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NEWS] 이제 국민 앱은 유튜브?...시장 잠식하는 美 빅테크에 속수무책

7NEWS팀 2023. 8. 15. 07: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7NEWS 뉴스레터 구독하기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45557

안녕하세요. 7NEWS입니다. ‘국민 앱’하면 어떤 어플리케이션(앱)이 떠오르시나요? 전국적인 중고거래 열풍을 불러일으킨 당근마켓은 어떤가요? 거래자 간 신원확인을 위해 암구호처럼 주고받았던 “당근이세요?”란 말은 그 자체로도 유행이 되기도 했습니다. 네비게이션 앱 티맵(TMAP)도 강력한 국민 앱 후보입니다. “티맵 때문에 통신사를 안 바꾼다”는 말도 있을 정도입니다. 다운로드 수도 2000만건(지난 7월 기준)을 넘겼다고 합니다.

IT공룡이라고도 불리는 네이버와 카카오는 설명이 필요없지요. 13일 모바일 빅데이터 기업 아이지에이웍스가 발표한 모바일인덱스 통계(7월분)에 따르면 카카오톡은 월간 실사용자 수(MAU) 4115만8838명으로 1위를, 네이버는 3906만7276명으로 3위를 기록했습니다. MAU란 한 달에 최소 1번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사람의 수입니다. 전 국민 대다수가 두 앱을 애용하고 있는 겁니다.

네이버, 카카오 로고. /조선DB

하지만 영원할 것만 같았던 토종 국민 앱의 아성은 미국 빅테크의 도전에 흔들리고 있습니다. 어쩌면 이른 시일 내로 MAU 1위 자리가 바뀔 수도 있다는 섬뜩한 전망마저 나오는 실정입니다. 지난 달 MAU 2위에 오른 앱은 유튜브였습니다. 올해 들어 카카오톡과 유튜브 간 MAU 격차는 지속해서 줄고 있습니다. 유튜브는 카카오톡과의 MAU 격차를 40만1120명까지 줄였습니다. 지난 5월까지만 해도 MAU는 약 50만명 정도 차이가 있었는데, 2개월 사이 격차가 20% 가량 줄었습니다.

국내에서 유튜브가 폭발적으로 성장한 데엔 1030세대의 전폭적인 지지가 주효했습니다. 젊은 세대가 선호하는 정보습득 방식은 텍스트에서 영상 위주로 축이 옮겨가고 있습니다. 유튜브 검색 방식은 키워드를 검색해 정보를 추려내야 했던 기존 방식에 비해 간편합니다. 또 유튜브는 검색어와 검색어 간 연관성 등을 종합해 취향을 실시간으로 분석합니다. 추천 동영상을 파도타듯 계속 본다는 뜻의 ‘알고리즘의 인도’란 말도 등장했습니다.

유튜브는 검색도 용이하고, 콘텐츠도 끝을 알 수 없을 정도로 방대합니다. 카카오와 네이버도 영상 콘텐츠 대응에 나섰지만 역부족입니다. 지난달 국내에서 모바일로 유튜브를 본 총 사용시간은 15억2920만 시간인 것에 비해 2위 카카오톡은 5억1876시간, 3위 네이버는 3억4554시간으로 나타났습니다. IT업계가 검색(search)과 서핑(surfing)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는 것에 위기를 느끼는 이유입니다.

/일러스트=이철원.

미국 빅테크의 공세는 전방위적입니다.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시장은 넷플릭스가, SNS는 인스타그램(메타), 클라우드 시장은 AWS(아마존 웹 서비스)가 1위를 차지했습니다. 모바일 음원시장도 함락을 걱정해야 하는 처지입니다. 유튜브 뮤직(MAU 580만7421명)은 1위 멜론(MAU 665만1897명)을 바짝 뒤쫓고 있습니다. 이 둘의 MAU 격차가 100만명 이하로 진입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국내 웹 검색시장을 둘러싼 구글의 추격도 매섭습니다. 올 초 네이버의 검색점유율은 64.5%였는데, 5월 들어 55.7%로 추락했습니다. 같은 기간 구글은 26.5%에서 34.8%로 약진했습니다. 네이버가 잃은 점유율만큼 구글이 가져갔습니다. 몇 년 뒤에는 국민 앱이 유튜브나 구글이 되는 시대가 올 지도 모르겠습니다. 세상은 더욱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국민 앱이라는 지위에 안주해있으면 따라잡히는 것은 순식간입니다.

◇교권 침해 학생, 입시 불이익 준다

학생이 교사를 폭행하는 등 교권 침해를 저질러 학급 교체나 전학, 퇴학 등 중대 처분을 받으면 학교생활기록부에 기록을 남기겠다고 교육부가 14일 밝혔다. 현재 학생이 학생을 폭행(학폭)하면 학생부에 기록하고 입시에도 반영하는데, 학생이 교사를 폭행할 때도 같은 불이익을 주겠다는 것이다.

기사보기

◇대선 뒤덮는 딥페이크… 美정부, 칼 뽑았다

이미지·영상 등을 합성해 진짜처럼 만들어내는 ‘딥페이크(deepfake)’가 내년 미 대선의 가장 큰 쟁점 중 하나로 떠오르고 있다. 미 연방선거관리위원회(FEC)는 내년 11월 대선을 1년여 앞두고 AI(인공지능)가 만든 딥페이크 이미지를 이용한 가짜 뉴스 규제 검토에 최근 착수했다.

기사보기

◇도심 50㎞, 스쿨존 30㎞ 제한속도 완화하기로

도심 일반도로는 시속 50㎞, 주택가 등 주변 이면도로는 시속 30㎞로 제한속도를 낮춘 ‘안전속도 5030′ 정책은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21년 4월부터 시행됐다. 차량 속도를 낮춰 교통사고 발생 시 사망 가능성을 줄이고 보행자의 안전을 확보한다는 취지였다. 하지만 심야처럼 교통량이 적을 때도 일률적으로 제한속도를 적용시켜 차량 정체 및 공회전으로 인한 배기가스 문제를 유발시킨다는 지적도 잇따랐다.

기사보기

◇광복군의 韓英 연합작전 도운 윌리엄스, 통영 만세시위 이끈 함복련을 아시나요

1908년 입국한 미국인 선교사 프랭크 얼 크랜스턴 윌리엄스(1883~1962) 선생은 충남 공주에 영명학교를 설립한 후 30여 년간 교장으로 재직하며 학생들에게 민족의식을 고취했다. 윌리엄스 선생은 제78주년 광복절을 맞아 건국포장을 받는다. 국가보훈부는 윌리엄스 선생 등 100명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한다고 14일 밝혔다.

기사보기

◇신기술 나오면 한국은 규제부터

기업에 대한 각종 규제 장벽으로 한국은 스타트업들의 무덤이 되고 있다. 규제 샌드박스 문턱을 통과해도 조건부 규제가 붙는 경우가 많아 충분히 수익을 내지 못하고 상용화 직전에 좌절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규제 족쇄가 풀어질 것만 기다리다 지쳐 한국에서 사업을 포기하거나 아예 해외로 나가 돌파구를 찾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

기사보기

◇개인이 키운 암사자… ‘사순이’의 슬픈 탈출

14일 오전 7시 24분쯤 고령군 덕곡면의 A씨 농장에서 ‘사순이’라고 불리던 암사자가 탈출했다. 사순이는 탈출 1시간 10분이 지난 오전 8시 34분쯤 농장에서 20~30m가량 떨어진 숲속에서 발견돼 수색 중이던 경찰과 엽사 등이 쏜 총에 사살됐다. 고령군 관계자는 “마취총을 쐈다가 빗나가면 도주할 수도 있어 주민 안전을 위해 사살을 선택했다”고 했다.

기사보기

◇‘요지경’ 초전도체 테마주… 시총 1조 돌파도

14일 증시에서 초전도체 테마주가 일제히 10% 넘게 급등했다. 초전도체 테마주로 분류되는 ‘덕성’과 ‘덕성우(우선주)’, ‘모비스’, ‘파워로직스’ ‘서원’ ‘국일신동’ 등 6개 종목은 상한가(전장 대비 30% 상승)를 기록했다. 지난 8일 미국에서 부정적인 평가가 나오며 하루 새 40% 급락한 이후 횡보하던 초전도체 관련 주가가 다시 들썩인 것이다.

기사보기

7NEWS 뉴스레터 구독하기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145557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