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지역별 ‘폭염’ 위험 요인과 대안은?

김도훈 2023. 8. 15. 22:0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KBS 대구] [앵커]

앞서, 2040년 이후 대구 경북의 폭염 전망을 전해드렸는데요,

폭염 위험도에서는 도시화가 끝난 대구 도심 지자체와 경북의 농어촌 지자체 사이의 분명한 차이가 보입니다.

폭염 리스크 평가를 기반으로 어떤 준비를 해야 할지, 김도훈 기자가 정리했습니다.

[리포트]

대프리카라는 별명이 생겼을 만큼 무더운 대구,

2000년 이후 20년 동안 폭염특보 일수가 20일이 넘는 곳은 대구 중구와 서구, 달서구 3곳이나 됐고 다른 지자체도 20일에 근접했습니다.

실제 기온은 물론 이들 지역이 가진 취약점도 폭염 위험을 키웠습니다.

폭염 리스크는 기온을 기반으로 한 위해성에 인구 구조를 바탕으로 한 피해 노출도, 사회적 대응 능력인 취약성을 종합해 평가하는데, 대구 도심 지자체는 녹지 면적과 하천 수계 비율이 낮고, 무더위 쉼터가 적은 점 등이 악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당장의 기온을 떨어뜨릴 수는 없지만, 녹지 면적을 확대하고 무더위 쉼터를 늘리는 등 도시 환경을 쾌적하게 바꿔가면 폭염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반면 경북 농촌 지자체의 위험 요인은 정반대입니다.

이들 지역은 폭염 취약 계층인 65살 인구와 홀몸 노인 비율이 높은 데다 재정자립도와 인구당 의료인력, 복지예산 비율 등은 낮은 점이 폭염 위험을 키우는 요인으로 꼽힙니다.

[유인상/한국환경연구원 국가기후위기적응센터 박사 : "독거노인 거주 지역이나 경로당 등 폭염 취약계층 이용시설을 직접 방문하거나 아니면 또 건강 상태를 확인해서 그리고 냉방 설비 가동 여부 등 운영 실태를 점검할 필요가 있고요."]

의료 접근성을 높이고, 스마트 농장으로 빠르게 전환하는 등 중장기적으로는 폭염 피해 감소 방안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폭염을 비롯한 극한 기후가 일상이 되는 시대, 지역 현실에 맞는 대응책 개발이 절실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도훈입니다.

촬영기자:김석현/그래픽:인푸름

김도훈 기자 (kinchy@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