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무 가격 안정세…'김치 대란' 우려 덜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장마와 폭염의 영향으로 급등하던 배추와 무 가격이 안정세에 접어들었다.
배추·무 가격이 내려간 건 최근 장마가 끝나고 비교적 선선한 날씨가 이어지며 작물 생육환경이 좋아졌기 때문이다.
배추·무 가격이 폭등하면 재료 가격에 부담을 느낀 소비자들이 김치를 담가 먹지 않고 포장김치를 구매하려는 수요가 늘어 제품이 동날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장마와 폭염의 영향으로 급등하던 배추와 무 가격이 안정세에 접어들었다. 주산지 평균 기온이 낮아지며 생육 환경이 개선돼서다. 일각에서 제기된 대형마트의 포장김치 품귀 현상 우려도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18일 팜에어·한경 농산물가격지수(KAPI)를 산출하는 예측 시스템 테란에 따르면 전날 국산 배추의 ㎏당 도매가격은 706원으로 전주 대비 26.8% 낮아졌다. 무 도매가격은 ㎏당 533원으로 전주보다 34.5% 내렸다.
배추·무 가격이 내려간 건 최근 장마가 끝나고 비교적 선선한 날씨가 이어지며 작물 생육환경이 좋아졌기 때문이다. 8월 배추·무 주산지인 강원 평창의 지난 1주일(8월 11~17일) 평균 기온은 20.6도로 전주(21.7도) 대비 1.1도 떨어졌다.
김치 주재료인 두 작물의 가격이 내려가며 이달 초 유통업계 일각에서 제기된 ‘김치 대란’ 우려를 덜게 됐다. 배추·무 가격이 폭등하면 재료 가격에 부담을 느낀 소비자들이 김치를 담가 먹지 않고 포장김치를 구매하려는 수요가 늘어 제품이 동날 것이란 관측이 나왔다.
일부 작물은 무더위 여파로 정상품 물량이 줄어들어 여전히 가격 오름세가 지속되고 있다. 국산 파프리카 도매가격은 ㎏당 6427원으로 전주 대비 95.1% 급등했다. 오이는 ㎏당 2893원으로 전주보다 50.5% 올랐다.
이미경 기자 capital@hankyung.com
▶ 클래식과 미술의 모든 것 '아르떼'에서 확인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공황 이래 최악의 상황 닥쳤다"…전문가들 '무서운 경고'
- "모아놓은 돈 부족한데"…'미혼 2030' 내 집 마련 기회 온다
- "잽싸게 팔아치웠다"…초전도체로 드러난 'K-증시'의 초라함 [조재길의 마켓분석]
- "여름철마다 설사, 과식 때문인 줄 알았는데…" 뜻밖의 진단
- "마동석이 입었더니 완판"…MZ세대도 반한 추억의 브랜드 [하수정의 티타임]
- 서울 한복판서 또 '비키니 라이딩'?…이번에 포착된 곳은
- 조민, 유튜브 편집자 '1건당 20만원' 내걸더니…"접수 마감"
- 지효, 과감한 백리스 입고… '탄탄한 기립근 과시'
- 장현성 아들, 이렇게 컸어? 송중기 닮은꼴 훈남 성장
- "여기 디젤 있어요" 신형 '쏘렌토'는 남겼다…이례적 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