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도시 폭염 증가세 대도시보다 빨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소도시의 폭염 증가 추세가 대도시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폭염일수 증가 추세 또한 중소도시가 더 많았다.
10년당 대도시 폭염일수는 1.6일이었던 반면 중소도시는 1.8일이었다.
대도시와 인접한 중소도시는 폭염일 발생 빈도 추세가 더 가팔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도시보다 중소도시에서 기온 상승폭 더 커
비도시인 농촌은 폭염 증가세 가자 낮아
중소도시의 폭염 증가 추세가 대도시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도시인 농촌은 폭염 증가세가 가장 낮았다.
기상청은 지난 48년간(1973~2020년) 우리나라 30곳(도시 16곳, 비도시 14곳)의 관측 자료를 기반으로 도시화 효과가 기온 상승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16일 내놨다.
도시화는 지역의 인구수가 급증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에 따르면 우리나라 16곳 도시의 연평균 기온은 10년당 평균 0.37℃ 상승했다. 16곳엔 인구 100만명 이상 대도시 8곳(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광역시, 대전, 경기 수원, 울산)이 들어갔다.
30만명 이상 중소도시 8곳(충북 청주, 충남 천안, 전북 전주, 경북 포항·구미, 경남 진주, 제주, 원주)도 포함됐다.
비도시는 14곳으로 경기 양평, 충북 제천·보은, 충남 부여·금산, 전북 남원·임실, 경북 영천·영덕, 경남 산청·통영, 인천 강화 등이 해당됐다. 읍·면 단위로는 제주시 성산읍과 충북 영동군 추풍령면이 들어갔다.
매 10년간 대도시의 기온 상승 폭은 0.36℃ 였다. 반면 중소도시는 0.38℃로 대도시보다 0.02℃ 높았다. 인구수 10만명 안팎인 비도시는 0.23℃에 그쳤다.
도시화 효과가 기온 상승에 기여한 정도는 16곳 도시 평균 24~49%로 분석됐다. 대도시는 22~47%, 중소도시는 29~50%였다. 도시화 효과가 기온 상승에 끼친 영향도 대도시보다 중소도시에서 더 크게 나타난 것이다.
폭염일수 증가 추세 또한 중소도시가 더 많았다. 폭염일은 하루 최고기온이 33℃ 이상인 날이다. 10년당 대도시 폭염일수는 1.6일이었던 반면 중소도시는 1.8일이었다. 비도시는 1.1일이었다.
대도시와 인접한 중소도시는 폭염일 발생 빈도 추세가 더 가팔랐다. 대구와 구미 사례가 대표적이다. 대구 폭염일수는 10년당 2.2일 늘었다. 이에 반해 구미는 2.7일로 0.5일 더 많았다.
‘울산-포항’ 역시 마찬가지다. 울산 폭염일수는 0.5일 증가하는 데 그쳤지만 포항은 1.1일에 달했다.
이같은 현상의 원인으로 기상청은 대도시 인구 증가가 1990년대에 최고점을 찍은 후 하향하는 추세인 반면, 중소도시 인구 증가는 꾸준히 상승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유희동 기상청장은 “최근 중소도시의 지속적인 성장이 폭염이라는 극한 현상의 증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한편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올들어 14일 기준 전국 누적 온열질환자는 2244명이다. 그 중 사망자는 29명이다.
영유아·노약자·임산부·만성질환자 등은 가장 더운 시간인 오후 2~5시엔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수시로 건강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고령 농민은 모자·그늘막·아이스팩 등을 활용해 햇빛을 최대한 피해야 하고 한시간당 10~15분 휴식하는 게 좋다.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