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물류 양날개 다는 부산…문화·관광 더해 '飛上'
産銀이전·대체거래소 유치로
해양·파생금융 분야 특화해야
가덕도 신공항·부산신항 연계
물류중심 도시로 재탄생 가능
지역 기업 혁신 생태계 만들고
첨단산업·마이스분야 지원을
저성장과 청년인구 유출에 시달리는 부산이 KDB산업은행 본사 이전, 가덕도 신공항 건설을 계기로 글로벌 금융·물류 플랫폼으로 다시 태어나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제조 중견기업·대기업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지방자치단체가 인센티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인력·행정 등에서 더 강력한 권한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16일 매일경제와 한국경영학회, 부산광역시, 2030부산월드엑스포범시민유치위원회는 '글로컬 혁신 생태계와 지역 혁신의 미래'를 주제로 제25회 한국경영학회 하계 융합학술대회를 부산 벡스코에서 개최했다.
김재구 한국경영학회장(명지대 경영학과 교수)은 "수도권은 과밀 상태, 비수도권은 일자리와 청년이 사라진 상태로 양극화를 겪고 있다"며 "기업이 주도하는 신산업 혁신 생태계를 만들어야 부산이 살아남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신산업혁신위원회: 부산엑스포&신산업 혁신 생태계' 세션에서 발표를 맡은 김연성 인하대 경영학과 교수(차기 한국경영학회장)는 "부산은 서울은 물론이고 전국 평균보다도 성장률이 뒤떨어진 상태"라며 "노인과 바다만 남았다는 말을 듣는 부산의 제조 산업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2021년 부산시 청년 통계'에 따르면 부산 청년(만 18~34세) 인구수는 2015년 79만2448명에서 2021년 68만8741명으로 13% 이상 줄었다. 지난해 시도별 합계출산율에서도 부산(0.72명)은 서울(0.59명)에 이어 두 번째로 낮았다. 부산의 2021년 지역성장률은 2.3%로 서울(3.5%)과 전국 평균(4.2%)을 밑돌았다.
한국경영학회는 청년인구 유출을 막기 위해서는 일자리가 필요한 만큼 부산의 특징을 살려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봤다.
특히 부산항은 세계 2위 환적항으로, 일본으로 향하는 물류 중 약 10%가 이곳을 거칠 정도다. 따라서 이를 감안해 부산을 물류중심도시로 재탄생시켜야 한다는 견해다.
김 교수는 또 "2029년 완공될 예정인 가덕도 신공항과 부산항, 부산신항을 연계해 물류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부산항을 고부가가치 항만으로 육성하기 위해 전자상거래 물류 클러스터를 구축해야 한다"며 "특성화 단지를 만들어 기업을 유치하고 한국·중국·일본 항로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부산 경쟁력 제고의 또 다른 한 축은 금융이다. 이준서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는 "대체거래소와 디지털자산거래소 등을 부산에 유치해 거래소 클러스터를 만들어야 한다"며 "산은 본사 이전을 통해 해양금융을 활성화하고 민간 기관 유치를 늘려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북항과 가덕도 신공항 개발 과정에서 발생할 막대한 금융 수요를 공략할 수 있도록 금융회사를 부산에 유치하는 한편 해양·파생 금융 분야에 특화한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봤다.
정연승 단국대 경영경제대 교수는 "국제 금융과 콘텐츠, 물류 분야는 지원이 이뤄지고 있지만 첨단 제조 산업과 MICE(회의·관광·컨벤션·전시) 분야는 아직 성장이 약한 편"이라며 "인재 유치를 지원하고 인프라스트럭처에 대한 투자로 산업 경쟁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했다. 정 교수는 "부산국제영화제가 세계적인 명성을 쌓은 만큼 콘텐츠 분야 학계를 조성하는 것도 고려할 때"라며 "미국 캘아츠, 시네마틱아트 같은 대학과 공동 캠퍼스 조성을 검토해야 한다"고도 했다.
이날 김병준 전국경제인연합회 회장직무대행은 '지역 혁신 생태계를 위한 산·학·정의 역할' 세션에서 주제발표를 맡았다. 김 회장직무대행은 "잼버리 운영을 두고 지방자치단체 역량이 뒤처진 결과라고 하지만 이는 인과가 잘못된 것"이라며 "지방 분권을 제대로 시행해 지자체 운영에 국민이 더 많은 관심을 갖게 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직까지 지방 분권이 이뤄진 적이 없다고도 했다. 그는 "지방은 아직까지 예산이나 인력 등 모든 것을 자체적으로 결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지방 자치를 하지 못했다고 봐야 한다"며 "대학이나 지자체 모두가 중앙정부의 강력한 통제를 받는 한 지방 분권과 지역 살리기는 어렵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원숙연 이화여대 교수는 "지역에서 기업 중심의 혁신 생태계를 만들어야 지방이 살아난다"며 "지금처럼 수도권 규제를 강화해 봐야 지방은 못 살린다"고 말했다.
김용준 성균관대 교수(전 한국경영학회장)는 "중앙정부가 강력한 권한을 내려놓지 않는 한 지역 생태계를 활성화시키기 어렵다"며 "지자체가 규제를 풀 수 있게 하고 대기업을 유치하게 해야 일자리도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김 회장직무대행은 "미국은 주정부가 혁신하면 이를 연방정부가 도입할지 고민하는 방식"이라며 "작은 변화에서부터 지방이 권한을 갖고 시작할 수 있어야 국가 혁신도 가능하다"고 했다.
[특별취재팀=김대영 부국장(팀장) / 배한철 부장 / 박동민 기자 / 서진우 기자 / 이유섭 기자 / 송민근 기자 / 정유정 기자 / 김희수 기자 / 사진 이충우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장사 안돼 문 닫았다네요”...벌써 9만명이나 신청했다는 이것 - 매일경제
- 하다 하다 박근혜 지시 충실히 따랐다는 이재명의 변명 [핫이슈] - 매일경제
- 막말 카이스트 학부모...“죄송합니다만 그 교사는 죽지 않았습니다” - 매일경제
- “안사고는 못배길걸”...별명만 수십개, 우리가족 설레게 한 패밀리카 - 매일경제
- "이걸요? 제가요? 왜요?"… 잼버리 지원 요청에 "강제동원" 반발 - 매일경제
- 복권 당첨됐다가 ‘황당’…‘20만장 회수’ 스피또1000 발권오류, 경찰조사 - 매일경제
- [영상] 죽은 새끼 내내 등에 업고…남방큰돌고래 모성애 ‘감동 철철’ - 매일경제
- "애가 밥을 안먹는데…CCTV부터 봅시다" - 매일경제
- “버팀목 대출받았는데 자산증가요?”…건보료 폭탄 대체 무슨 일 [김혜진의 알쓸경법] - 매일경
- 케빈 더 브라위너, 햄스트링 부상으로 3~4개월 결장 예정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