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 앞바다 바다제비 99% 플라스틱 섭취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서해에 사는 바닷새 대부분이 플라스틱 등의 해양쓰레기에 노출됐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15일 국제학술지 해양오염학회지 최신호에 따르면 바닷새연구소 김미란 박사 등은 '한국 바다제비 성조와 유조의 해양쓰레기 섭취' 논문을 통해 2013∼2014년 전남 신안군 칠발도에서 쇠무릎 등 외래식물에 걸려 죽은 바다제비 사체 146구를 분석한 결과 145구(99.3%)에서 플라스틱 쓰레기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제학술지 해양오염학회지 논문 통해 확인
한국 서해에 사는 바닷새 대부분이 플라스틱 등의 해양쓰레기에 노출됐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15일 국제학술지 해양오염학회지 최신호에 따르면 바닷새연구소 김미란 박사 등은 ‘한국 바다제비 성조와 유조의 해양쓰레기 섭취’ 논문을 통해 2013∼2014년 전남 신안군 칠발도에서 쇠무릎 등 외래식물에 걸려 죽은 바다제비 사체 146구를 분석한 결과 145구(99.3%)에서 플라스틱 쓰레기가 검출됐다고 밝혔다.
이는 북대서양에 분포하는 흰허리바다제비와 남극에 사는 윌슨바다제비의 플라스틱 쓰레기 검출률 87.5%, 75%보다 높은 수치다.
칠발도 바다제비에게서 나온 플라스틱 쓰레기의 평균 무게는 51㎎이고 평균 길이는 4㎜였다.
어린 새에게는 파편 형태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많이 나왔고, 어른 새에게는 실같이 생긴 플라스틱 쓰레기가 가장 많이 확인됐다. 또 어른 새는 어망으로 추정되는 초록색 플라스틱 쓰레기를 가장 많이 섭취했다.
플라스틱 쓰레기는 어른 새의 경우 마리당 15.2점을 섭취한 반면, 어린 새는 마리당 24.3점을 섭취해 더 많이 많이 쌓여있었다.
이에 대해 연구진은 “유조(어린 새)의 63%, 성조(다자란 새)의 24%는 플라스틱 쓰레기가 몸무게의 0.1%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라며 “유조에게 먹이를 주는 과정에서 성조 몸에 쌓여 있던 플라스틱 쓰레기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흔한 여름철새인 바다제비는 온몸이 암갈색이고 몸길이가 20㎝ 정도다. 전 세계 바다제비 70%가 우리나라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번식지인 전남 신안 칠발도와 구굴도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
이용권 기자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웅 “日 관광객 부르려 이토 히로부미 공원 만드나?”…강기정 ‘정율성 공원’ 정당화 비판
- 박원순의 유산 ‘서울로7017’ 철거되나? 서울역 대개조 시작된다
- 부여군 의원 극단선택…72억 금테크 사기 의혹 아내는 잠적
- 야밤에 한강 돌아다니는 이영애… 무슨 일?
- ‘정말 기상이변’…美 데스밸리 사막에 역사상 최대 폭우
- ‘땅콩 검객’ 남현희 파경…“남은 삶, 평생 함께할 사람 만났다”
- 北 김정은이 콕 짚어 맹비난한 이 사람, “살아남을 수 있을까”
- 19살 의붓조카와 바람난 남편… 서장훈 “해외토픽감”
- 백두산 호랑이 민가 내려와 ‘어흥’… 올 들어 벌써 181번째
- “술 취해 가벼운 마음에”… DJ소다 성추행 男들, 日경찰에 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