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김홍도와 연풍/서동철 논설위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선시대 대표 화가의 한 사람인 단원 김홍도(1745~?)의 도시라면 고향인 경기 안산시가 먼저 떠오른다.
특히 연풍처럼 농지가 빈약한 오지 수령은 주민 구휼이 가장 큰 과제였다.
1871년 필사한 '연풍현관아도'를 보면 동헌인 풍락헌(豊樂軒)과 현감이 거처하던 내아(內衙), 객사(客舍)가 보인다.
김홍도가 3년 남짓 머문 연풍에서 이제 그의 흔적은 찾을 수 없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조선시대 대표 화가의 한 사람인 단원 김홍도(1745~?)의 도시라면 고향인 경기 안산시가 먼저 떠오른다. 안산시 단원구는 그의 아호로 이름 지은 것이다. 단원의 자취가 배어 있는 또 하나의 고장이 연풍이다. 충청도 연풍현이 지금은 충청북도 괴산군 연풍면이 됐다. 소백산맥 줄기의 산지지만 중부내륙고속도로가 지나고 충주에서 문경을 잇는 3번 국도와 예천으로 이어지는 34번 국도가 교차하면서 교통의 요지로 떠올랐다.
김홍도는 1792년(정조 16) 정월 종6품 연풍현감에 부임했다. 정조의 어진(초상화)을 그린 데 따른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미 품계가 같은 안동부의 안기역 찰방을 지내기는 했지만, 도화서 화원 출신으로 고을 수령을 맡았다는 의미가 크다. 당시는 대(大)기근의 시대였다. 특히 연풍처럼 농지가 빈약한 오지 수령은 주민 구휼이 가장 큰 과제였다.
1871년 필사한 ‘연풍현관아도’를 보면 동헌인 풍락헌(豊樂軒)과 현감이 거처하던 내아(內衙), 객사(客舍)가 보인다. 관아 서쪽으로 향교가 있다. 관아 흔적은 연풍초등학교 운동장의 풍락헌과 길 건너 향청(鄕廳)만 남았다. 향교도 양옆으로 길이 나면서 적지 않게 훼손된 모습이다.
김홍도가 3년 남짓 머문 연풍에서 이제 그의 흔적은 찾을 수 없다. 다만 거리 곳곳을 단원의 풍속화로 장식해 위대한 화가와의 인연을 내비치고 있다. 그런데 1795년 지은 ‘공정산 상암사 중수기’에는 흥미로운 내용이 보인다. ‘김홍도가 가뭄으로 비를 빌고자 시주를 베풀어 진흙 불상의 색이 흐려진 것을 개금(改金)하여 환하게 드러내고, 진영(眞影)과 탱화가 부서지고 벗겨진 것을 비단에 물감을 먹여 그리고 칠했다’는 것이다. 상암사는 조령산에 있었다는 절이다. 단원이 직접 손을 봤다는 불화들이 남아 있었다면 단원의 고을로 연풍의 위상은 지금과 다르지 않았을까.
연풍은 천주교 성지로 순례자들의 발길이 잦은 고장이다. 신유사옥(1801) 때 교인들이 순교한 장소를 1974년 성역화했다. 천주교인들에 대한 문초와 처형은 연풍관아에서 이루어졌다. 당연히 김홍도와 연풍관아의 역사와 천주교 박해의 역사는 겹칠 수밖에 없다. 뒤섞인 관아 터와 성지를 둘러보며 ‘역사 보존의 대타협’이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서동철 논설위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여러 명이 만졌다” DJ소다, 일본 성추행범 색출·법적 조치 예고
- “여자 10명과 연애” 게이설 적극 해명한 男배우
- “성인문화 함께 만들어요”…부산으로 내려간 ‘비키니 라이딩’
- 중국인, 300㎞ 제트스키 타고 인천 앞바다 밀입국…‘셀프신고’까지
- 박현빈 “‘샤방샤방’ 만든 고교생, 제대 후 집 한채 값 입금”
- 정혁 “세 살 때 이혼한 엄마, 중학생 때 이모인 척 찾아와”
- 도심에 흉기든 사람들…20㎝ 흉기 들고 있던 남성 ‘구속’
- 합성인 줄…하와이 산불에 홀로 ‘살아남은’ 주택
- 젝스키스 고지용 맞아? 몰라보게 깡마른 모습
- 환히 웃는 영국 신생아실 간호사, 아기 7명 살해·6명 미수…동기 몰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