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서야 … 청소년 SNS 심리 상담 추진한다는 정부
4월 발표 후 계획도 못세워
정부가 늦게나마 자살 관련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상담을 도입하기로 했지만 예산안 확보를 이유로 계획조차 미진하게 진행된 것으로 드러났다. 급증하고 있는 청소년의 극단적 선택을 예방하기 위해 상담의 문턱을 낮추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한 상황에서 정부 대응이 소극적이라는 지적이다.
보건복지부는 SNS를 이용한 자살 예방 상담을 도입하기로 발표했으나 이에 대한 대책 수립이 한참 늦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10대 사이에서 SNS가 주요 소통 수단이 된 것은 최근 몇 년 사이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복지부는 뒤늦게 지난 4월 제5차 자살예방기본계획(2023~2027년)을 발표하면서 SNS 상담 방식을 도입하기로 했다. 복지부는 자살 예방 상담 전화와 관련해 청소년 세대에게 익숙한 SNS를 이용해 상담 창구를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복지부 관계자는 "2024년도 예산안 확보를 목표로 세부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며 "아직 극초기 단계로 구체적 내용 구축까지는 나아가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예산이 확보돼야 구체적 계획을 세울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동안 정부는 대면과 전화 상담에 치중해왔다. 교육부와 여성가족부가 각각 재학생과 학교 밖 청소년을 상대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교육부는 재학 중인 학교 상담실을 통해 상담받을 수 있는 위클래스와 학교에 위클래스가 없거나 상담받기 어려운 학생을 위한 지역 내 위센터를 두고 심리평가, 상담 등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가부는 지역 내 학교 밖 청소년을 위해 청소년상담복지센터를 전국에 두고 있다. 유선 상담으로는 복지부의 자살예방 전화 상담과 한국생명의전화 등이 있다. 그러나 극단적 선택이 급증하고 있는 젊은 층을 위해 이들이 친숙하게 마음을 터놓고 이야기할 수 있는 SNS 상담 도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현장에서 꾸준히 제기돼왔다.
백종우 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현재 생명의전화 등 자살 상담 통화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지만 10·20대 같은 경우는 채팅이나 문자에 훨씬 익숙한 세대"라며 "일본과 같이 SNS를 통해 도움을 요청할 수 있는 인프라가 갖춰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SNS 상담이 도입된다고 하더라도 일본처럼 내실화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고질적인 문제로 제기돼 온 상담인력 충원과 상담가 역량 강화도 해결돼야 할 숙제다. 인력 부족으로 상담 전화 응대율도 낮은 편이다. 복지부 자살예방 상담전화의 평균 응대율은 2019년 64%에서 2022년 60%로 감소했다. 상담 전화 3건 중 1건은 연결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안병준 기자 / 이지안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이정현, 194억 빌딩 매입...남편 병원 개원 - 매일경제
- ‘로또 70억’ 당첨자의 K직장인 인증...“회사 계속 다닐래요” - 매일경제
- “주식 다 팔아라” 돈냄새 귀신인 헤지펀드도 손절 중인 이 나라 - 매일경제
- [단독] 故윤기중 교수 “아무에게도 알리지 말아달라” 연세대 기부 - 매일경제
- 항저우·톈진 집값 20% 이상 폭락 …'중국판 리먼사태' 경고음 - 매일경제
- “돈 날리고 싶으면 여기에 투자?”…분식집·학원 사라진 ‘이곳’ [매부리레터] - 매일경제
- 서학개미 비명…2조원 매수 美국채ETF 23% '뚝' - 매일경제
- “이제 속 시원하냐”…‘카이스트 막말’ 학부모, 탈탈 털리자 분노 폭발 - 매일경제
- 신용카드 분실했는데…남이 쓴 돈 내가 내야 한다? - 매일경제
- 김연경 측 “악의적 허위 사실 배포에 강경대응, 선처 없다”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