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ppiness is not far from us (KOR)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행복경제학의 창시자 리처드 이스털린은 『지적행복론』에서 행복의 3요소로 ①물질적 부 ②건강 ③가족을 포함한 사회관계를 꼽았다.
부는 다른 요소와 달리 일정 수준에 이르면 행복도를 높이지 않는다.
물질 소유로 인한 행복의 한계효용은 계속 낮아지고 결국 0에 수렴하기 때문이다.
한국의 1인당 GDP는 1953년 67달러에서 2023년 3만2142달러로 480배 늘었지만 행복은 그만큼 커지지 않았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YOON SEOK-MAN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Richard Easterlin is known as “the father of happiness economics.” In his book “An Economist’s Lessons on Happiness,” he cited material wealth, health, and social relationship, including family, as three elements of happiness.
Unlike other elements, once wealth reaches a certain level, it does not enhance the level of happiness. The marginal utility of happiness from material possession continues to decline and eventually converges to zero. This is called the Easterlin paradox.
The per capita GDP of Korea grew 480 times from $67 in 1953 to $32,142 in 2023. But happiness did not grow nearly as much. The United Nations “World Happiness Index” ranking fell to 59th in 2022 from 56th in 2012, when the survey started.
Korea’s suicide rate has been the top among the OECD members for more than 20 years. While the suicide rate is on the decline among those over the age of 30, the suicide rate of teens and 20-year-olds is rising. The number of patients in their 20s suffering from depression and anxiety has also surged from 130,000 between 2017 and 2021 to 280,000 in 2022.
On the surface, Korea is one of the top 10 largest economies and home to the K-culture that the world raves over. But individual citizens often feel they are unhappy. Koreans are pushed into fierce competition from an early age and easily feel a sense of defeat from accumulated frustrations. Comparison with others lowers their self-esteem. Once a person succeeds, they tend to show off and abuse their influence. It is a typical case of the “high tension” society with routine pressure and stress.
The recent surge in random crimes is also related to the trend. 33-year-old Jo Seon, who killed a passer-by and injured many others in Seoul, said he wanted to make others unhappy, while 24-year-old Jung Yoo-jung, who brutally murdered a woman and abandoned her body, said she was the most pitiful person in the world.
Monsters are born from high pressure societies. Since birth, the entire country is swirling toward prestigious universities, respected careers, and good apartments, but in reality the majority fall behind in the competition. A sense of relative deprivation deepens when people seek refuge on social media filled with luxury goods and lavish spending.
The most urgent thing is to resolve social polarization. But a change in individual consciousness is also necessary. German poet Carl Busse wrote, “Over the mountains, far to travel, people say, Happiness dwells. Alas, and I went in the crowd of the others, and returned with a tear-stained face.” Just like that, happiness is not far from us.
Instead of comparing oneself to others, we must develop self-esteem and feel grateful for what we have. John Stewart Mill said that the secret of happiness lies in living one’s own life with independent decisions instead of being swept up by the standardized goals set by the rest of the world.
행복의 파랑새를 찾아서윤석만 논설위원
행복경제학의 창시자 리처드 이스털린은 『지적행복론』에서 행복의 3요소로 ①물질적 부 ②건강 ③가족을 포함한 사회관계를 꼽았다. 부는 다른 요소와 달리 일정 수준에 이르면 행복도를 높이지 않는다. 물질 소유로 인한 행복의 한계효용은 계속 낮아지고 결국 0에 수렴하기 때문이다. 바로 ‘이스털린의 역설’이다.
한국의 1인당 GDP는 1953년 67달러에서 2023년 3만2142달러로 480배 늘었지만 행복은 그만큼 커지지 않았다. 유엔 ‘세계행복지수’ 순위는 조사가 처음 시작된 2012년 56위에서 2022년 59위로 떨어졌다. 자살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20여년째 1위다. 특히 30세 이상에선 감소 추세지만 10~20대에선 되레 늘고 있다. 20대 우울·불안장애 환자도 2017~2021년 13만 명에서 28만 명으로 급증했다.
외형적으론 10위권의 경제대국에, 세계가 열광하는 K컬처의 나라지만 국민 개개인은 스스로 불행하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다. 어릴 적부터 치열한 경쟁에 내몰리며, 누적된 좌절 속에 열패감이 쌓이기 쉽다. 타인과의 비교는 자존감을 떨어뜨리고, 어쩌다 한번 잘되면 과시와 갑질을 한다. 압박과 스트레스가 일상인 ‘하이 텐션(high tension·고도불안) 사회’의 전형적 모습이다.
최근 ‘묻지마 범죄’의 급증도 이와 무관치 않다. “남들도 불행하게 만들고 싶다”던 조선(33)이나 “내가 세상에서 가장 불쌍하다”는 정유정(24)은 ‘소용돌이 사회’가 낳은 괴물이다. 태어나면서부터 온 국민이 명문대와 전문직, 좋은 아파트를 향해 소용돌이처럼 휘몰아가지만 현실의 대다수는 경쟁에서 낙오한다. 도피처로 찾는 SNS에서 물신화한 명품과 사치스러운 소비행태를 보며 상대적 박탈감만 커진다.
가장 시급한 건 사회 양극화 해소다. 하지만 개인의 의식변화도 필요하다. “산 너머 행복을 찾아 친구 따라갔다 눈물만 머금고 왔다”(Über den Bergen, 산 너머)는 독일 시인 칼 붓세의 말처럼 행복은 멀리 있지 않다. 타인과 비교하는 대신 자존감을 키우고, 가진 것에 만족하며 감사할 줄 알아야 한다. 세상이 정한 획일적 목표에 끌려가지 않고, 주체적 결단으로 자신의 삶을 꾸려가는 게 행복의 본질이다.(존 스튜어트 밀)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BTS's V to drop music videos before releasing 'Layover'
- 'Love After Divorce' returns for fourth season with U.S. contestants seeking love in Cancun
- Jamboree organizers face scrutiny for ignoring warnings
- World Scout Jamboree becomes Korea's worst nightmare
- Court gives 20 years for brutal assault on woman in Busan
- Nude model Ha Young-eun bares all with her first book
- Wrecked World Scout Jamboree turns into tours, festivities
- Four members of Ciipher leave band
- Blackpink's Lisa may leave YG Entertainment, reports say
- Night of shooting stars to follow Typhoon Khan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