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죄가 먼저’…자신의 사연 앞에 선 강제동원 피해자
[KBS 광주] [앵커]
빼앗긴 조국을 되찾은 지 78년이 지났지만,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들에 대한 일본 정부와 기업의 사과는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피해자들은 일제 강제동원은 지워져선 안 될 민족의 아픈 역사라며, 일본의 진심 어린 사죄를 다시 한번 촉구했습니다.
보도에 손준수 기자입니다.
[리포트]
태평양 전쟁이 막바지에 이르던 1945년 3월.
22살 이경석 할아버지는 일본 이바라키현의 일본군 농경근무대로 끌려가 강제 노역을 했습니다.
올해 100살인 이 할아버지는 아직도 일본군의 만행을 또렷이 기억합니다.
[이경석/강제동원 피해자 : "연병장에다가 거꾸로 매달아 놓고요. 돼지 잡는 천으로 묶어 놓고 찬물로 뿌리고 때렸어요."]
일제 강제동원에 대한 증언을 남기기 위해 5년 전부터 한 시민단체가 구술 작업에 나섰는데, 광복절을 맞아 피해자 31명의 가슴 아픈 사연을 공개하는 사진전을 열었습니다.
피해자들은 자신의 징용 피해 사실이 담긴 팻말 앞에서 80년 전 기억을 생생하게 떠올렸습니다.
[오연임/강제동원 피해자 : "(월급) 뺏어서 가버리고 아무것도 없었어. 닭 모이만 반 통만 가져왔거든 시집가면 쓴다고, 그것도 다 뺏어서 가고 빈 가방만..."]
강제동원 피해자들이 세월의 무게를 이기지 못하고 하나둘씩 세상을 떠나는 상황, 생전의 구술도 이제는 역사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정부의 '제3자 변제' 해법을 수용하지 않은 강제동원 배상 소송 당사자의 마지막 소원은 일본의 사죄입니다
[양금덕/강제동원 피해자 : "일본서 사죄하는 게 하나 바람이자 목적이고, 이제 무엇을 바라겠어. 사죄받는 것이 하나의 소원이여."]
올해 1월 기준으로 생존해 있는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는 천 2백여 명.
조국을 되찾은 지 78년이 지난 오늘, 여전히 사죄와 배상을 받지 못한 채 온전한 광복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손준수입니다.
촬영기자:조민웅
손준수 기자 (handsome@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윤 대통령 “독립운동은 건국 운동…일본은 공동이익 파트너”
- ‘더러운 잼버리 화장실’ 애초 청소 계획 인력은 15명에 불과
- “강승규 수석 ‘출마 자제’ 요청, 사적 대화 아냐”…“수석이 전대 라인업?”
- “채찍뿐 아니라 당근도?”…‘언론 길들이기’ 정황 문건
- 국민 82%는 “북한 비호감”…75%는 “안보 불안” [국민통일의식조사]
- “최원종이 앗아간 첫사랑”…유족은 사과를 거절했다
- [크랩] 바다의 물귀신이라는 ‘이안류’ 만났을 때 대처방법 5분 정리
- “입주 이틀 만에 물벼락”…LH 매입임대주택 ‘하자’ 잇따라
- “문 열어달라고!”…버스 막고 도로에 앉은 여성, 무슨 일이? [잇슈 키워드]
- 기록에 묻힌 독립영웅 4천 명, 이 사람이 찾아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