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에농사 풍년 비나이다” 선잠제부터 형형색색 비단옷까지… 옛 왕실 衣 문화 엿보다 [밀착취재]

서상배 2023. 8. 19. 19: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잠업(蠶業)이란 뽕나무를 재배해 누에를 길러 고치를 생산하는 과정을 말한다.

삼한시대부터 시작된 우리나라 잠업은 고관대작의 의복 거의가 비단으로 만들 정도로 시대를 거듭하며 상당한 기술과 지식을 갖추게 됐다.

우리나라에서 선잠제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고려사'에서 선잠제 제향 절차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성북선잠박물관서 만나는 조선 의복문화
잠업(蠶業)이란 뽕나무를 재배해 누에를 길러 고치를 생산하는 과정을 말한다. 삼한시대부터 시작된 우리나라 잠업은 고관대작의 의복 거의가 비단으로 만들 정도로 시대를 거듭하며 상당한 기술과 지식을 갖추게 됐다.
서울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에서 전통문화 복합예술 공간 삼청각으로 향하는 길에 위치한 성북선잠박물관은 성북구에서 건립한 최초의 공립박물관이다. 사적 83호 선잠단지와 함께 둘러보면 우리나라 선잠의 역사를 제대로 살펴볼 수 있다.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의 박물관은 3개의 전시실과 개방형 수장고를 갖춰 선잠제(先蠶祭)와 선잠단, 비단 관련 유물을 보존 전시하고 있다.
선잠단지에서 선잠제를 지내는 미니어처.
박물관 옥상에서 누에를 기를 때 꼭 필요한 식량인 뽕나무를 살펴보고 있다.
한복에 관한 내용을 실었던 옛 신문과 잡지를 살펴보고 있다.
각양각색의 비단 저고리를 살펴보며 그 시절 시대상을 보고 있다.
누에에게 뽕잎을 주는 양과 시간을 적은 누에사육표준표로 1령, 2령, 3령, 4령, 5령으로 나이를 나눠 기록했다.
누에를 치기 위해서 매우 섬세한 기술과 노력이 요구된다. 조선시대 세조 때 대농가는 호당 300그루, 중농가는 200그루, 소농가는 100그루의 뽕나무를 심어 양잠을 하도록 의무화했다가 중종 땐 사치를 조장한다며 금지하기도 했다. 조선시대 양잠은 아녀자의 일상인 동시에 가장 효과 좋은 부업이었다. 태종 때 개성부와 6개 지역(가평, 청풍, 의성, 수안, 태인, 홍천)에 도회잠실(都會蠶室)이 설치되기도 했다.
베틀에 걸릴 날실을 나는 도구인 날틀. 열 개의 구멍에 각각 가락을 꿰어 열 올의 실을 한 줄로 뽑아내 주는 역할을 한다.
목화솜에서 실을 자아내기 위한 도구인 물레.
삶은 누에고치에서 실을 뽑을 때 실 끝을 모아 빔을 주는 기구로 왕채라고 부른다.
베를 짜는 모형.
누에에게 뽕잎을 주는 양과 시간을 적은 누에사육표준표로 1령, 2령, 3령, 4령, 5령으로 나이를 나눠 기록했다.
선잠제는 인간에게 처음 누에 치는 법을 가르쳤던 서릉씨(西陵氏)에게 한 해 누에치기의 풍년과 안정을 기원하는 국가 제례의식이었다. 현재의 성북동 선잠단지에서 왕비 대신 신하들이 참여하는 섭사(攝祀)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선잠 후에는 왕비가 궁궐 후원에 마련된 채상단에서 내외명부를 거느리고 누에치기의 모범을 보이는 친잠제를 시행했다. 우리나라에서 선잠제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고려사’에서 선잠제 제향 절차가 나타난 것으로 보아 고려시대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모시로 만든 여름용 겹두루마기
조선시대 두루마기
도포나 전복 등에 매는 각양각색의 도포끈으로 양 끝에는 딸기처럼 보이는 딸기술이 달려 있다.
항라와 면으로 만든 단속곳 밑에 입는 여성용 속바지이다.
명주와 면을 쓰고 안에는 솜을 넣어 만든 남아용 누비풍차바지.
2016년 정밀발굴조사를 통해 선잠제를 지내는 선잠단지 위치와 형태를 복원하였다. 사진은 예전에 찍은 선잠단지의 모습.
한 해 누에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선잠제 의식을 하고 있는 모형.
박물관 1관은 선잠단의 옛 기록과 일제강점기를 지나 훼손된 모습, 복원의 현장 등 역사를 담고 있다. 2관에는 선잠제의 거행 모습, 친잠례를 모형으로 재현했고 선잠제의 진행 과정을 3D영상으로 재현해 놨다. 개방형 수장고 및 특별전시실인 3관에는 누에고치를 이용해 비단을 만드는 기구와 비단으로 만든 두루마기와 속바지, 사진과 엽서 자료 등을 전시했다.
누에발육과정 액자로 누에 유충에서부터 고치가 되어 실을 뽑는 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다.
누에발육과정 액자로 누에 유충에서부터 고치가 되어 실을 뽑는 과정을 한눈에 볼 수 있다.
누에고치 치는 법을 배우고 비단을 뽑는 기술을 배웠던 농잠학교 학생들의 사진.
오민주 학예사는 “박물관 옆 선잠단은 1908년 일제가 선잠제를 폐지시킨 뒤 방치됐다 광복 후인 1961년 환경 정비를 거쳐 사적 83호로 지정됐다. 2016년 정밀 발굴조사를 통해 옛 선잠단지의 위치와 형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박물관과 선잠단이 2020년 리모델링을 해 멋진 모습을 갖추고 있으니 휴일엔 가족과 함께 박물관을 찾아 누에 산업의 역사를 알아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고 했다.

글·사진=서상배 선임기자 lucky21@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