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2.2일 늘 때 구미 2.7일…‘폭염’ 증가 속도, 중소도시>대도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도시에 비해 중소도시의 폭염일(일최고기온이 33도 이상인 날) 증가 속도가 더 빠르다는 분석이 나왔다.
16일 기상청이 발표한 도시화 효과가 기온 상승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 48년간(1973~2020년) 중소도시의 폭염일은 10년 당 1.8일 증가해 대도시의 증가 추세(1.6일)를 넘어섰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6일 기상청이 발표한 도시화 효과가 기온 상승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난 48년간(1973~2020년) 중소도시의 폭염일은 10년 당 1.8일 증가해 대도시의 증가 추세(1.6일)를 넘어섰다. 이번 분석은 대도시 8곳, 중소도시 8곳, 비도시 14곳을 관측한 자료를 기반으로 했다.
기상청에 따르면 48년간 인구 100만 명 이상 대도시 8곳(서울·부산·인천·대구·대전·광주·수원·울산)과 인구 30만 명 이상 중소도시 8곳(청주·천안·전주·포항·제주·구미·진주·원주) 등 도시 16곳의 연평균 기온은 10년 당 0.37도 상승했다.
도시화에 의한 기온 상승분은 0.09~0.18도로, 기온 상승의 약 24~49%가 도시화 효과로 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중소도시의 도시화 효과는 29~50%로(기온 상승분 0.11~0.19도) 대도시의 도시화 효과 수치인 22~47%(기온 상승분 0.08~0.17도)에 비해 큰 것으로 분석됐다.
같은 기간 폭염 발생 빈도의 증가 경향은 매 10년 당 중소도시에서 1.8일 증가해 대도시(1.6일)보다 증가 속도가 빨랐다. 인접한 대도시와 중소도시 간 폭염 발생 빈도 증가 경향을 비교해도 중소도시의 증가 폭이 비교적 컸다. 대구의 경우 폭염일이 10년마다 2.2일 증가했으나, 구미는 2.7일 늘었다. 대전은 같은 기간 1.1일 증가했으나 청주는 1.7일 늘었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대도시에 사는 인구 비율은 1990년대 약 52%로 고점을 찍은 뒤 다소 감소했지만, 중소도시 인구 비율은 최근에야 31%로 최고점을 기록했다”면서 “1990년대 이후 성장이 정체한 대도시와 달리 중소도시는 최근까지 성장을 지속한 점이 기온 상승세와 폭염 증가세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예지 동아닷컴 기자 leeyj@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관영 “잼버리 야영장·화장실·폭염대책, 전북 책임 아냐”
- 271명 탄 여객기 조종사 건강이상 긴급 착륙…조종사 사망
- ‘나 카이스트 출신…’ 갑질 학부모, 신상 공개되자 “그 교사 안 죽었다”
- 이준석 “잼버리는 전라도 탓? 예산 80%는 尹정부 지출”
- 文 모친상 때 조의문 전달했던 北…尹 부친상은 언급 無
- 모텔서 마약 투약한 20대 여성 사망…함께 있던 남성 검거
- 대낮 도심서 ‘비키니’ 활보…“눈을 의심” “관심 끄자”(e글e글)
- 24시간 운행 美무인택시, ‘움직이는 모텔’ 악용 우려
- ‘롤스로이스男’, 병원 한 곳서만 11차례 마약류 투약
- “태워 달란 말이야”…버스 앞에 주저앉아 행패 부려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