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찾은 독립유공자 해외 후손들... ‘조상의 글’ 한글 배워

오유진 기자 2023. 8. 14. 15:4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후손들 “이렇게 예쁜 한글 서체는 처음 봐”
14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에서 독립유공자 해외 후손들이 한글 서체 쓰기 체험을 하고 있다. /국가보훈부

14일 오전 10시 서울 용산구 국립한글박물관 배움터. 러시아, 중국, 카자흐스탄에서 온 독립유공자 해외 후손 12명이 상기된 표정으로 테이블에 앉아있었다. 마이크를 든 강사는 “아름다운 한글 서체 쓰는 법을 배우는 시간”이라고 했다. 국가보훈부가 오는 15일 광복절을 맞아 독립유공자들을 기리는 차원에서 마련한 프로그램이었다.

모니터 화면에 판본체와 궁체, 민체 등 다양한 서체로 쓰인 한글 단어가 띄워지자, 후손들 사이에선 “글씨가 마치 살아서 춤을 추는 것 같다”는 반응이 나왔다. 강사는 ‘꽃’ ‘춤’ 등의 단어를 소개하며, 서체에 따라 선의 두께나 모양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설명했다. 본격적으로 서체를 쓰는 순서가 되자, 후손들은 처음 이용해보는 붓펜 글쓰기가 익숙지 않은 모습이었다. 일부는 숨을 참거나 손을 바들바들 떨면서 단어를 써 내려갔다.

오는 15일 제78주년 8·15광복절을 맞아 해외에 있던 독립유공자 후손들이 한국을 찾았다. 이날 미국, 중국, 러시아, 쿠바 등 7개국에서 온 31명의 독립유공자 후손들이 국립한글박물관을 방문해 한글과 서예를 배웠다. 이들은 “아름다운 한글 서체 쓰는 법을 배울 수 있어 특별하고 뜻깊다”고 했다.

독립유공자 후손들은 빈 엽서에 ‘꽃 피는 봄’ ‘반짝이는 별’ ‘사랑해요’ 문구를 작성했다. 자신이 쓴 엽서를 들어 보이던 카자흐스탄인 민 콘스탄틴(42)씨는 “대학 시절 2년 동안 한국어를 배우고 글쓰기 연습을 했지만, 이렇게 예쁜 한글 서체가 있다는 건 이번에 처음 알았다”고 했다. 그는 1907년 원주로 진군한 일본군 토벌대를 격파하는 등 의병으로 강원, 충북, 경기 지역에서 왜병을 수차례 격파한 업적으로 1962년 대통령장을 받은 민긍호 지사의 증손자다.

러시아에서 온 샤라피예바 에벨리나(34)씨는 “붓펜으로 굵기를 조절해가며 글을 쓰는 과정이 어려웠지만, 최대한 예쁘게 쓰려고 안간힘 썼다”며 “꽃문양이나 사람이 춤추는 자세가 녹아든 서체가 인상적이었다”고 했다. 그는 이른바 ‘조선의 나폴레옹’이라고 불리는 김경천 지사의 증손녀다. 김 지사는 1922년 연해주 스챤에서 고려혁명군의 동부사령관으로 대일항전을 전개한 업적으로 1998년 대통령장을 받았다.

14일 오전 독립유공자 해외 후손들이 국립한글박물관 전시장을 관람하고 있다. /국가보훈부

후손들은 1시간가량 한글 서체 체험을 한 후, 박물관 전시장을 관람했다. 훈민정음해례본과 세종대왕이 만든 훈민정음 28글자를 보며 발음 연습을 하기도 했다. 이들은 오후 3시쯤 서울 은평구 진관사로 자리를 옮겨 다도 체험을 할 예정이다.

앞서 이들은 지난 12일 국립서울현충원과 서대문형무소를 방문하고, 지난 13일엔 독립기념관, 대전현충원을 잇따라 방문해 참배했다. 미국에서 아들과 함께 왔다는 정선희(57)씨는 “대전현충원에 있는 할아버지 산소에 다녀왔는데, 절하고 인사드리면서 가슴이 뭉클했다”며 “아들도 숙연해졌는지 조용히 묘비를 어루만졌다”고 했다.

정씨는 독립유공자 오강표 지사의 손녀다. 오강표 지사는 1910년 8월 나라가 망하자 같은 해 10월 공주 명륜당에서 절명사(絶命詞)를 벽에 붙이고 강학루에서 자결해 순국했다. 1962년 독립장을 받은 오 지사는 현재 대전현충원에 안장돼 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