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K-99, 상온 초전도체 아냐”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 논란 종지부 찍었다

2023. 8. 17. 09: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가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LK-99'는 초전도체가 아니라는 결과를 발표했다.

검증위는 "해외에서 발표된 LK-99가 초전도체인 증거를 찾지 못했다는 연구결과 등을 봤을 때 전체적으로 LK-99의 상온 초전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의견"이라면서 "검증위는 교차측정 및 재현실험이 완료될때까지 최종 결론을 내리지는 않겠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독일 막스플랑크 고체연구소가 합성했다고 주장한 LK-99 결정.[출처 네이처]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전세계를 떠들썩하게 만든 상온 초전도체는 슬프지만 결국 과학적으로 입증돼지 못했다.”(국제학술지 네이처)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가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LK-99’는 초전도체가 아니라는 결과를 발표했다. 앞서 해외 다른 연구진들의 실험에서도 초전도체를 검증하는데 실패하면서 사실상 초전도체 논란이 마무리되는 모양새다.

1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인터넷판에는 과학기자 댄 가리스토가 작성한 기사가 실렸다. 이에 따르면 상온·상압 초전도체라고 주장하는 LK-99에 대해 “과학계가 구리, 납, 인의 화합물인 LK-99가 초전도체가 아니라는 증거를 찾고 실제 특성을 밝혀냈다”면서 “LK-99의 황화구리가 초전도체의 특성과 유사한 전기저항의 급격한 저하와 자석 위의 부분 부상의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밝혔다.

이어 “주목할만한 결과를 실험적·이론적으로 재현하려는 노력은 부진한 모습을 보였고, 어떤 연구도 이 물질이 초전도성을 지닌다는 직접적 증거를 제시하지는 못했다”고 전했다.

한국 연구진이 개발했다고 밝힌 초전도체가 자석위에 떠있는 모습.[연합]

이번 네이처의 발표 이전에도 미국, 중국, 인도 등 해외 학계에서는 “LK-99가 초전도체가 아니다”라는 부정적 결론이 쏟아져 나왔다. 지난 8일 미국 메릴랜드대 응집물질이론센터(CMTC)는 LK-99가 초전도체가 아니라는 결론을 발표했다. CMTC는 “LK-99는 상온, 심지어 저온에서조차 초전도성이 발견되지 않았다”며 “그저 매우 높은 저항을 가진 저품질의 재료일 뿐”이라고 밝혔다.

인도 국립물리연구소와 중국 베이항대 연구진은 LK-99를 합성했지만 초전도성을 지녔다는 징후를 관찰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중국 난징의 국립동남대 연구진도 LK-99 재현실험을 진행한 결과, 외부 자기장에 반발하는 '마이스너 효과'가 없었고, 상온은 아니지만 일반적인 초전도체보다 높은 영하 163도에서 저항이 사라지는 것을 관찰했다고 전했다.

초전도체 구현 이미지.[게티이미지 뱅크]

이와 관련 국내에서도 한국초전도학회 중심으로 구성된 LK-99 검증위원회가 조만간 LK-99 검증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현재 검증을 위한 핵심재료를 확보하고 서울대, 고려대, 성균관대 등 6개 대학이 검증작업에 나설 예정이다.

한국초전도저온학회는 퀀텀에너지가 발표한 두 편의 아카이브 논문과 공개된 영상을 기반으로 판단할 때 현 단계에서는 해당 물질이 상온초전도체라고 보기는 어렵다는 입장을 발표한 바 있다.

검증위는 “해외에서 발표된 LK-99가 초전도체인 증거를 찾지 못했다는 연구결과 등을 봤을 때 전체적으로 LK-99의 상온 초전도성에 대해서는 부정적 의견”이라면서 “검증위는 교차측정 및 재현실험이 완료될때까지 최종 결론을 내리지는 않겠다”고 말했다.

한편 초전도체는 전기저항이 0인 물질을 말한다. 전기저항이 0이라는 것은 에너지 소모가 없다는 뜻으로 전류를 손실없이 무한대로 전달할 수 있다. 이 같은 장점에도 1911년 첫 초전도체 발견 이후 100년이 넘은 지금까지 활용에 한계가 있었다. 아직 어떤 금속이라도 영하 200도 이하 극저온이나 초고압 환경에서만 초전도성이 발현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극저온이나 초고압에서만 초전도 현상이 가능했었다. 이 때문에 세계 과학계에서는 더 높은 온도에서 초전도 현상이 나타나는 초전도체를 찾는 것에 주목해왔다.

nbgk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