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양희동 ‘분신방조 보도’ 고소 80일…“경찰 하나도 밝혀낸 것 없어”[노동사(死), 그 후]

김세훈 기자 2023. 8. 16. 21:3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④ 분신사망 양회동의 친형
사업하다 부도 위기 겪고
‘내 힘으로 잘살아보겠다’며
속초 건설 현장으로 간 동생
불법 재하도급 구조에 발목

고 양회동 건설노조 강원지부 제3지대장의 형 양회선씨에게 지난 100일은 숨 가쁜 시간이었다. 자신을 되돌아볼 여유도 없었다. 지난 6월21일 동생의 노동시민사회장이 엄수되고 나서야 동생이 떠났다는 사실을 실감했다. 혼자 있을 때마다 “형으로서 해준 게 없는 것 같다”는 회한이 몰려왔다. 종교에 의지하기도, 동생의 명예회복은 긴 싸움이 될 것이라며 자신을 다독이기도 했다. 그렇게 100일이 흘렀다.

울컥… 분신사망한 양회동 건설노조 강원지부 제3지대장의 형 양회선씨가 지난 9일 경기 동두천시 송내동성당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서성일 선임기자

양 지대장이 분신사망한 지 100일째인 지난 9일 회선씨를 경기 동두천의 한 성당에서 만났다. 회선씨는 “동생이 떠난 지 3개월이 넘었지만 지금도 동생과 같이 지내던 때를 생각하면 슬픔이 멈추지를 않는다. 차분해져야 한다고 생각은 하지만 감정은 어쩔 수가 없는 것 같다”고 했다.

양 지대장은 강원 속초에서 7남매 중 막내로 태어났다. 태어난 지 채 100일도 되지 않아 아버지가 위암으로 사망했다. 양 지대장의 어머니는 일거리를 찾아 시장과 이웃집을 전전했다. 자녀들은 어머니가 일당 대신 받아온 쌀로 밥을 해 먹는 경우가 잦았다. 열 살 터울인 회선씨와 양 지대장은 고생하던 어머니를 보며 ‘아버지의 역할’을 고민했다고 한다.

농고를 졸업한 양 지대장은 컴퓨터수리점 등에서 일했다. 2002년 아내를 만나 결혼하고, 7년 만에 어렵사리 쌍둥이 자녀를 얻었다. 양 지대장은 평소 자식들을 ‘내 분신들’이라 말했다고 한다. 회선씨는 “동생의 아이들이 어렸을 때 자주 아팠는데 그러다 보니 더 애틋해했다”며 “자신이 아버지의 보살핌을 못 받고 자랐으니 아이들에게는 그런 환경을 대물림하지 않겠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고 했다.

2012년 가정에 첫 위기가 찾아왔다. 강원 철원에서 약 5년간 이어오던 액화석유가스(LPG) 공급사업이 부도 위기에 몰렸다. 처음으로 빚이 생겼고, 지병인 당뇨병도 증세가 심해졌다. 힘들어하는 양 지대장을 지켜보던 회선씨는 양 지대장 가족을 불러 동두천 자신의 집에서 약 2년6개월을 함께 지냈다. 양 지대장은 회선씨가 운영하던 설비업체에서 일했다.

회선씨는 동생과 계속 같이 지내고 싶었다고 했다. 그러나 양 지대장 생각은 달랐다. 사회에 나가 ‘무언가’를 이루고 싶어 했다고 한다. 회선씨는 “동생에게 앞으로도 같이 지내자고 했지만 별 반응이 없었다”며 “나에게 신세 지는 게 미안했던 것 같기도 하고, 사업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도 있었던 것 같다”고 했다. 양 지대장은 “내 힘으로 잘 살아보겠다”는 말을 남기고 속초로 떠났다.

양 지대장은 2015년 속초에서 철근공으로 일을 시작했다. 어려서부터 손재주가 좋았던 터라 현장에서 반장을 맡는 등 능력을 인정받았다. 사업주 역할을 하면서 도급계약을 따내는 등 수완도 있었다.

그러나 건설 현장의 구조적 문제가 발목을 잡았다. 2018년 강원 평창에서 일하면서 불법 재하도급 문제를 겪었다. 원청은 양 지대장에게 공사대금을 지급했다고 했으나 그 돈을 받은 사람은 연락을 끊었다. 자신은 물론 같이 일하던 노동자들의 월급도 주지 못하는 처지에 놓였다. 회선씨는 “당시 동생이 같이 일하던 사람들에게 ‘나를 고발하라. 그러면 당신들은 밀린 월급을 받을 수 있다’고 말하면서 문제를 해결하려고 했다”며 “그때 만연한 불법 재하도급 구조에 질려버린 것 같았다”고 했다.

“부조리 못 지나치는 성격
노조 가입 후 편안함 찾아”
정부 건폭몰이에 몸 던져

2019년 양 지대장은 민주노총 건설노조에 가입했다. 중간착취를 일삼는 일명 ‘오야지’에게 치이지 않고 안정적으로 일감을 구하기 위해서였다. 회선씨는 “노조 가입 후에는 얼굴이 편안해 보였다. 명절 때 보게 되면 나는 동생에게 ‘돈은 조금 덜 벌더라도 마음 편한 게 최고’라고 말하곤 했다”고 했다.

노조 활동은 양 지대장 성격과 잘 맞았다. 코로나19 유행 당시 거리두기로 건설 현장에서 식사하기가 어려워지자 이를 언론에 알려 상황을 개선하기도 했다. 회선씨는 “동생이 평소 조용하고 남한테 싫은 소리를 잘 못하는 성격이었지만 사회적 부조리는 그냥 두고 보지 못하는 성격이기도 했다”며 “잘못된 것을 덮어놓고 ‘좋게좋게’ 넘어가는 것을 못 견뎠다”고 했다.

양 지대장은 2022년 1월 건설노조 강원지부 3지대장을 맡게 됐다. 이후 약 1년간 소속 노조원이 100명 가까이 늘었다.

지난해 12월 정부가 건설노조를 ‘건폭’으로 몰아세우기 시작하자 현장 분위기가 바뀌었다. 현장 교섭에 나서도 문전박대 당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그래도 양 지대장은 가족들에게 ‘괜찮다’는 말 외에 별다른 내색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회선씨와 양 지대장의 마지막 통화는 분신 2일 전인 지난 4월29일이었다. 양 지대장에 대한 경찰 수사가 진행되고 있었다. 양 지대장은 회선씨에게 “형님, 이제 마음이 좀 편해졌습니다”라고 했다. 회선씨는 그 말을 ‘이제는 괜찮아졌다’는 걸로 이해했다. 그때까지 경찰이 8000만원을 갈취한 혐의로 동생에게 구속영장을 신청한 것을 몰랐다고 한다. 회선씨는 “내가 동생에 대해 모르는 것이 많았구나 싶어 속이 쓰리다. 왜 조금 더 관심 있게 동생의 상황을 보지 못했을까 하는 아쉬움만 남는다”고 했다.

“아빠 잃고 남겨진 조카들
분신방조 기사 볼까 걱정”

양 지대장의 분신에도 정부는 요지부동이었다. 조선일보는 양 지대장 분신 당시 같이 있던 노조 간부의 분신 방조 의혹을 제기했다.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기사를 공유하며 장단을 맞췄다. 회선씨는 정부와 언론의 태도에 분노와 두려움을 느꼈다고 했다. 그는 “애초에 노동자의 죽음에 사과할 사람들이 아니라고 생각했지만 해도 너무하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남겨진 자녀들이 조선일보의 분신 방조 기사를 알게 될까 봐 정말 걱정됐다”고 했다.

경찰의 ‘분신 방조 보도’ 사건 수사를 두고는 “고소 이후 80일이 흘렀지만 아직까지 경찰이 제대로 밝혀낸 것이 없다. 정상적인 상황이라고 할 수 없다”며 “경찰은 시간이 흐르면 사건이 덮일 것이라고 생각하는지 모르지만 언젠가는 반드시 진실이 밝혀질 것”이라고 했다.

김세훈 기자 ksh3712@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