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철 지나면 추석 연휴…떨고 있는 '댕댕이들' 

박은평 2023. 8. 19. 00: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민 4명 중 1명 '반려인'…22% '양육 포기 파양 고려한 적 있어'
유기 벌금 300만 원 실효성 떨어져…반려인 의무교육 도입해야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의 '2023년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에 따르면 반려가구는 지난해 말 기준 552만 가구에 달했으나 반려인의 책임의식은 크게 나아지지 않고 있다./ 더팩트 DB

[더팩트ㅣ세종=박은평 기자] 과거 집에서 기르는 강아지나 고양이 등에 '애완동물'이란 단어를 사용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반려동물이란 표현으로 바뀌면서 사람에게 기쁨을 주는 동물에서 함께 동고동락하는 가족의 시대로 진입했다.

이처럼 동물을 인생의 동반자로 인식할 만큼 키우는 사람들도 늘었다.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의 '2023년 한국 반려동물 보고서'에 따르면 반려가구는 지난해 말 기준 552만 가구에 달했다. 대한민국 전체 가구 수의 4분의 1(25.7%)이 반려동물을 키우는 셈이다. 이 중 반려견은 71.4%(473만 마리), 반려묘는 27.1%(239만 마리)였다.

전국에 등록된 반려견도 300만 마리를 넘어섰다. 농림축산검역본부가 발표한 '2022년 반려동물 보호 및 복지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반려견 신규 등록은 29만 958마리로 누적 등록 마리 수는 302만 5859마리로 조사됐다. 하지만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의 의식수준은 크게 나아지지 않아 반려인의 책임의식 강화가 요구되고 있다. 반려동물의 유기 실태와 대책을 알아보자.

◆ 매년 유기·유실 10만 마리 넘어…휴가철·연휴 집중

반려동물은 늘어나고 있지만 이와 관련된 시민의식은 더디게 성장하고 있다. '댕댕이'로 친근하게 불리는 반려견의 평균 수명은 15년인데 질병에 걸리면 고액의 의료비가 들기도 하고 이사로 더 이상 같이 살 수 없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이런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고민 없이 충동적으로 입양했다가 양육을 포기하고 버리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2017년 유실·유기 동물이 10만 마리를 넘어선 뒤로는 매년 11만 마리를 웃돌 있다. 2020년에는 13만401마리, 2021년에는 11만8273마리, 지난해에는 11만 3440여마리가 길거리로 내몰렸다.

특히 휴가철에 더 많이 발생한다. 맡기기 어려운 반려동물을 유기하거나 휴가지에서 잃어버리는 사례가 늘기 때문이다.

2019~2021년 월별 유실·유기동물 발생 분포를 살펴보면 휴가철인 7~8월에 7만6465마리로 가장 많았다. 가정의 달 연휴가 있는 5~6월이 7만3746마리로 그 뒤를 이었다. 추석 연휴가 있는 9~10월에도 6만9856마리에 달했다.

2019~2021년 월별 유실·유기동물 발생 분포./농림축산식품부

◆ 반려인 책임의식 강화 의무 교육 '필요하다' 89%

농식품부의 '2022 동물보호에 대한 국민의식조사'에 따르면 반려인의 22%는 양육을 포기하거나 파양을 고려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 또는 파양을 고려한 이유로는 물건 훼손·짖음 등 동물의 행동 문제가 28.8%로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는 예상보다 지출이 많음(26.0%), 이사·취업 등 여건이 변화(17.1%) 순이었다.

2년 전 동물보호법 개정으로 반려동물 유기시 3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지는 등 처벌기준이 강화됐다. 하지만 관련 행위를 목격하지 않는 이상 사후 적발이 어렵고 처벌 수위도 다른 나라보다 약해 이후에도 동물 유기는 줄지 않고 있다. 이에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동물 유기 행위 처벌을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의 벌금으로 상향하는 '동물보호법 개정안'을 대표발의하기도 했다.

반려인의 책임의식을 강화하는 의무 교육 도입에 대해 '필요하다'는 의견은 89%에 달했다. 반려인 대상 교육이 필요한 시기로는 '입양 전후 모두 교육을 받아야 한다'는 응답이 60.4%로 나타났다. 적정 교육 시간은 평균 29.9시간이었다.

의무교육 시 포함해야할 내용으로는 '반려동물 관련 법과 제도'가 가장 높았다. 이어 '반려동물 양육자로서 마음가짐', '반려동물 안전관리' 순이었다.

해당 보고서에서는 반려동물 양육자에 대한 올바른 교육문화 정착을 위해서는 교육인증제 도입과 실행을 통해 반려인 스스로 책임감과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해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과 문화를 선진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pepe@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Copyright © 더팩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