹툰이 무시할 수 없는 대세로 떠오르고 있다는 반증이다. 북미 지역에서도 2021년 카카오엔터테인먼트에 인수된 웹툰 플랫폼 타파스가 빠르게 성장했고, 네이버웹툰의 성장세 역시 매우 눈부시다. 애플은 ‘애플북스’에 150개국 40개 언어로 웹툰을, 아마존은 킨들스토어를 통해서 ‘아마존 플립툰’이라는 웹툰 서비스를 선보이기도 했다.

심사역으로서 웹툰 시장의 개화와 플랫폼의 성장을 보면서 더욱 핵심이 되는 것은 지식재산권(IP)의 가치, 이를 생산하는 CP 사업자와 그 소속의 작가들이라고 생각했다. IP의 2차 사업화와 작가의 질 좋은 작품 생산을 위한 CP 사업자의 시스템이 보다 진보해야 한다.

웹툰 특성상 주 80컷 이상의 작업을 개인이나 개별 팀이 담당했다. 매주 스케줄이 있는 바쁜 연예인이 매니저, 프로듀서, 코디가 없이 혼자서 해야하는 수준 이상의 업무 로드를 소화하는 것과 마찬가지인 수준이다. 이는 독자들에게 잦은 휴재와 낮은 퀄리티를 가져다줄 수밖에 없다. 작가의 건강 문제도 있다. 이런 문제들을 모두 커버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얼짱' 출신 박태준…사업가 면모 갖춰

'얼짱' 출신 박태준 더그림엔터테인먼트 대표.

지난해 6월, 더그림엔터테인먼트의 경영 총괄인 안형수 이사와 초도 미팅을 진행했다. 회사는 박태준 작가의 대표작 '외모지상주의'에서 '싸움독학' '인생존망' '퀘스트지상주의'  '김부장' 등 서로 맞닿아 있는 느슨한 세계관 속 신작들이 몇 편 되지 않는 작품 수에도 불구하고 요일별로 '히트'를 치고 있던 상황이었다.

이런 상업적 성공의 배경에는 독자의 재미를 충족하고 웹툰 형식의 특성을 이해해 소위 '후킹 컷'이라고 부르는 결제율을 높일 수 있는 노하우가 톱티어 작가들에 의해 내재화돼 있었기 때문이었다. 4대 연예기획사에서 중독성 강한 후크송을 통해 성공을 거두고 글로벌 시장에서 K팝의 위상을 높인 것과 같은 방식이었다고 판단했다.

같은 해 8월 중순, 투자 검토를 위해 회사 소속 작가 두 명, 작가 영입 담당 매니저, 그리고 박태준 대표와의 인터뷰를 진행했다. 특히 박 대표와는 3시간에 이르는 긴 인터뷰를 통해 다양한 면모를 살펴볼 수 있었다.

그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 비난하는 모습과 달리, 박 대표는 생각보다 총명한 눈빛과 차분한 느낌을 풍겼다. 유튜브나 언론에 노출된 모습보다 실제로는 정제된 사업가의 모습이 많이 보였다. 콘텐츠 스타트업들을 이끄는 수많은 아티스트들을 만나보면 능숙한 달변가의 면모를 보기는 어려웠지만, 박 대표는 꽤 사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소위 ‘빠꼼이’라는 인상을 받았다.

필자가 출연했던 VC협회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명함 뒤에 받은 박태준 대표의 사인을 부적처럼 들고 다닌다고 얘기하기도 했다.

 
대주주로서 그는 대표이사라는 직함에 집착하기보다는 회사가 잘되는 방향에 대한 공감이 있었고, 박태준이라는 브랜드 밸류가 가져다주는 무게감과 부담을 동시에 인지하고 있었다. 전문경영인의 영입에 대한 고려를 할 정도로 매우 열려 있는 사업가였다. 본인이 감이 떨어질 수 있고, 몇 년 정도면 한계점에 봉착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는 겸손함도 있었다.

개인적으로는 작가로서 그가 매우 호감이었다. 웹툰이라는 형식으로 한국의 드래곤볼, 슬램덩크, 원피스와 같은 걸작을 글로벌 시장에 내놓고 좋은 작품으로 기억되고자 하는 열망이 매우 강했다. 판타지 장르를 그려서 이를 달성하고자 하는 그의 열정에 덩달아 가슴이 설렜다. 

연예기획사들이 그러하듯 더그림엔터테인먼트 역시 톱티어 작가들의 주 단위 작품 포스팅을 위해 액션 포즈를 잡는 것, 콘티를 짜는 것, 배경, 채색, 후킹 컷 등 많은 과정에서 분업화돼 있었다. 박태준 작가, 유호빈 작가, 병장 작가 등 핵심 인력이 CP(Chief Producer)라는 역할을 맡는 개념을 도입했다. 걸그룹을 담당하는 프로듀서처럼, 작품 전반을 지휘하는 CP제도를 적용, 인하우스에서의 실적을 견인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었다. 

일례로 외부 작가들과 협력하는 공동 제작 모델의 작품이 약 50% 수준의 '작품 당 마진'을 보인 반면, CP제도를 도입한 인하우스 작품은 80%를 넘어서는 마진율을 보이며 회사의 수익성을 높였다. 이렇게 다섯 편 내외의 적은 작품 수로 더그림엔터테인먼트는 2021년 기준 29.3%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다.

투자 이후, 생태계 뒤흔들다

투자 직후 회사는 공격적으로 외부 작가들을 영입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더 많은 작품들을 쏟아냈다. 대부분이 요일별 5위권, 10위권 이내의 성적들을 기록했다. '백XX' '캐슬2' '얼짱시대' '촉법소년' '사형소년' '보스였음' 등 대다수 신작이 히트를 쳤고 출시 예정인 기대작들이 더 많은 상황이라 장르의 다변화도 기대할 수 있다. '외모지상주의' 등의 작품은 성공적으로 넷플릭스 애니메이션으로 출시됐고, 이를 외주 제작한 업체는 기업공개(IPO) 이후 상한가를 찍었다.

IP의 2차 사업화에서도 훌륭한 첫 단추를 뀄다. 지난달 '빵빵이의 일상' 팀은 유튜브 채널 쇼트폼 실적을 기반으로 여의도 더현대에서 팝업스토어를 열었다. 폭발적인 인파가 몰려들어 '슬램덩크' 흥행을 며칠만에 앞질렀다고 한다. 단순 웹툰뿐 아니라 애니메이션과 쇼트폼의 영역에서도 콘텐츠 IP의 성공적인 사례를 만들어가고 있다. 


개인적으로 콘텐츠 분야 투자는 호흡의 길이에서 업의 KSF(핵심성공요인)를 짚어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짧은 길이의 K팝은 프로듀서의 역량이, 긴 호흡의 드라마는 스토리에 생명을 부여하는 작가의 역량이, 중간 길이의 영화는 PD와 작가가 KSF가 된다. 웹툰은 한 화의 호흡은 짧되 그 전체 스토리의 호흡은 수 년을 가져가고, 에피소드별로 몇 개월의 호흡을 갖는다. 즉, 전통적 콘텐츠의 KSF가 공존해 작가 외에 PD의 역할이 KSF가 될 수 있다고 봤다.

K팝의 성공으로 4대 연예 기획사가 글로벌 무대를 공략에 나선 선봉장이 됐듯, 더그림엔터테인먼트는 웹툰의 해외 진출 선봉장이 되리라 믿고 있다. 시장은 이제 대한민국의 표준에 맞춰 열리기 시작하고, 회사는 그 표준 속에서 압도적인 1위 업체로 전진하고 있다. 더그림엔터테인먼트는 마치 BTS, 블랭핑크, 뉴진스가 한 곳에 함께 있는 것과 같은 웹툰계의 최대 CP사다.



이승연 이노폴리스파트너스 책임심사역 ㅣ 2020년 이노폴리스파트너스에 합류했다. 콘텐츠, 커머스 분야와 소부장, 딥테크를 주요한 축으로 다양한 분야의 투자를 이어나가고 있다. 산업의 본질과 사업의 핵심성공요인(KSF)을 파악하고, 이를 맞출 수 있는 창업팀인지를 기준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축한다. 연세대 경영학 학사와 동 대학원에서 소비자행동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학부생 시절 킥스타터 형태의 플랫폼 창업을 시도한 바 있다. 글로벌 컨설팅 회사 맥킨지에서 첫 사회 생활을 시작한 뒤 블록체인 기반 핀테크 스타트업의 창업 멤버이자 PM으로 일했다.

김종우 기자 jongwoo@hankyung.com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