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여당이 ‘교권’이란 단어를 계속 고집한다면 [취재 뒷담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서초구 초등학교 교사의 죽음은 정말 학생인권조례 때문이었을까.
S 초등학교 담장에 붙은 무수히 많은 메모지 중 하나에는 "교실을 구해라. 교사를 구해라. 더 많이 죽기 전에"라고 쓰여 있었다.
주말에도 폭염 속에 교사 3만명이 모였다.
만약 교사의 직무상 권한을 명확히 하는 내용이라면 방향은 맞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서초구 초등학교 교사의 죽음은 정말 학생인권조례 때문이었을까. 전혜원 기자가 그 죽음이 남긴 질문을 살펴봤다. S 초등학교 담장에 붙은 무수히 많은 메모지 중 하나에는 “교실을 구해라. 교사를 구해라. 더 많이 죽기 전에”라고 쓰여 있었다.
기사가 온라인에 공개되기 전부터 반응이 뜨겁다.
〈시사IN〉 유튜브 ‘금요시사회’를 보신 선생님께서 문자를 보내왔다. “얼마나 많은 선생님들의 이야기를 듣고 자료를 찾아보고 관련 내용을 취재하셨는지가 느껴집니다. 사회와 언론이 많이 공감하고 같이 고민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었어요”라고 말해주셔서 큰 격려가 됐다.
주말에도 폭염 속에 교사 3만명이 모였다. 정부가 내놓은 대책은 이들에게 도움이 될까?
윤석열 대통령이 교권 확립 고시를 제정하라고 교육부에 지시했다. 만약 교사의 직무상 권한을 명확히 하는 내용이라면 방향은 맞다. 다만 ‘교권’이란 단어를 계속 고집한다면 개념이 모호해 현장에서 대책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다. 여전히 학생인권조례 개정을 이야기하는 걸 보면, 과연 문제의 핵심을 알고 있는지 의문이 든다.
후속 취재해보고 싶은 부분이 있다면?
장애 학생과의 통합교육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이 이슈가 되고 있다. '교권 추락'으로 뭉뚱그리기 어려운 인력과 예산, 시스템의 문제로 보인다. 누군가를 악마화하는 걸 넘어 함께 살 방법을 궁리하는 게 언론의 역할이라 믿는다.
장일호 기자 ilhostyle@sisain.co.kr
▶좋은 뉴스는 독자가 만듭니다 [시사IN 후원]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시사I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