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 전기차 생산 유치 약진...韓美中 '속속 진출', 日 '신중'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동남아 각국이 전기자동차 생산거점 유치를 위해 각축전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 미국, 중국의 자동차업체들은 현지 진출에 적극적인 반면, 일본 업체는 소극적인 편이라 존재감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18일 보도했다.
일본 시장조사업체 마크라인스에 따르면 2022년 태국의 자동차 생산은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역내 절반에 가까운 약 190만대에 이르며, 생산과 판매에서 일본 업체의 비율이 80%를 넘어섰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美테슬라센터 방콕 개설…한·중, 현지기업과 합작사 추진
도요타 등 日자동차업체는 전기차 비중 낮아 신중론 고수
[서울=뉴시스] 박준호 기자 = 동남아 각국이 전기자동차 생산거점 유치를 위해 각축전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 미국, 중국의 자동차업체들은 현지 진출에 적극적인 반면, 일본 업체는 소극적인 편이라 존재감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18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세계적인 전동화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움직임과 맞물려 공장이 밀집한 태국과 인구가 많은 인도네시아의 인수전이 치열하다.
태국 정부 등은 지난 7일 방콕의 한 호텔에서 투자설명회를 열고 탈탄소를 주제로 한 세션에서 에너지대기업의 임원이 참석해 일본 기업 관계자에게 전기차의 현지 생산을 호소했다.
태국은 각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적극적으로 맺어 수출 여건을 조성하고 자동차 산업을 진흥해 왔다. 도요타자동차를 비롯한 일본 업체들은 1960년대부터 진출해 신흥국으로의 수출 거점 역할을 하고 있다.
일본 시장조사업체 마크라인스에 따르면 2022년 태국의 자동차 생산은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역내 절반에 가까운 약 190만대에 이르며, 생산과 판매에서 일본 업체의 비율이 80%를 넘어섰다.
동남아시아의 전기차 시장은 성장하고 있지만 일본 업체들은 진출에 소극적이다.
태국에서는 2022년 신차 판매에서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이 1%에도 미치지 못한다. 이 때문에 "(시장 동향을) 잘 살펴볼 필요가 있다(가토 다카오 미쓰비시자동차 사장)"며 각 사의 대응은 신중한 편이다. 도요타는 올해 안에 태국에서 픽업트럭 전기차 생산을 시작하지만 초반에는 소량에 그칠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전기차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가진 미국과 중국은 일본과는 다른 대응을 하고 있다.
세계 최대 전기차업체 테슬라는 판매 거점이 될 '테슬라 센터'를 태국에서 처음으로 이번 달 방콕에 설립했다. 태국의 올 상반기 전기차 신규 등록 대수는 2022년 전체의 2배가 넘을 기세지만 중국 비야디(BYD)가 4분의1을 차지한다.
태국 정부는 2022~2025년을 전기차 시장 촉진기간으로 정하고 정부와 협정을 맺은 기업이 전기차를 수입할 경우 관세를 최대 40% 인하하는 등의 혜택을 주고 있다. 다만 2024년부터 태국 내에서 수입량과 같은 수의 전기차 생산을 의무화했다.
BYD는 이미 태국에서 신공장 건설에 착수했으며 중국 국유 완성차기업 창안자동차도 공장을 신설할 방침이다. 협정은 현재 중국 5개사를 포함해 9개사가 맺고 있지만 일본 업체는 도요타뿐이다.
일본무역진흥기구(JETRO) 방콕사무소는 "태국 정부가 아세안 자동차 생산 톱 지위를 빼앗기게 된다는 위기감이 있는 것 아니겠냐"고 요미우리에 말했다.
이 같은 배경에 있는 것이 인도네시아의 존재다. 전지 재료가 되는 니켈 생산량이 세계 최대이고, 국영기업에서 만드는 합작회사가 한국·중국 기업과 협력해 공장 건설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정부가 니켈 공급에 우대 정책을 강구할 것으로 보여 자동차 산업의 규모를 확대하려고 한다고 요미우리가 전했다.
베트남에서는 신흥 전기차 기업도 생겨나고 있다. 베트남 전기차 제조업체인 빈패스트는 15일 미국 나스닥시장에 상장했다. 거래 첫날 시가총액은 850억달러로 미국 자동차기업 포드와 제너럴모터스(GM)를 앞질렀다. 말레이시아도 관련 산업을 유치하는 목표를 내걸고 있다.
요미우리는 "앞서가는 중국 기업의 생산이 늘어날 것이 확실하고, 동남아시아에서도 급속히 전기차가 보급될 가능성이 있다"고 짚었다.
☞공감언론 뉴시스 pjh@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혜경 벌금형 선고에…이재명 "아쉽다" 민주 "검찰 비뚤어진 잣대"
- '마약 투약 의혹' 김나정 누구? 아나운서 출신 미스맥심 우승자
- "김병만 전처, 사망보험 20개 들어…수익자도 본인과 입양딸" 뒤늦게 확인
- "패도 돼?"…여대 학생회에 댓글 단 주짓수 선수 결국 사과
- [단독]'김건희 친분' 명예훼손 소송 배우 이영애, 법원 화해 권고 거부
- "월급 갖다주며 평생 모은 4억, 주식으로 날린 아내…이혼해야 할까요"
- 배우 송재림, 오늘 발인…'해품달'·'우결' 남기고 영면
- 이시언 "박나래 만취해 상의 탈의…배꼽까지 보여"
- '살해, 시신 훼손·유기' 軍장교, 38세 양광준…머그샷 공개
- '성폭행범' 고영욱, 이상민 저격 "내 명의로 대출받고 연장 안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