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 이끌 '혁신 생태계'… 기업이 앞장서 구축해야"

김대영 기자(kdy@mk.co.kr), 서진우 기자(jwsuh@mk.co.kr), 이유섭 기자(leeyusup@mk.co.kr) 2023. 8. 15. 17:4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매경·한국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 16일 부산 개막

◆ 경영학회 융합학술대회 ◆

한국 경영학자와 기업인들은 지식경제와 상업경제가 맞물린 산업 혁신 생태계가 민간 기업을 중심으로 돌아갈 때 지역 곳곳에까지 스며들 수 있다고 봤다. 이번 매일경제·한국경영학회 설문조사에서도 310명의 응답자들은 기업과 지식·기술, 사회 혁신, 정부 혁신 분야 경쟁력이 통합된 '글로컬 신산업 혁신 생태계'가 향후 국내 경제 성장 모멘텀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설문에서 글로컬 신산업 혁신 생태계 조성의 핵심 성공 요인(복수응답)으로 신산업 육성 정책(13.2%)과 전문인력 양성·공급(12%), 민간 기업의 기술·혁신 역량(11.6%) 등을 꼽았다.

이 밖에 신산업 지식·기술 생태계, 신산업 기업 생태계, 신산업 혁신 금융 생태계, 신산업 테스트베드(시험·인증 기관과 산업단지), 지역 정주여건, 외국 전문인력과 산업기능인력 활용 여건 등도 골고루 강조됐다. 과거 혁신 시스템이 정부를 중심으로 한 자원 투입에 의존하는 것과 달리 다양한 요인 간 유기적 관계가 맺어져야 신산업 혁신도 가능하다는 얘기다.

혁신 생태계가 '글로컬' 차원에서 조성되려면 서울 광역권 초집중화와 지방 소멸을 극복해야 한다는 데 대다수 응답자들이 동의했다. 현재 경기도 서부지역과 인천광역시 일부 지역도 인구소멸지역으로 분류되는 가운데 지방은 산업·인구 공동화 현상이 더욱 가속화되며 '지방 소멸 시대'를 맞고 있다. 응답자들은 지방 소멸 위기 3대 원인으로 지역 일자리 생태계 침체(37.4%)와 지역 산업·기업 생태계 침체(28.4%), 지역 사회문화와 정주여건 악화(12.9%)를 꼽았다.

그간 정부는 지방 소멸을 극복하기 위해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 153개를 비수도권으로 이전했다. 아울러 이전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혁신도시 10곳을 조성했다. 제1차 공공기관 이전 정책과 혁신도시 1기 정책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하지만 제2차 공공기관 이전과 혁신도시 2기, '글로컬 대학 30'이 더해진 윤석열 정부의 지방시대 정책에 대해서는 긍정적 기대감(44.5%)이 부정적 시각(26.1%)보다 높게 나타났다.

비수도권 지역에 글로컬 신산업 혁신 생태계가 조성되고 역동성이 제고돼야 비로소 지방 소멸을 극복할 수 있다고 전제한다면 결국 민간 기업의 비수도권 지역 대상 투자가 이를 풀어가는 핵심 열쇠라고 볼 수 있다.

비수도권 지역에서 민간 기업 투자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지역 내 신산업 전문인력 양성과 공급 여건 개선(14.9%), 지역 내 신산업 인프라스트럭처 개발과 고도화(14.8%), 지역 내 대학·연구기관·기업 간 지식생태계 조성과 역동성 제고(14.4%), 지역 내 개방적 사회문화와 정주여건의 국제적 수준 고도화(13.6%) 등이 주요 과제로 지적됐다.

서울·인천·경기를 제외한 비수도권 지역 중 글로컬 신산업 혁신 생태계 경쟁력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지역은 부산(28.7%)과 대전(24.8%), 세종(13.2%), 울산(10.6%) 순으로 꼽혔다. 충북(3.9%) 등 다른 지역은 민간 기업 관점에서 특별한 산업혁신 투자 유인을 찾기 힘든 것으로 파악됐다.

부산과 대전의 경쟁력이 높게 나왔지만 수도권과 비교하면 한참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부산과 대전의 글로컬 신산업 혁신 생태계 경쟁력은 수도권의 53.5%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시의 글로컬 신산업 혁신 생태계의 국제 경쟁력은 도시 부문 글로벌 20위 정도로 파악됐고 경기도는 24위로 나타났다. 한국이 '지역 혁신 역할 모델'로 참고해야 할 국가와 지역으로는 미국과 캘리포니아주 실리콘밸리 지역이 압도적으로 많이 꼽혔다. 미국은 실리콘밸리 외에도 매사추세츠주 보스턴, 뉴욕주 뉴욕, 텍사스주 오스틴,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워싱턴주 시애틀 등을 깊이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경영학회는 지역에도 기업이 많이 몰리게끔 하려면 각 지역 특성을 살린 투자 유치가 절실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사업 투자와 회수, 구조조정까지 함께 할 수 있는 '산업혁신 전문회사'를 도입해 우리 산업과 경제를 변혁할 수 있는 '게임 체인저'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영달 한국경영학회 부회장은 "한국과 미국의 글로컬 신산업 혁신 생태계 경쟁력 차이는 그 주도성과 핵심 역할이 정부이냐 민간이냐에 달려 있다"며 "이번 설문조사는 민간 기업과 대학이 주도성을 갖고 글로컬 신산업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고 정부와 국회, 지방의회 등은 법과 제도, 정책적 조력으로 이를 뒷받침할 때 이전과는 다른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고 말했다.

[특별취재팀=김대영 부국장(팀장) / 서진우 기자 / 이유섭 기자 / 송민근 기자 / 정유정 기자 / 김희수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