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잠식한 美 빅테크 플랫폼… `네카오` 입지 흔들

윤선영 2023. 8. 13. 19:3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구글을 비롯한 미국의 빅테크들이 플랫폼 시장 잠식을 가속화하면서 네이버, 카카오 등 토종 기업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13일 모바일 빅데이터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카카오톡의 MAU(월간활성이용자)는 4155만8838명으로 1위를 기록했으나, 2위인 구글의 유튜브와의 차이가 점점 좁혀지고 있다.

지난달 국내 모바일 음원 시장 1위인 멜론(665만1897명)과 2위인 유튜브뮤직(580만7421명)의 MAU 차이는 84만4476명으로 나타났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카톡 MAU 바짝 추격
월간 총 사용시간은 이미 추월
국내외 온라인 플랫폼. 연합뉴스

구글을 비롯한 미국의 빅테크들이 플랫폼 시장 잠식을 가속화하면서 네이버, 카카오 등 토종 기업의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13일 모바일 빅데이터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카카오톡의 MAU(월간활성이용자)는 4155만8838명으로 1위를 기록했으나, 2위인 구글의 유튜브와의 차이가 점점 좁혀지고 있다. 지난달 유튜브 MAU는 4115만7718명으로 차이가 40만1120명에 불과했다.

카카오톡과 유튜브의 MAU 격차는 지난해부터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이번 40만명대 격차는 2020년 5월 스마트폰 양대 운영 체제인 안드로이드(구글)와 iOS(애플)를 통합한 모바일인덱스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이래 역대 월간 최소 수준이다. 특히 30대 이용자의 선호 플랫폼이 카톡에서 유튜브로 바뀌면서 올 하반기 중 유튜브가 카톡 MAU를 추월할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지난 5월과 지난달 30대의 MAU 1위는 유튜브가 차지했다.

유튜브는 음원 시장에서도 국내 최대 플랫폼인 카카오의 멜론을 빠른 속도로 추격 중이다. 지난달 국내 모바일 음원 시장 1위인 멜론(665만1897명)과 2위인 유튜브뮤직(580만7421명)의 MAU 차이는 84만4476명으로 나타났다. 월간 기준 두 플랫폼의 MAU 차이가 100만명 아래로 좁혀진 것은 지난달이 처음이다. 유튜브뮤직의 사용자 수 점유율(25.3%)도 처음으로 25%를 돌파했다.

유튜브 뮤직은 광고 없이 유튜브의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유튜브 프리미엄 가입자를 상대로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는 일명 '끼워팔기'를 통해 세를 늘리고 있다. 국내 음악 플랫폼들은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자 콘텐츠 다각화·차별성에 공을 들이고 있지만 쉽지 않은 모습이다.

월간 총 사용 시간과 활성 기기 대수 지표에서는 이미 유튜브가 네이버와 카카오를 앞지른 상태다. 지난달 모바일로 유튜브를 본 총사용 시간은 약 15억2920만 시간으로 2위 카톡(약 5억1876만시간)과 3위 네이버(약 3억4554시간)의 각각 2.9배, 4.4배에 달했다.

활성기기대수 순위는 △유튜브(4195만1522대) △지메일(4193만3632대) △포털 구글(4178만2931대) △크롬(4177만8247대) △구글지도(4158만5710대) △카톡(4041만5882대) △네이버(3959만3651대) 순이다.

웹 기반 검색엔진 시장도 상황은 비슷하다. 검색 시장에서 한국은 세계적으로 거의 유일하게 토종 플랫폼의 세력이 강한 곳으로 평가돼 왔다. 그러나 최근 네이버의 점유율은 50%대로 떨어진 반면 구글은 30%대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구글은 이제 쇼핑과 게임 분야로도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유튜브는 지난 6월 한국어판 쇼핑 채널을 개설했고 구글은 직원들을 대상으로 유튜브 게임 서비스인 '플레이어블스(Playables)' 테스트 초대 이메일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OTT(온라인 동영상 서비스) 시장은 넷플릭스, SNS(사회관계망서비스) 시장은 인스타그램(메타), 클라우드 시장은 AWS(아마존웹서비스)에 이미 1위를 내줬다. 글로벌 빅테크들이 토종 플랫폼 기업의 자리를 위협하는 사이 국내에서는 역차별과 규제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네이버, 카카오는 포털 서비스에서 뭇매를 맞고 있으며 국회에서는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온플법) 제정안이 10개 이상 계류 중이다.윤선영기자 sunnyday72@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