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부·학생 애용했는데"…네·카·토 후불결제 연체율 급증

한재혁 기자 2023. 8. 17. 07: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평균 연체율 6%대 달해…'씬파일러' 유입이 원인?
"BNPL 이용자, 부채 많고 연체 높다"…美서도 지적
[샌프란시스코=뉴시스]미국 샌프란시스코 시내의 한 마트에서 삼성페이를 이용해 결제를 하고 있는 모습. 카드 단말기에 애플페이, 구글페이, 삼성페이 등 간편결제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는 안내가 나와있다. (사진=윤현성 기자)

[서울=뉴시스] 한재혁 기자 = 빅테크 사업자들의 선구매후불결제(BNPL·Buy Now Pay Later) 서비스 연체율이 지난 상반기 6%대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거래 이력이 없는 주부 등이 사용하는만큼 상환능력 검증이 부족할 수 밖에 없다는 지적이 국내와 해외에서 모두 나오는 가운데 업계는 연체채권 관리와 신용평가모델 재구축에 나섰다.

17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최승재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비바리퍼블리카(토스), 네이버파이낸셜(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의 BNPL 서비스 연체율 평균은 5.8%로 지난 1분기말 4.4%보다 1.4%포인트 증가했다.

업체별로 살펴보면 토스는 같은 기간 2.26%포인트 상승한 7.76%이며 네이버페이는 0.25% 감소한 2.45% 로 집계됐다. 카카오페이는 0.03% 포인트 감소해 0.54%를 기록했다.

BNPL 서비스는 소비자가 물품을 구매할 시 업체가 가맹점에 먼저 대금을 지급하고 소비자는 여러차례에 걸쳐 업체에 상환을 할 수 있는 서비스다. 신용카드의 대금 상환과 유사하지만 신용이력이 적어 신용카드 발급이 어려운 학생·주부·사회초년생 등 씬파일러(Thin Filer·금융 거래가 거의 없어 관련 서류가 얇은 금융 고객)들이 주로 이용해왔다.

국내에선 본래 선불전자지급수단 발행·관리업자는 후불결제 업무를 맡을 수 없지만 지난 2021년 11월 금융위원회가 토스의 후불결제 서비스를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하는 등의 조치로 활로가 열렸다. 네카토 3사 중 가장 이용자 수와 금액이 많은 토스는 월 한도 30만원까지 후불결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후 국내에 출시된 지 시간이 지나면서 이용자와 거래액도 순증했다. 6월 말 기준 빅테크 3사의 BNPL 서비스 누적 가입자 숫자는 총 302만명으로 전 분기대비 13.4% 가 증가했다.

문제는 이용자가 늘어나면서 연체율이 맞물려 늘어났다는 점이다. 특히 주부나 학생 등 씬파일러들이 주 이용층인만큼 이들의 소득 수준이 급여소득자에 비해 낮거나 불안정한 등 상환능력 부재한 경우가 다수 발생했다.

뿐만 아니라 일각에선 도덕적 해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BNPL서비스를 운영 중인 각 사는 자체 대안신용평가 모델을 통해 이용자의 신용도를 검증하는데 이들 업체간 연체정보 기록이 공유되지 않아 한 이용자가 다수 업체에서 BNPL을 모두 연체할 수 있는 구조라는 이유에서다.

앞서 해외에서도 유사한 지적이 나왔다. 미국 소비자금융보호국(CFPB)이 지난 3월 발표한 BNPL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직전 12개월간 BNPL 서비스를 이용한 소비자의 경우 타 소비자들에 비해 더 높은 신용카드 부채 수준과 의존도를 보였다.

이 보고서에서 CFPB는 "BNPL 이용자들은 (사용하지 않는 소비자에 비해) 부채가 많으며 신용카드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인다"며 "이들은 전통적인 신용 상품에 연체가 있으며 전당포 같은 고금리 금융 서비스를 이용한 이력이 있다"고 밝혔다.

업계는 연체채권 축소나 매각 등 대응에 나섰다. 네이버페이는 1분기 말 기준 약 124억원 수준이던 총채권은 2 분기 말 기준 약 122억으로 1.7% 가 감소했지만, 연체채권도 3억4000만원에서 3억으로 11.8%감소했다.

한 빅테크 관계자는 "고도화된 신용평가 모형에 따른 심사강화, 채권회수 내용 알림 등 고객이 장기 연체 위험에 노출되지 않도록 다양한 노력 기울이는 중"이라고 말했다.

이 외에도 카드사와의 협업으로 신용평가 모델을 개발에 나서기도 했다. 토스와 신한카드는 지난 9일 '데이터 공동 사업을 위한 신용평가모델 및 금융서비스 개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기존 금융 불이익 정보 위주의 신용평가 시스템을 보완할 수 있는 신용평가모델을 만들 계획이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특정 금융사나 가맹점과 파트너십을 맺고 BNPL 서비스를 제공하는 해외와 달리 국내 BNPL은 간편결제업자의 가맹점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다보니 범용성이 높다"며 "문제는 이런 범용성으로 인해 무분별한 이용자 유입이나 소비의 가능성도 함께 존재한다"며 우려를 표했다.

이어 "현재 전금법 상에는 자기자본금이나 대손상각비 등의 규제를 명시한 내용이 없어 최악의 경우엔 '제2의 카드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saebyeok@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