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빚 탕감 좀"…채무조정 신청자 상반기에만 9만여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았다가 생활고 등으로 빚을 갚지 못해 채무조정(신용회복)을 신청하는 사람들이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양정숙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채무조정 신청자는 올해 들어 6월말까지 9만1981명을 기록했다.
상반기 기준 신속채무조정 신청자는 2만1348명으로 지난해 전체 신청자 수(2만1930명)와 거의 비슷한 수치를 기록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평균 변제기간도 100개월 넘어
성실 상환자 소액대출도 급증
[이데일리 김국배 기자]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았다가 생활고 등으로 빚을 갚지 못해 채무조정(신용회복)을 신청하는 사람들이 폭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 양정숙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채무조정 신청자는 올해 들어 6월말까지 9만1981명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전체 채무자(13만8202명)의 70%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빛을 갚기 어려워진 대출자들에게 상환 기간 연장, 이자율 조정, 채무 감면 등을 해주는 채무조정은 연체 기간에 따라 신속 채무조정, 프리워크아웃, 개인워크아웃 등으로 구분된다.
특히 현재는 정상적으로 채무를 갚고 있지만 연체가 우려되거나 1개월 미만 단기 연체자에 대해 채무 상환을 유예하거나 상환 기간을 연장해주는 신속 채무조정이 급증했다. 상반기 기준 신속채무조정 신청자는 2만1348명으로 지난해 전체 신청자 수(2만1930명)와 거의 비슷한 수치를 기록했다. 그만큼 빚 상환 여력이 떨어져 한계 상황에 내몰리는 대출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채무 변제까지 걸리는 평균 기간도 길어지고 있다. 2018년 84.6개월에 그쳤던 변제기간은 2021년 90개월을 넘어서더니 지난해에는 94.1개월로 길어졌다. 올해 6월 기준으론 100.5개월까지 늘어났다. 양정숙 의원은 “변제기간이 100개월을 넘어선 것은 금융 취약계층의 실질소득 감소와 체감경기 실태가 심각한 상황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했다.
빚을 꼬박꼬박 갚아온 성실 상환자들도 경기 침체와 금리 상승 여파에 한계 상황에 내몰리고 있다. 건당 200만~300만원 수준의 소액 대출 신청자는 2018년 2만1690명에서 지난해 4만4671명으로 늘었다. 4년 만에 2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올해도 상반기까지 벌써 2만3264명이 신청해 작년 수치를 웃돌 것으로 예상된다.
소액 대출 신청자가 늘면서 연체율도 덩달아 증가했다. 2018년 6.7%였던 연체율은 지난해 10.5%로 뛰었다. 연체자도 2202명에서 6998명으로 3배 이상 늘었다.
한편 채무조정 대상자들은 여러 계좌를 통해 복수 대출을 받는 경우가 많았다. 4~9개 계좌를 이용한 경우가 4만7403건(58.1%)으로 가장 많았다. 2~3개 계좌 이용 수는 1만4275건(18.7%), 10개 이상 계좌 이용 수는 1만4134건(16.8%)이었다. 1개 계좌를 통해 대출받은 경우는 4891건(6.4%)에 불과했다. 대출받은 기관은 신용카드사(39.2%), 대부업체(26.8%), 시중은행(13.1%), 저축은행(12.3%) 순이었다.
김국배 (vermeer@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尹대통령의 '제1멘토' 부친 윤기중 교수…유년시절부터 큰 영향
- 경찰, 강남서 옷 훔친 외국 잼버리 대원 3명 체포
- 낮잠 안 자는 아이 이불째 밀어 ‘아동학대’? 항소심도 “무죄”
- 박수홍 형수 “200억 부동산? 내가 재테크 잘했을 뿐”
- [써보니]“이래도 안써?”…역대급으로 돌아온 ‘갤탭S9 울트라’(영상)
- '선거의 해'인데 기강 해이해진 선관위…성희롱에 음주운전까지
- “아내 자식 잘 있냐” 농산물 도둑 신고했더니 11개월 협박...50대 집유
- 광복절 경찰 치고 달아난 10대 폭주족 '집유', 이유는? [그해 오늘]
- “광복절에도 출근, 수당은 없어요”…어디서 일하길래
- 국민 2명 중 1명 “인과응보 안 통해…정직하면 바보되는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