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사회적기업 지원금 대폭 삭감… R&D 예산도 20% 줄인다
오는 29일 정부가 발표할 내년도 예산안에서 노조 지원금이 대부분 삭감되고, 사회적 기업에 대한 지원도 큰 폭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알려졌다. 윤석열 대통령이 ‘나눠 먹기식’이라고 지적한 연구·개발(R&D) 예산도 20% 안팎의 감소가 유력한 상황이다. “1원도 허투루 쓰지 말라”는 대통령 지시에 따라 기획재정부 예산실은 ‘제로 베이스’에서 각 부처 사업을 검토, 불필요한 사업을 대대적으로 솎아냈다.
고용노동부가 올해 민주노총과 한국노총 등 노조 지원을 위해 편성한 예산은 총 44억7200만원이다. 노조가 교육이나 상담 등 사업을 수행할 때 정부가 직접 지원하는 비용이다. 정부 관계자는 “회계를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는 노동단체에는 예산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원칙에 따라 노조 지원금이 내년에 거의 삭감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고 지원을 받아 직원 인건비로 쓴다”는 비판을 받은 사회적 기업에 대한 연 3000억원 수준의 국고 보조금 예산도 확 줄인다. 사회적 기업에 대한 정부의 일자리·사회보험료 지원 등을 대대적으로 손질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디어·출판 등에 대한 관행적인 지원도 줄이기로 했다. 정부 부처 지원을 받는 YTN 사이언스(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직업방송(고용노동부) 등 시청률이 낮은데도 나랏돈으로 유지되는 방송에 대한 지원을 재검토한다.
30조원 수준인 정부의 R&D 예산의 경우 소규모 R&D 사업은 과감히 정리하는 대신 경제적 파급 효과가 큰 바이오·우주 등 국가 전략 산업에는 오히려 지원을 강화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약자 복지’ 예산은 늘어난다. 정부 관계자는 “기초생활수급자 등 자기 목소리를 내기 어려운 취약 계층을 발굴해 지원한다”고 했다. 저출산·정신 건강 관련 정책도 예산 삭감 기조를 비켜 갔다. 지난 3월 윤 대통령이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를 주재하면서 육아 대책 등 저출산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약속한 만큼 예산으로 이를 뒷받침하겠다는 것이다. 보건복지부의 정신 건강 관련(국립 병원 제외) 올해 예산은 3158억원 수준인데 내년에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전 국민 정신 건강 종합 대책’ 작업이 한창인 데다 최근 ‘묻지 마 범죄’ 사건이 잇따르면서 “관련 예산을 충분히 반영하라”는 윤 대통령 지시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민의힘, 영세 소상공인 대상 ’100만원 바우처' 지급 추진
- 與의원들, 공수처 항의방문 “尹대통령 석방하고 오동운 사퇴해야”
- [오늘의 운세] 2월 25일 화요일 (음력 1월 28일 乙丑)
- 사람처럼 팔다리 휘적... 인공근육 1000개 장착한 로봇 보니
- 베이징 거리 횡단보도에 나타난 ‘교통안내 로봇’ 화제
- 보브·지컷 구스다운에 덕다운 포함... “환불·법적 조치"
- 강기정, 소방관 ‘현관문 수리비’ 논란에 “행정이 책임질 것”
- 버틀러 영입은 신의 한수? NBA 골든스테이트, 6경기서 5승 거두며 PO 직행 노린다
- 연세대 명예졸업생 된 싸이 “성과는 소모품, 성취는 소장품”
- ‘3시간 가까이 주먹질’...불법 체류 중국인, 제주서 前 여친 때려 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