英 싱글몰트 위스키 업체는 왜 외국 첫 매장을 서울에 냈나

김성윤 음식전문기자 2023. 8. 19. 03: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아무튼, 주말]
싱글몰트·MZ가 이끄는 위스키시장 폭풍 성장

영국 스코틀랜드 싱글몰트 위스키 업체 ‘고든&맥페일(Gordon&MacPhail)’이 지난달 11일 서울 강남구 압구정에 자사 위스키를 구매·시음할 수 있는 브랜드관을 열었다. G&M은 1895년 설립돼 4대째 가족 경영을 이어오고 있는 스코틀랜드 최대 ‘독립 병입자(independent bottler)’. ‘독립 병입자’는 증류소로부터 위스키 원액을 사 캐스크(오크통)에 숙성해 자체 브랜드로 판매하는 업체를 말한다.

G&M이 오랜 세월 확보한 원액과 숙성 노하우로 한정 생산하는 위스키는 애호가들에게 인기가 높다. 세계 최고(最古) 숙성 기간(80년)으로 기네스북에 등재된 ‘제너레이션 글렌리벳 1940′, 엘리자베스 2세 여왕 즉위 70주년을 기념해 1952년산 원액으로 만든 ‘주빌리 글렌그란트 1952′ 등 출시할 때마다 이른바 ‘오픈런’이 일어난다.

G&M이 자사 역사상 최초이자 전 세계 유일의 브랜드관을 서울에 연 건 한국 싱글몰트 위스키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G&M 위스키를 독점 수입하는 아영FBC 관계자는 “우리 회사의 경우 지난해 싱글몰트 위스키 판매가 2021년 대비 200% 이상, 올 상반기에도 작년 대비 50% 이상 성장했다”며 “한국 싱글몰트 위스키 시장은 지난 3년간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고 했다.

서울 압구정 ‘고든&맥페일’ 브랜드관. G&M 위스키를 시음하고 구입할 수 있다. /이신영 영상미디어 기자

지난해 위스키 수입액은 15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2억6684만 달러로 2021년(1억7534만 달러)보다 52% 늘었다. 2007년(2억7029만 달러) 이후로 가장 높다. 위스키 수입액은 2007년을 정점으로 계속 쪼그라들었다. 2014년 주5일 근무제, 2016년 청탁금지법(김영란법), 2018년 주 52시간 근무제가 도입되면서 회식·접대 문화가 크게 달라졌다.

코로나는 상황을 반전시켰다. 사회적 거리 두기로 홈술·혼술 문화가 자리 잡았다. 동시에 MZ세대 사이에서 위스키에 토닉워터·탄산수 등 음료를 탄 칵테일의 일종인 하이볼이 인기를 얻었다. ‘아재 술’로 치부되던 위스키가 ‘젊고 힙한 술’로 이미지 변신에 성공한 것이다. 핵심 소비층이 2030 세대로 옮겨갔다. 편의점 GS25에 따르면 지난해 위스키 판매량의 43.3%는 30대가, 39.6%는 20대가 차지했다.

위스키의 부활은 싱글몰트 위스키가 이끌고 있다. 과거 이 시장의 주류는 다수의 증류소에서 보리·옥수수·밀 등 여러 곡류로 만든 위스키 원액을 섞는 블렌드 위스키였다. 싱글몰트 위스키는 단일 증류소에서 발효·건조한 보리 즉 몰트만으로 만든다. 세종사이버대 바리스타·소믈리에학과 명욱 겸임교수는 “싱글몰트 위스키는 브랜드별로 개성이 뚜렷해 마시고 취하기보다 즐기려는 MZ세대 소비자들에게 어필한다”고 했다.

싱글몰트 위스키는 대체 투자처로도 부상했다. 영국 시장조사업체 나이트프랭크가 발표한 ‘럭셔리 인베스트먼트 인덱스 2022′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명품 가운데 희귀 위스키가 428%로 가장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롤렉스·파텍 필립·오데마 피게 등 시계(108%)는 물론 자동차(164%), 와인(137%), 가방(78%), 미술품(75%), 암호화폐(64%), 보석(57%)을 제쳤다. 경매에서도 희귀 위스키가 최고가를 연일 갈아치우고 있다.

고든 & 맥페일 브랜드관./아영FBC

특히 싱글몰트 위스키 가격 상승폭이 크다. 블렌드 위스키와 달리, 생산량이 적을 수밖에 없기 때문. 대표적 싱글몰트 위스키 중 하나인 발베니가 매년 다른 테마로 5병씩 소개하는 한정판 컬렉션 ‘발베니 DCS 컴펜디움’은 지난해 10월 서울옥션에서 5억원에 낙찰됐다. 아영FBC측은 “대체로 1000만원 이하 위스키는 마시기 위해서, 그 이상은 투자 대상으로 주로 구입한다”고 했다.

위스키 열풍에 편승해 전통 증류식 소주도 ‘코리안 라이스 위스키’로 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일부 숙성 소주는 발베니만큼이나 비싸고 구하기 힘들어 ‘쌀베니(쌀+발베니)’로 불린다. 캐스크에 숙성하면 소주가 호박색으로 바뀌면서 위스키와 비슷한 맛과 향을 품는다. 국내 주세법은 스코틀랜드, 미국 등과 달리 오크통에 숙성한 소주를 위스키로 인정하지 않는다.

소주를 오크통에 5년 숙성한 ‘화요XP’는 2020년 유럽연합(EU)으로부터 위스키로 인정받았다. 농업회사법인 토끼소주가 만드는 ‘토끼소주 골드’는 세계 3대 주류대회 중 하나인 샌프란시스코 월드스피릿 컴피티션에서 최고상에 해당하는 ‘더블 골드’ 메달을 받았다. 스마트브루어리가 국산 참나무통에 숙성한 ‘마한 오크’는 375mL 한 병에 2만4000원이라는 가격에도 출시하자마다 전량 팔렸다.

명욱 교수는 “보리 맥아로 만드는 위스키보다 쌀로 만드는 증류식 소주는 입안에서 질감과 목넘김이 부드러워 한국 소비자 취향에 더 맞는다”며 “한류를 타고 해외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는다면 전통주 업체들에게 큰 기회가 될 것”이라고 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