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고도 와인’ 전설이 오타에서 시작됐다고요?…맛은 찐입니다 [전형민의 와인프릭]

전형민 기자(bromin@mk.co.kr) 2023. 8. 19. 20:5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이란 사이 최근 타결한 수감자 맞교환 협상에 한국과 이란의 관계가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돕니다. 우리나라에 묶인 이란 정부의 자산 약 70억 달러(약 9조 3240억원)의 동결 해제가 포함되면서인데요.

이는 이란산 원유 수입 대금으로 지난 2019년 5월 당시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대(對)이란 제재로 국내 은행 등에 묶여 있던 자금이죠. 동결이라는 큰 걸림돌이 제거된 만큼 우리 기업이 이란 기업이나 바이어 등에게 떼인 돈 역시 돌려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되기를 바랍니다.

오랜만에 이란에 대한 국제뉴스를 접하니 이란의 고도(古都)와 얽힌 와인 이야기가 생각났습니다. 이란은 수천년의 역사를 가진 뿌리 깊은 이슬람 국가인데, 술과 관련한 오래된 이야기가 있다는 게 새삼 믿기지 않으실텐데요.

알고보면 1979년 이슬람 혁명 전까지만 하더라도 여러 곳에서 와이너리가 성업했던 중동 최대의 와인 생산국이었고, 북부 자그로스 산맥에서 조지아 다음으로 오래된 7000년 전 와인을 양조한 유적이 발견되는 등 역사적으로도 전통의 와인 생산국가였습니다.

이런 영향 때문일까요? 이란의 수천년된 도시 중 한 곳의 이름이 오늘날 인기 포도 품종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오늘은 바로 이 품종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바로 시라·쉬라즈(Syrah·Shiraz)입니다.

이란 쉬라즈 시티의 대표적인 관광지인 핑크모스크. 1888년 서양의 문물을 받아들여 완공한 모스크로 해가 뜨는 아침 시간 환상적인 빛의 향연을 보여주는 것으로 유명하다. [사진=behinburg.com]
시라? 쉬라즈? 차이가 뭐야?
우선 와인을 조금 마셔본 분이라면 시라와 쉬라즈의 차이를 궁금해 하실 겁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시라와 쉬라즈는 같은 포도입니다. 유럽과 미주에서는 시라, 호주와 오세아니아 권역에서는 쉬라즈라고 부르죠. 그렇다면 왜 굳이 헷갈리게 서로 다르게 부르는 걸까요?

와인을 공부하다보면, 같은 품종을 지역마다 다른 이름으로 부르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이탈리아에서 프리미티보(Primitivo), 미국에서 진판델(Zinfandel)이라고 불리는 품종입니다. 두 포도는 같은 품종이지만 이탈리아에서 미국으로 넘어가면서 이름이 바뀌어 각자 지역에서 자기들이 부르던 대로 계속 불리고 있죠. 프랑스 부르고뉴의 피노 누아(Pinot Noir) 역시 이탈리아에서는 피노 네로(Pinot Nero)로 불립니다.

포도 품종이 이처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는 이유는, 인류의 포도 재배와 와인 양조가 워낙 오래 전부터 시작된 일이기 때문입니다. 어쩌다 동일한 품종이 타지로 흘러들어갔더라도, 그 지역의 기후나 토질 등 떼루아(Terroir)에 맞춰 각자의 특성이 발휘되다보니 같은 품종으로 보지 않은 것이죠.

그나마 유전자 비교가 가능해진 현대에서야 품종별 유전자 조사하면서 같은 종이었다는 게 밝혀지곤 하는 것 입니다.

시라 와인의 색깔과 포도의 모습. 시라는 다른 포도보다 과육이 크고 껍질도 두꺼운 편이다. 색도 짙어서 양조시 탄닌이 많이 추출될 수 있다. [사진=Wine Folly]
이란에서 기원한 쉬라즈?
2017년 2월 영국 국영방송인 BBC는 와인 애호가들이라면 흥미를 가질 만한 다큐멘터리를 방영합니다. ‘쉬라즈 와인은 이란에서 왔는가?(Does Shiraz wine come from Iran?)’라는 제목의 다큐입니다. 포도 품종 쉬라즈와 철자까지 똑같은 이란의 네 번째 대도시 쉬라즈의 연관성을 파헤친 프로그램이었습니다.

다큐는 이란의 시성(詩聖)으로 추앙받는 14세기의 시인 하페즈(Hafez·1324~1389)의 이야기를 꺼냅니다. 10~14세기 이란을 중심으로 하는 중동 문학의 핵심 주제 중 하나가 술이었는데요. 특히 오랜 포도주 문화를 간직하고 있던 천년고도 쉬라즈의 시인, 하페즈는 동양의 이태백에 버금갈 정도로 술을 사랑했고 당시 와인들을 찬미하는 아름다운 문장들을 남겼다고 합니다.

그는 다양한 작품에서 와인을 ‘신의 이슬’이라던가 ‘불타는 루비’ 같이 아름답게 표현하는데요. 그가 남긴 와인의 강이라는 시에는 당시 그가 마셨을 와인에 대한 설명이 들어가 있습니다.

오 사랑하는 이여, 와인의 강에 배처럼 생긴 잔을 띄우세요. 내게 사향 내음 진한 검붉은 와인 한잔을 주세요. 돈과 욕망의 냄새 나는 비싼 와인은 필요 없어요. 내가 비록 취해 쓸모없어 보인다 해도, 내게 친절을 베풀어주세요. 당신의 미소가 내 어두운 가슴을 밝히니까요.

지금 봐도 아름다운 문장인데요. 와인 애호가들이라면 사향 내음 진한 검붉은 포도주에서 눈이 반짝 빛날 겁니다. 당시 양조해 먹던 와인의 포도가 어떤 품종이었을지 짐작케 하는 문구니까요.

특히 ‘사향 내음’과 ‘검붉은 색’에서 하페즈가 살았던 도시이자, 그의 영묘(靈廟·Mausoleum)가 건설된 도시와 같은 이름의 포도 품종이 떠오르기 마련입니다. 바로 쉬라즈 입니다.

이란에서 시성으로 추앙받는 민중 시인 하페즈의 영묘. 하페즈는 ‘암송자’라는 명사로, 어린 나이에 코란을 암송했던 그를 부르는 별칭이었다. 그는 이후 하페즈를 자신의 필명으로 사용했다. [사진=iqna.ir]
앞서 우리는 쉬라즈가 유럽의 시라 품종을 호주로 가지고 가면서 이름이 변형된 것이라는 점을 확인했습니다. 그렇다면 시라는 이란에서 온 품종이 아니었을까요? 혹시 하페즈의 시에 등장하는 그 와인이 바로 시라로 빚은 와인이었던 것은 아닐까요?

유럽에 시라(Syrah)라는 품종이 알려지고 본격적으로 양조에 사용된 것은 13세기 무렵입니다. 십자군 전쟁 과정에서 1209년께 가스파드 드 스테림베르그(Gaspard de Sterimberg)라는 기사가 페르시아의 포도를 프랑스 남부 론 지방에 전파했다는 전설이 전해지는데요.

유전자 검사 결과 남프랑스에서 재배돼온 시라는 페르시아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토착 자생 품종임이 밝혀집니다. 이름이 어디서 유래했든, 페르시아의 포도와는 상관이 없다는 결론이 내려진 셈입니다.

그렇다면 도대체 쉬라즈라는 철자까지 같은 이름은 어떻게 생겨난 것일까요? 19세기 프랑스에서 호주로 시라를 옮겨 심은 스코틀랜드 출신 영국인 제임스 버스비(James Busby·1801년 2월10일~1871년 7월31일) 때문입니다.

그는 옮겨심은 시라를 최초 시라스(Scyras)로 잘못 기재했는데요. 뒤늦게 잘못을 깨닫고 가스파드 드 스테림베르그의 전설을 기억해내곤 시라와 발음이 비슷한 이란의 고도, 쉬라즈로 이름을 고쳤습니다. 이렇게 쉬라즈가 탄생하게 된 겁니다.

쉬라즈라는 이름을 붙인 제임스 버스비의 초상. McDonald James Ingram 그림, Alexander Turnbull 도서관 소장.
매혹적이고 강한 과실미와 은은한 후추향
BBC가 포도의 한 품종을 놓고 이렇게 추적을 거듭하면서 다큐멘터리를 만들었다는 것은, 그만큼 시라로 빚은 와인이 매력적이라는 반증이겠죠. 실제로 시라는 전세계 와린이들에게 맛있는 와인, 직관적인 와인으로 인식되곤 합니다. 과실미가 상당히 풍부하기 때문인데요.

호주 쉬라즈의 경우, 우리나라에서는 쉽게 느끼기 힘든 블랙체리, 블랙베리, 검은 자두, 검은 올리브 등 검은 과실의 풍미가 강하게 느껴집니다. 뒤이어 유칼립투스나 민트 같은 화한 느낌이 동반되고요.

프랑스 론 지방은 시라를 샤또네프 뒤 파프(CDP)처럼 주로 블렌딩해 양조하죠. 꼬뜨 로띠(Cote-Rotie)나 에르미타쥬(Hermitage), 생 조세프(Saint Joseph)에서 시라만으로도 만드는 와인은 검은 과실 풍미에 후추와 감초, 허브류의 향이 멋스럽게 덧입혀집니다.

전반적으로 묵직하고 볼륨감이 있어서 장기숙성 잠재력이 뛰어난 편이고, 향신료와 허브류 풍미가 어우러져서 향긋한 복합미가 잘 느껴집니다. 구운 양고기나 훈연한 붉은 고기류에 두루 잘 어울리는 매혹적인 와인입니다.

잘 마리네이드된 프렌치 랙과 시라 와인은 환상의 궁합을 보여준다. [사진=nuggetmarket.com]
오늘은 국제 품종으로 전세계적인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시라·쉬라즈를 그 이름에 얽힌 이야기와 함께 풀어봤습니다. 비록 쉬라즈가 실제로 페르시아에서 넘어온 품종은 아니었지만, 이란의 천년고도 쉬라즈의 역사처럼 깊고 진한 맛을 지녔다는 점은 기억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처음의 국제뉴스로 돌아가서, 이번 동결 자금 해제로 우리나라와 이란 간 관계가 빠르게 정상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특히 이란에서 인기가 높은 한국산 가전과 자동차·철강·조선업계는 기대감이 높다고 하는데요.

어쩌면 우리에게 와닿을 가장 큰 변화는 이란의 값싼 원유 수입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재개만 된다면 최근 다시 불안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유가 안정에도 큰 힘이 될테니까요. 이란의 입장에서도 경제강국인 우리나라로의 안정적인 원유 판로 확보는 자국 경제에 큰 도움이 될 겁니다.

한국과 이란, 두 나라가 서로의 심장 관상동맥 한 줄기에 테헤란과 서울이라는 상대방 수도의 이름을 아로새긴 사이인만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되길 기대해 봅니다.

와인은 시간이 빚어내는 술입니다. 인류의 역사와 함께 와인의 역사도 시작됐습니다. 그만큼 여러 가지 흥미로운 이야기들을 품고 있는데요. WSET(Wine & Spirit Education Trust) 국제공인레벨을 보유한 기자가 재미있고 맛있는 와인 이야기를 풀어드립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