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재형 선생 "순국 103년 만에 부인과 해후, 현충원에 안장"

이종윤 2023. 8. 14. 17:2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연해주 독립운동의 대부''시베리아 동포의 대은인'로 불린 최재형 선생과 부인 최 엘레나 페트로브나 여사의 유해가 최 선생 순국 103년 만에 고국에서 해후해 함께 영면에 들었다.

최재형 선생의 순국장소로 추정되는 러시아 우수리스크의 흙과 70여년간 키르기스스탄 공동묘지에 묻혀 있던 부인 최 엘레나 여사의 유해가 마침내 고국의 묘에 함께 묻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 선생 유골 못 찾아 순국 추정지 흙 들여오고 부인 유해 봉환
서울현충원서 합장식…'가짜 유족' 사건으로 가묘 멸실됐다 복원
[파이낸셜뉴스]
제78주년 광복절을 하루 앞둔 14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서 거행된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과 최 엘레나 여사의 부부 합동안장식에서 국방부 의장대가 영현 감쌌던 태극기를 유가족에게 전달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연해주 독립운동의 대부''시베리아 동포의 대은인'로 불린 최재형 선생과 부인 최 엘레나 페트로브나 여사의 유해가 최 선생 순국 103년 만에 고국에서 해후해 함께 영면에 들었다.

국가보훈부는 14일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 108번 자리에서 '백 년만의 해후, 꿈에 그리던 조국 대한민국'이라는 슬로건 아래 최 선생 부부 합장식을 거행했다.

최재형 선생의 순국장소로 추정되는 러시아 우수리스크의 흙과 70여년간 키르기스스탄 공동묘지에 묻혀 있던 부인 최 엘레나 여사의 유해가 마침내 고국의 묘에 함께 묻혔다.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은 추모사에서 "최재형 선생님과 같이 일신을 독립운동에 바치시고 그 곁에서 내조하며 독립운동을 함께하신 분들이 있어 광복을 쟁취할 수 있었고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을 이룩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합장식에는 최 선생의 유족들과 박민식 장관, 이종찬 광복회 회장, 문영숙 최재형기념사업회 이사장 등이 참석했다.

제78주년 광복절을 하루 앞둔 14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서 거행된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과 최 엘레나 여사의 부부 합동안장식에서 유가족들이 허토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9세 때 부모를 따라 시베리아 연해주로 이주한 최재형 선생은 사업가로 자수성가해 축적한 부를 조국독립과 수십만 시베리아 이주 동포들을 위해 사용했다.

러일전쟁 이후 국외 항일조직인 동의회(同義會)를 조직하고 총재가 되어 항일의병투쟁을 전개했으며, 안중근 의사의 독립운동을 지원했다.

또 대동공보(大東共報)를 인수해 재창간하고 애국심을 고취하는 기사를 게재했으며,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재무총장으로 선출되는 등 활발한 독립운동과 한인사회에 대한 기여로 '시베리아 동포의 대은인'으로 추앙받았다.

부인 최 엘레나 여사는 1897년 최재형 선생과 결혼해 8명의 자녀를 낳았고, 안중근 의사 순국 이후엔 그의 가족을 보살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최재형 선생이 1920년 4월 순국하면서 최 여사는 자녀들과 힘겨운 생활을 이어갔고, 1922년 자본가의 가족이라는 이유로 키르기스스탄으로 유배됐다.

제78주년 광복절을 하루 앞둔 14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서 거행된 독립운동가 최재형 선생과 최 엘레나 여사의 부부 합동안장식에서 국방부 의장대가 영현을 운구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최 여사는 1952년 사망한 뒤에는 키르기스스탄 비슈케크 공동묘지에 안장됐다. 최재형기념사업회는 최 여사를 영원히 기억할 수 있도록 최 여사의 유해가 수습된 비슈케크 묘지 터에 기념비를 세웠다. 정부는 최 선생의 공을 기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에 추서한 바 있다.

본래 최재형 선생의 묘는 1970년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 108번에 조성됐으나, 이른바 '가짜 유족 사건'으로 멸실돼 지금껏 빈터로 남아있었다.

정부는 1962년 최 선생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으며, 후손을 자처하는 이의 요청에 따라 1970년 서울 현충원에 가묘를 건립했다.

그런데 1990년 한국과 러시아가 수교한 이후 최 선생의 유족이 고국을 방문하면서 후손을 자처했던 사람이 실은 유족연금을 노린 가짜였음이 탄로 났다.

이후 서울 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 108호에 있던 최 지사의 가묘는 2006∼2009년 사이 멸실됐으나 유족은 아무런 통보도 받지 못했다.

유족들은 멸실된 묘의 복원을 희망했으나, 최 선생이 1920년 4월 일본군에 의해 순국한 이후 유해를 찾을 수 없어 유골이나 시신을 안장하도록 규정한 국립묘지법에 따라 묘를 복원할 수 없었다.

이에 보훈부는 유골이나 시신이 없는 순국선열의 위패와 배우자의 유골을 함께 묘에 합장할 수 있도록 국립묘지법 개정을 추진해 지난달 시행됐다.

박민식 국가보훈부 장관이 14일 서울 동작구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열린 최재형 선생과 부인인 최 엘레나 페트로브나 여사의 부부 합장식에서 헌화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