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가정용 전기료 월 8만2370원, 한국은? [김경민의 도쿄 혼네]
한국 3만3413원, 일본(8만2370원)의 반값 이하
원전 강국들 전기료 인상 방어
비싼 전기료, 인플레·기업 실적에 영향
【도쿄=김경민 특파원】 한국의 가정용 전기요금이 주요 7개국(G7)과 비교해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가정용 전기료는 이탈리아의 28%, 일본의 40% 수준으로 주요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편으로 조사됐다. 독일과 프랑스 등 전기료 인상이 덜 했던 나라들은 원자력 발전 강국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촉발된 전기료 인상 러시는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으로 전이돼 소비자 지갑과 기업 실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지적이다.
17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국제에너지기구(IEA) 통계를 토대로 G7 및 한국의 2022년 가정용 전기요금(260kW 기준)을 비교한 결과, 월 전기료가 가장 비싼 곳은 1만3083엔(약 11만9791원)의 이탈리아로 집계됐다.
이탈리아는 2021년 대비 전기료가 40% 올랐다. 전력의 약 50% 천연가스에 의한 화력 발전으로 생산되는 이탈리아는 원자력 발전소가 없다. 이에 따라 에너지 수입에 따른 자원고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는 분석이다.
2위는 영국으로 49% 상승한 1만2942엔(약 11만8500원)이었다. 영국도 전력의 40%가 천연가스로 이탈리아에 이어 의존도가 높았다.
3위 독일은 1만1921엔(약 10만9196원)였지만 2021년 대비해서 상승률은 3%에 그쳤다. 다만 독일은 탈원전 정책을 시행, 올해 4월에 원전의 가동을 마쳤기 때문에 향후 상승폭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 국가들이 유독 전기료 인상에 시달리는 배경에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있다. 서방 국가들은 경제 제재로 러시아로부터의 자원 조달을 피했다. 이에 따라 다른 에너지 수출 국가에 수요가 몰리면서 화력발전의 연료가 되는 액화천연가스(LNG)와 석탄의 국제가격이 급등했다.
이후 2022~2023년 유럽의 따뜻한 겨울과 중국의 수요 감소 등으로 현재 자원 가격은 하락 추세로 돌아섰다. 다만 LNG 가격도 러시아 침공 전과 비슷한 수준까지 내려왔지만 전기료에 반영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G7 중 가정용 전기료 4위는 8993엔(약 8만2370원)의 일본으로, 같은 기간 31%가 인상됐다. 일본의 전력 대기업들은 에너지를 수입할 때 대부분 대규모 장기 계약으로 진행한다. 이런 방식은 이번처럼 가격 상승기에 수시 계약이 잦은 유럽보다 가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5위는 프랑스(7425엔·약 6만8027원)로 전력의 70% 정도를 차지하는 원전 강국이다. 6위 미국(5168엔·약 4만7348원)은 전력 구성 중 40%를 천연가스가 차지하지만 자국 내에서 셰일가스를 생산하고 있어 국제 가격의 영향을 덜 받았다.
G7 가운데 전기료가 가장 싼 곳은 캐나다(4269엔·약 3만9112원)로, 천혜의 지형을 살려 비용이 낮은 수력 발전으로 전력의 60%를 조달하고 있다.
특히 닛케이는 한국의 화석연료 의존도는 일본과 비슷하지만 전기료는 G7 어떤 곳보다 싸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전기료는 3650엔(약 3만3413원)으로 일본의 40%이며 1위 이탈리아와 비교하면 28% 수준에 불과했다.
닛케이는 "전력 공급을 담당하는 한국전력의 최대주주는 한국 정부"라며 "정치적 요소가 얽혀 전기료 인상에 나서기 어렵다는 특수한 사정이 있다"고 설명했다.
가정용 전기료 인상은 물가와 직결돼 결국 소비자 지갑에 영향을 미친다.
7월의 유럽연합(EU)의 소비자물가 지수는 전년동기대비 5.3% 상승했다. 증가율은 2022년 10월 기록한 사상 최고치인 10.6%에서 둔화됐지만 인플레이션 기조는 바뀌지 않았다.
일본의 6월 소비자물가 지수(신선식품 제외)는 전년동기대비 3.3% 상승했다. 일본의 물가 상승률은 1년 넘게 일본 정부와 일본은행(BOJ)이 목표로 하는 2%를 웃돌고 있다.
생활 인프라인 전기는 사용량을 크게 줄이기 어렵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절약하기 쉬운 품목에서 지갑을 닫는 경향이 있다. 이와 관련한 가계의 절약 품목으로는 유제품, 과일, 서적 등이 대표적이다.
소비자들은 이처럼 구입 자제가 쉬운 절약 품목부터 지출을 줄이고, 점점 그 영역이 커지면서, 향후 폭넓은 업종의 기업 실적에 타격을 준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최현욱, 장난감 자랑하다 전라노출…사진 빛삭
- 남편상 사강, 4년만 안방 복귀…고현정 동생
- "눈 떴는데 침대에 피가 흥건"..토니안, 정신과 증상 8가지 나타났다 고백 [헬스톡]
- 이재명 유죄에 비명계 뜬다…민주 균열 가속화
- '8번 이혼' 유퉁 "13세 딸 살해·성폭행 협박에 혀 굳어"
- "치마 야하다고"…엄지인, 얼마나 짧기에 MC 짤렸나
- 영주서 50대 경찰관 야산서 숨진채 발견…경찰 수사 착수
- "조카 소설, 타락의 극치" 한강의 목사 삼촌, 공개 편지
- "엄마하고 삼촌이랑 같이 침대에서 잤어" 위장이혼 요구한 아내, 알고보니...
- "딸이 너무 예뻐서 의심"…아내 불륜 확신한 남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